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양화
다채성
복합성
d라이브러리
"
다양성
"(으)로 총 779건 검색되었습니다.
애교덩어리 말티즈 듬직한 리트리버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영국사람, 케냐사람 외모가 서로 다르듯이 개들도 품종에 따라 생김새가 제각각이다.
다양성
에서 본다면 사람은 비교도 안 될 뿐 아니라 모든 포유류 가운데서도 개에 견줄 종은 없다. 몸무게가 1kg남짓한 치와와에서 90kg에 이르는 마스티프가 있는가하면 그레이하운드처럼 늘씬한 롱다리와 함께 ... ...
에너지 위기 해양조류로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UN에너지는 2007년 8월 옥수수를 바이오연료로 이용하면 농산물 가격이 상승하고 생물종
다양성
이 줄어든다고 경고했다.한국해양연구원 대양·열대해역연구사업단 강도형 선임연구원은 “식량자원으로 연료를 만들어 생긴 문제”라며 “풍부한 해양생물을 바이오연료로 사용하면 된다”는 대안을 ... ...
생물
다양성
의 감소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1970년 이래로 새를 포함한 육상동물과 해양생물, 담수생물의 4분의 1 이상이 멸종했다.세계자연보호기금(WWF)은 ‘살아 있는 지구 지수’(LPI, Living Planet Index)를 통해 6500만 년 전 공룡이 멸종한 이후 가장 빠른 속도로 생물종이 감소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광속이 직각으로 입사되는 피조명면상의 조 ... ...
한국인 최초 개인 게놈 해독 눈앞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유전체의 연구 대상이 인간 전체가 아닌 개인으로 넘어갔다”며 “개인의 유전적
다양성
은 의학 분야에서 새로운 틈새시장을 형성할 것”이라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세계에서 세 번째로 자신의 게놈이 해독될 영광을 누릴 사람은 누굴까. 현재 ‘넘버 3’ 자리를 놓고 눈에 보이지 않는 경쟁이 ... ...
바다의 '젖줄' 하구역 살려낸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질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하구역을 세울 때 매립됐던 하구와 습지를 되살려내면 생물의
다양성
도 높일 수 있다.생물의 숨통 틔운 인공수초생물의 서식공간은 습지나 인공조간대, 인공수초 등으로 조성할 수 있다. 강화도의 남서쪽에 있는 조간대에는 지난 20년간 간척사업으로 모래의 비율이 ... ...
일본 최초 우주실험실 '키보'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공과대학 교수가 되었다86년에 전미국 과학아카데미 외국인 회원이 되었으며 면역의
다양성
에 관한 연구로 87년 노벨 생리 · 의학상을 수상했다가을 초저녁에 북쪽 하늘 높이 엷게 내(川)를 이루는 별자리 천구상(天球上)의 위치는 적경 22h 25m, 적위 十43°이다백조자리와 안드로메다자리 중간쯤에 ... ...
산호초로 기후변화 감지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어류 약 4000종, 무척추동물과 조류 약 3만 종이 옹기종기 모여 살아갈 정도로 생물
다양성
이 높습니다.”해양연구센터 박흥식 센터장의 말이다. 아마존의 열대우림 마냥 무성하게 우거진 산호초는 전세계 해양 생물의 4분의 1이 ‘거주’하는 안락한 보금자리다. 산호초 부근에서 그물을 던지기만 ... ...
여성의 남성 취향도 유행타나?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올봄 여성 패션의 유행은 노랑, 초록의 화려한 원색의 물결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여성의 남성 취향도 유행이 있을까. 최근 새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그 ... 어느 정도 일관성을 유지했다”며 “암컷의 취향이 변덕스러운 이유는 종의 유전적
다양성
을 유지하기 위해서”라고 해석했다 ... ...
행복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충분한 시간을 두고 반복하라는 것이다.하버드대 길버트 교수는 “싫증이 나지 않으려면
다양성
과 시간을 잘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예를 들어 연극을 아주 좋아하는 사람이 한두 달에 한 번 공연을 볼 수 있다면 매번 연극을 보는 게 낫지만 매주 볼 수 있다면 중간에 콘서트나 뮤지컬을 섞어 ... ...
intro 21세기 다시 쓰는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버전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2009년은 영국의 과학자 찰스 다윈이 진화론으로 생물종의
다양성
과 탄생을 설명한 ‘종의 기원’이 발간된지 150년이 되는 해다. 이제 인간이 만든 새로운 종에 대한 분야를 추가한 ‘종의 기원 2.0’이라도 나와야 할 것 같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생명 2.0시대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