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통"(으)로 총 2,124건 검색되었습니다.
- [포커스 뉴스] 갤럭시노트7 폭발 사고, 정말 배터리 때문?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갤럭시노트7을 보면 배터리가 있는 왼쪽을 중심으로 까맣게 그을리고 녹아 내렸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 정도의 열이 발생했다면 과전류가 흘렀을 가능성이 높고, 이를 방지하는 보호회로가 제 기능을 못했다고 봐야 한다.또 다른 근거는 갤럭시노트7에만 도입된 ‘USB타입-C’다. USB타입-C는 USB3.1의 ... ...
- [News & Issue] 세균, 콜레라 그리고 물고기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콜레라균 같은 세균이 아닌 바이러스에 의해 전염됩니다. 돼지열병 바이러스는 인수공통전염병이 아니기 때문에 사람에게 옮지 않고, 구제역과 달리 우제류(발굽이 2개로 갈라진 동물)에게도 전염되지 않습니다. 공중화장실에서 옮는다?아주 드물게는 환자의 체액과 직접 접촉해 옮을 수도 ... ...
- [Knowledge] 미크로네시아 해양과학기지를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열대해양연구단원들은 출신 지역도, 나이도, 학교도 제각각이었지만, 해양 생물이라는 공통된 관심사로 금세 친해졌다.도착한 첫 날은 학생들이 일주일간 축에서 연구하고 싶은 주제에 대해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온도에 민감하지 않은 심바이오디니움 변이체를 이용해 산호 백화현상을 줄일 수 ... ...
- [Knowledge] 수컷 침팬지는 폭력의 대명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시집온 이방인인 암컷들로 이뤄진 무리를 형성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두 침팬지의 공통 조상 집단은 200만 년 전쯤 헤어져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화했다.침팬지는 아프리카의 서부와 중부, 동부까지 광활하고 다양한 환경에 적응해 살고 있지만, 보노보는 콩고강 남쪽 일부 지역에서만 산다. 둘의 ... ...
- PART 1. 장내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속하는 미생물은 최소 1500만 년 전에 살았던 공통조상 때부터 장속에 있었다. 이 공통조상이 훗날 여러 개의 종으로 차례차례 분화될 때, 미생물 종도 함께 분화되면서 각자장 속에서 진화해왔다는 뜻이다. 대부분의 장내미생물들은 숙주 종이 수만 세대를 거치는 동안 다른 종으로 옮겨가지 않고 ... ...
- [수학동아클리닉] 변신! 정십이육면체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09호
- ‘헬로 카봇’, ‘다이노포스’, 그리고 ‘터닝메카드’의 공통점은? 모두 변신하는 로봇이다. 그런데 변신하는 로봇만 있는 게 아니라 변신하는 입체도형도 있다는 제보가 들어왔다! 언뜻 보았을 때는 정십이면체인데 몇 번 만지면 순식간에 정육면체로 바뀐다. 도형이 어떻게 변신하는지 ... ...
- [지식] 북한에서 ‘사귐’의 뜻은?!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수학 교육을 준비하기 위해 북한 수학 교육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남·북한 교육과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통일 이후 새로운 교과과정을 만들 때 기초 자료로 쓰기 위해서다. 기초 자료가 탄탄하면 각 교육과정의 장점을 바탕으로 통합 교육과정을 만드는 데 큰 도움이 된다.지난 ... ...
- [수학동아클리닉] 거꾸로 교실에 담은 행복수업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보드(Question Board)’에 붙인다. 질문 보드는 첫 번째 알파벳을 따 ‘QB’라고 부른다. QB에 공통적으로 많이 붙은 질문은 수업 시간에 반 전체에 설명하고, 개별 질문에 대해서는 일대일로 알려준다. 고등학교에 가서도 쓸 수 있는 지속가능한 지식을 얻기 위해서는 학생 스스로 정보를 구하고 고민한 ... ...
- Intro. 장내미생물이 제2의 게놈?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인기가 많다. 원래부터 잘 나갔던 건 아니었다. 데뷔 초인 1500만 년 전, 유인원의 공통조상이 인간으로 분화될 때 함께 분화해 본격적인 공생을 시작했던 사실도 최근에야 알려졌으니 말이다(1파트).긴 무명생활을 청산한 건 ‘유산균’ 덕분이었다. 19세기 러시아의 생물학자 메치니코프가 ... ...
- [Knowledge] 내 손이… 옛날엔 물고기 지느러미?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박쥐의 날개를 비교해 보면, 모두 위치는 비슷하지만 모양과 기능이 다르다. 만약 이들이 공통조상에서 기원했다면, 같은 유전자에서 발생했다고 의심해 볼 수 있다. 기능과 생김새가 다른 이유는 유전자의 쓰임, 즉 발생 과정이 달라서일 뿐이다. 이 사실을 밝히려면 해부학적 형태를 비교하거나 ... ...
이전4950515253545556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