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단어"(으)로 총 1,94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할 수 있는 가속기 시설이라는 의미다. 동시에 라온은 ‘즐거운’을 뜻하는 순우리말 단어이기도 하다. 라온에는 실험시설 7개가 붙는다. 가속기를 통과한 입자가 검출기와 충돌한 뒤 생을 마감하는 동시에 새로운 생명(입자)으로 태어나고, 이들의 존재가 7개 실험시설에서 확인된다. ‘즐거움’을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것은 덤이다. 로봇전문기자가 소개하는 미래 ‘슈퍼맨’ 때문일까. ‘슈퍼’라는 단어에는 뭔가 굉장하고 영웅적인 느낌이 수반된다. 슈퍼마켓도 어떤 의미에서는 굉장히 아름다운 장소인 것처럼 말이다. 1988년 국내에 처음 도입된 슈퍼컴퓨터 역시 그런 뉘앙스를 풍겼다. 당시 ‘크레이-2S’는 ... ...
- 수학의 남북통일은 가능할까?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사귐’이다. ‘친구를 사귄다’, ‘이성친구를 사귄다’라고 할 때 주로 쓰이는 단어 ‘사귐’은 두 집합의 공통부분을 말하는 ‘교집합’을 뜻한다. 또한, 용어만 봐서는 무엇인지 알기 어려운 ‘벤다이어그램’은 ‘모임그림’으로 나타내는 한편, ‘지수’와 ‘역수’는 각각 ‘어깨수’, ... ...
- 네 마음을 알고 싶어! 마스터마인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단어 마스터마인드’입니다. 단어 마스터마인드는 숫자 대신 알파벳 4개로 만든 단어를 암호로 삼습니다. 규칙은 불과 카우와 비슷합니다. 만약 FOUR라는 암호를 만들고 상대방이 GOOD이라고 하면 1불, 0카우가 됩니다. 한글로 만든 마스터마인드는 아직 없는데, 여러분이 만들어 보는 건 어떨까요?(14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표면장력은 ‘겉 표(表)’와 ‘얼굴 면(面)’, ‘당길 장(張)’, ‘힘 력(力)’이 합쳐진 단어예요. 이중 ‘표(表)’는 털을 뜻하는 ‘모(毛)’와 옷을 의미하는 ‘의(衣)’로 이뤄져 있어요. 일반적으로 옷을 만들 때 털 부분을 옷의 바깥쪽으로 만들기 때문에 ‘바깥쪽’이나 ‘나타나다’ 또는 ... ...
- [화보] 비둘기의 알록달록 반전 매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검은목덜미과일비둘기처럼 화려한 색을 띠고 있는 비둘기들은 이름에 ‘과일’이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답니다. 비둘기는 유해동물?!우리나라에는 멧비둘기와 낭비둘기, 염주비둘기 등 5종의 비둘기가 살고 있어요. 그 중 도시에서 사람들과 함께 생활하고 있는 비둘기는 집비둘기예요 ... ...
- Part 1. 시험장에서 쫓겨난 기하의 항변수학동아 l2018년 05호
- 기하의 인생 기하란 쉽게 말해 도형과 공간에 대해 배우는 학문입니다. 기하의 영어 단어인 ‘geometry’는 그리스어로 땅을 뜻하는 ‘geo’와 측정을 뜻하는 ‘metron’이 합쳐져 생겼습니다. 시각적인 모든 것과 공간으로 표현할 수 있는 모든 것을 기하라고 할 수 있지요. 기하는 늘 인류와 함께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변화시키는 물질’을 가리키는 단어가 되었답니다.영어로는 ‘Catalyst’라고 해요. 이 단어는 스웨덴의 화학자 베르셀리우스가 처음 사용했는데, 그리스어로 ‘놓아주다’인 ‘kata’와 ‘분해하다’는 뜻의 ‘lusis’가 합쳐져 만들어졌지요. 당시 과학자들이 촉매 반응을 분해반응의 일종으로 ... ...
-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말했다. [전통의학] 南의 한의학, 北의 고려의학 전통의학을 일컫는 남한과 북한의 단어는 서로 다르다. 남한에서는 ‘한의학’으로, 북한은 ‘고려의학’으로 지칭한다. 한의학과 고려의학은 모두 동의보감(아래 사진)을 비롯한 전통 의학과 민족 고유의 의약 경험으로 부터 유래했다는 점에서 ... ...
- Part 1. 현존 가장 안전한 보안기술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나오는 4세대 암호체계를 말한다. 마치 책을 펴지 않은 상태에서 책에서 가장 많이 나온 단어가 무엇인지, 주인공이 누구인지 맞히는 것과 비슷하다. 정보가 암호화돼 있기 때문에 해커가 정보를 탈취하더라도 정보가 노출되지 않는다. 암호화한 상태에서나 하지 않은 상태에서 분석한 결과물의 ... ...
이전4950515253545556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