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단"(으)로 총 3,820건 검색되었습니다.
- [탐험대학] 생태, 인공위성, 공룡...집중 탐험 시작!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위성 안에 들어있는 영상으로 우주 광고 완성!풍선 위성은 간단해 보이지만 마냥 단순한 작업은 아니에요. 박재필 대표님은 풍선에 헬륨을 너무 적게 넣었다가 위성이 높이 떠오르지 못하고 수평으로만 날다가 결국 바다에 빠진 경험을 말해 주셨어요. 높이 올리는 데는 성공했지만 땅으로 떨어진 ... ...
- [가상인터뷰] 화성 ‘두더지’, 땅속으로 들어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땅에 프랑스 국립우주센터가 만든 지진계(SEIS)를 올려뒀어. 그리고 2019년 4월, 지금껏 단 한 번도 관측된 적 없던 화성의 지진 신호를 최초로 잡아냈지. 지구나 달 외의 천체에서 지진을 관측한 건 처음이었기에 큰 화제였어. 관측된 지진의 규모가 작아서 지진파로 지각의 두께나 화성의 내부 구조를 ... ...
- 크리스마스 트리가 한국산? 멸종위기 구상나무를 구하라!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있지만, 정작 구상나무 고유종은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에서 2013년부터 ‘위기’ 단계로 분류한 멸종위기종이다. 실제로 최근 들어 구상나무가 군락을 이루는 한라산과 지리산에서 말라죽은 구상나무 개체수가 증가했다는 보고가 이어지고 있다. 2019년 ‘한라산 구상나무 보전 전략’ 마련을 위한 ... ...
- Q&A로 풀어보는 핵융합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있습니다. JET만큼 거대하지는 않지만 역시나 뛰어난 성능을 자랑합니다. 일본에는 마치 3단 변신 로봇 같은 핵융합 반응로도 있습니다. ‘JT-60SA’가 그 주인공인데, 상전도 토카막 반응로였던 JT-60U를 분해, 재조립해 초전도 토카막으로 재탄생시켰습니다. 그밖에도 중국, 러시아, 인도 등이 각각 특징 ... ...
- 세계 상위 0.1% AI 고수를 만나다 “데이터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 AI가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말했다.그렇게 코딩이라는 걸 처음 접하게 됐고, 2017년 캐글에 입문했다. ‘일단 부딪쳐 보는 스타일’이라는 이 선임연구원은 코딩 입문자였지만, 고수들이 즐비한 경연장에 스스로를 내던졌다. 조금 과장을 보태면 식음을 전폐하고 매진했다. “3년 만에 비로소 빛을 보는 것 같다”고 말하는 그가 ... ...
- 욕은 왜 하는 걸까과학동아 l2020년 12호
- 32% 길었으며, 통증을 느낀 뒤 참는 정도도 33%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스티븐슨 교수는 “단순히 말을 하거나 욕과 비슷한 소리를 내는 것으로는 통증을 덜 느끼진 않았다”며 “어릴 때 학습된 욕이 감정을 자극해 이런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욕은 뇌 구조 바꾸는 혐오 ... ...
- [미국유학일기] 오픈북 기말고사 시간, 장소는 맘대로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것으로 만족했다. 이번 학기에 나는 수업을 5개 듣는데, 그중 기말고사를 보는 수업은 단 하나다. 이렇게 시험을 보는 과목 수가 적으면, 수업과 과제가 없는 기말고사 기간을 비교적 편하게 보낼 수 있다. 기말고사가 성적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30% 정도로 결정적이진 않다. 시험을 망쳐도 평소 ... ...
- [특집] 직접 만들면 전율! 미궁 게임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주인공이 의문의 사건도 해결하고, 귀신 나올 것 같은 오싹한 성의 비밀도 밝혀내지. 단 폴리매스 회원들이 미궁 게임의 퍼즐을 풀어 줘야 해. 이 미궁 게임에는 최수영 아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장님과 유명 게임 BJ도 참여할 거야! 너희도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리고 싶다면 꼭 내가 만든 미궁 ... ...
- [기획] 폴리매스를 떠들썩하게 만든 사람들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업적을 남겼는데요, 가우스를 기리는 상의 수상자는 7만 7739개의 댓글 중 5115개의 댓글을 단 박준혁 회원입니다. 박회원은 주로 ‘함께 풀고 싶은 문제’에서 다른 회원이 낸 문제에 풀이 댓글을 달거나 자신이 올린 문제에 달린 댓글에 답글을 적었습니다. 앞으로도 박 회원의 왕성한 활동 ... ...
- [인터뷰] 꿈의 에너지에서 현실의 에너지로 "선진 기술로 핵융합 상용화 주도할 것"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부품)처럼 핵융합 발전에 필수적인 기술은 전 세계적으로도 이제 막 걸음마를 시작한 단계입니다. 이외에도 플라스마를 운전하는 기술과 시뮬레이션 기술 등 관련 기술을 고도화하는 데 박차를 가해,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를 이끌어나갈 계획입니다. 핵융합 에너지가 미래사회를 위해 꼭 필요한 ... ...
이전4950515253545556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