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병
질환
단지
재앙
우환
병환
항아리
d라이브러리
"
병
"(으)로 총 2,358건 검색되었습니다.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항암치료 고통 덜어준 유방암 예측 SW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개발했다. 환자별로 초당 300개 항목을 관찰해서 얻은 데이터를 분석해 파킨슨
병
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연구자들에게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다.의학과 IT가 융합되고 있는 시대다. 백 교수는 “맞춤의학을 위해서는 데이터 예측 모델링 방법에 능숙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당장 소프트웨어 ... ...
[Knowledge] 인골의 비밀 사연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그밖에 뼈의 손상 부위와 정도 등을 조사하면 신체적 장애나
병
, 부상, 육체노동 여부 등에 대해 힌트를 얻을 수 있고, 당시의 주변 식생과 기후 등 환경에 대한 단서도 얻을 수 있습니다. 당시 사람이 어떻게 살았는지를 알려주는 데 이만한 정보가 또 있을까요.➊ ... ...
[Knowledge] 그 많던 플라스틱은 누가 다 먹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세계적으로 매년 2억8000만t의 플라스틱이 생산된다. 이중 1억t은 비닐봉지나 플라스틱
병
처럼 ‘아주 잠시’ 쓰이고 버려진다. 바다로 흘러들어온 플라스틱은 긴 여행 끝에 환류대(106쪽 그림 참고)에 도착한다. 5대양에는 팔이 안으로 굽듯 해류가 방향을 바꾸는 ‘환류’가 하나씩 있는데, 팔 안쪽에 ... ...
[Life & Tech] 4대강 사업 사망선고를 받다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별개로 2008년부터 원래 건설을 추진하던 ‘정상적인’ 사업이었다. 4대강 사업은 ‘
병
주고 약마저 뺏었다 돌려 준’ 셈이다.백 번 양보해 수자원 확보나 수질 개선 효과를 노렸다고 치자. 그래도 보를 이렇게 거대하게 세울 필요는 전혀 없었다. 보가 거대해진 이유는 간단했다. ‘랜드마크’가 돼야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벤처에 ‘후츠파’하라! (이스라엘의 도전정신)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있습니다. 이 회사는 어린아이의 DNA를 읽어서 아이가 어떤 방면에 재능이 있는지, 어떤
병
에 취약한지, 성격은 어떨지 예측해줍니다. 또 손목시계의 유리를 없애고 분침과 시침을 만질 수 있는 시계를 개발한 회사도 있습니다. 그런 시계를 어디다가 사용하냐구요? 시각 장애인들은 이 시계를 직접 ... ...
[교과연계수업] 도시에는 왜 고양이가 많을까? 도시생태계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수 있어. 고양이는 영역 안에 먹을 것이 사라지면 새 먹이를 찾아 떠나. 사람의 손이나
병
때문에 죽어 버려도 영역이 비게 되지. 하지만 곧 다른 고양이들이 이 영역으로 들어오는 ‘풍선효과’가 발생해. 이 때문에 인간의 힘으로 개체수를 조절해도 사실 큰 소용은 없어. 1. 대상 ... ...
뜨개질과 수학의 크로스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이런 도형을 ‘위상동형’이라 한다.오른쪽 사진은 뜨개질로 만든 쌍곡면 치마와 클라인
병
이다. 색깔 별 실의 양이나 놓이는 위치를 동일하게 유지한 채로 꿰었던 실을 풀어 모양을 바꾸고 이를 다시 연결해 만들었다. 이들은 서로 위상동형이다. 뜨개질로 찾은 토러스 매듭 알고리즘뜨개질과 가장 ... ...
Part 2. 도시에선 고양이가 최고 포식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수 있어.고양이는 영역 안에 먹을 것이 사라지면 새 먹이를 찾아 떠나. 사람의 손이나
병
때문에 죽어 버려도 영역이 비게 되지. 하지만 곧 다른 고양이들이 이 영역으로 들어오는 ‘풍선효과’가 발생해. 이 때문에인간의 힘으로 개체수를 조절해도 사실 큰 소용은 없어. ▼관련기사를 계속 ... ...
Part 5. 우롱이와 함께 만든 생태일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우리나라 토종벌도 2010년에 약 75~80%가 사라졌답니다. 꿀벌을 죽이는 ‘낭충봉아부패
병
’ 바이러스가 퍼지고, 꿀벌이 꿀을 빠는 ‘밀원식물’이 줄어들었기 때문이지요.자생종 식물의 꽃은 꿀벌이 아주 좋아하는 밀원식물이랍니다. 우리가 들국화 같은 자생종을 녹지 여러 곳에 심으면 꿀벌에게 ... ...
산타도 깜짝 놀란 착한 과학 선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4호
위해서예요. 말라리아는 말라리아원충에 감염된 얼룩날개 모기류에게 물려 걸리는
병
이에요. 처음엔 감기와 비슷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적혈구가 파괴되는 등 훨씬 심각한 증상이 이어져요. 지금도 1년에 200만 명 이상이 말라리아에 걸려 목숨을 잃고 있답니다. 안타깝게도 사망자의 87%가 아프리카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