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기"(으)로 총 4,119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의 일본유학일기] 동아리, 여행, 프로젝트, 대회로 꽉 찬 여름방학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모기 살충제인 ‘에프킬라’처럼 생긴 캔을 들고, 이를 마시면서 등산 중이었다. 깨끗한 공기를 압축해 용기에 넣은 산소캔이었다. 산소캔이 없는 초보 등산객은 산소를 아끼기 위해 남들보다 천천히 이동했고, 끝내 정상에 올랐다.문제는 하산이었다. 산에서는 해가 일찍 진다고 하지만, 그렇게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감자의 변색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함께 감자로 힘을 전달해요. 그래서 관통력이 훨씬 좋아지죠. 여기에 더하여 압축된 공기는 빨대를 지탱하는 역할도 해요. 그래서 감자에 빨대를 꽂을 때, 빨대가 꺾이지 않고 박힐 수 있지요. 한 번 감자를 뚫은 빨대는 속으로 감자가 들어가 막혀 버려요. 감자가 빨대를 막으니 이후로는 ... ...
- [핫이슈] 트롤 : 월드 투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거야! 바브는 록 음악의 큰 소리로 다른 마을을 정복할 작정인가 봐. 큰 소리를 지르면 공기가 크게 진동해 다른 롤들의 고막을 흔들지. 소리가 고막을 세게 흔들면 트롤들이 고통을 느낄 수 있단다.이런 일이 정말 가능하냐고? 실제로 1969년부터 기네스북엔 ‘세계에서 가장 시끄러운 밴드’가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북소리의 높낮이를 정하는 건 무엇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높은 소리가 난답니다.막이 팽팽하면 채로 때렸을 때 막이 더 빠르게, 많이 진동하면서 공기의 진동수를 높여요. 또 몸통이 작아도 진동수가 높은 고음을 더 많이 울리지요. 여기서 진동수란 ‘1초 동안 진동한 횟수’를 뜻해요. 진동수가 클수록 높은 음이, 작을수록 낮은 음이 난답니다. 그래서 ... ...
- [팩트체크] 올해 역대급 폭염 찾아올까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약해져 대기가 정체됩니다. 그러면 극지방의 강한 제트가 중위도 쪽으로 남하하는 찬 공기를 차단합니다. 이 때문에 당시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 중동, 유럽, 북미 등 중위도 지역에서 고기압이 동서방향으로 늘어서 있는 기압계가 형성됐고, 한국 상공에는 뜨거운 북태평양 고기압이 오랫동안 ... ...
- [통합과학교과서] 집에 또 불이 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탈 물질이 있어야 해요. 양초가 바로 불에 탈 물질이지요. 연소 반응은 불에 타는 물질이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하면서 일어나기 때문에 충분한 산소도 필요해요. 또 물질이 불에 타기 시작하는 ‘발화점’ 이상의 온도도 필요하지요. 열이 발화점 이상으로 높지 않으면 탈 물질과 산소가 ... ...
- [조광래의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운명의 9분, 대한민국에 '성실실패'란 존재하는가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비행하는 물체가 300km가 넘는 높은 고도에서 초속 5km 이상의 속도로 추락하는 경우 공기역학적 마찰열에 의해 거의 다 타버린다. 때문에 잔해물이 지상으로 충돌할 가능성은 매우 희박했다. 절반의 성공 vs. 무능한 실패 당시 전문가들 사이에는 이번 발사가 ‘절반의 성공’이나 ‘부분 ... ...
- [과학도서리뷰대회 수상자]책 리뷰의 달인을 찾았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위험한 과학책’은 무게가 약 900g인 만큼 총 3600kcal의 열량을 가진 식량이 됩니다. 밥 한 공기(300kcal)를 기준으로 하루에 세 끼씩 4일간 이 책을 나눠 먹으면 모두 소화할 수 있습니다. 과학도서리뷰대회 심사위원이자 ‘더 위험한 과학책’을 번역한 이강환 박사(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 [수학뉴스] 마스크의 한계, 수학으로 넘는다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차로 구멍이 줄어들면서 효율이 떨어지는 겁니다.그래서 연구팀은 필터의 변형 정도와 공기의 움직임을 각각 나타내는 수식을 이용해 다양한 상황에서 마스크의 효율을 예측할 수 있는 수학 모형을 만들어 시뮬레이션했습니다. 그 결과 얼굴에 가장 가까운 안쪽 필터의 구멍이 가장 크게 변형되는 ...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2. 외계인을 어떻게 찾아?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우주탐사선도 빛이 오던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는 거죠. 그런데 진공상태인 우주에선 공기저항력이 없어 우주탐사선의 속도가 계속해서 빨라져 결국 빛의 속도의 15~20%까지 다다를 수 있어요. 이렇게 프록시마 b 주변에 도착한 우주탐사선은 우리에게 생명체가 존재하는지 알려줍니다. 연료를 다 ... ...
이전4950515253545556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