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벌레
충
버그
곤충류
육각류
d라이브러리
"
곤충
"(으)로 총 1,552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정자 셔틀? No! 정액의 재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암컷은 생식기 내부에 일시적으로 정자를 보관할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해두고 있다.
곤충
이나 새, 파충류의 정자는 수 주에서 수 년까지 암컷 몸 안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 쥐의 정액에 들어있는 트랜스글루탐산분해효소는 정액을 응집시켜 정자가 보관소로 빨리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정자 ... ...
개미학자에 도전하라! 국립생태원 개미세계탐험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소개하고 싶습니다.연구를 하시면서 힘든 점은 없었나요?미국 플로리다 주에
곤충
채집을 갔다가 밤이 늦어서 국립공원에서 텐트를 치고 잔 적이 있어요. 그런데 새벽에 누가 자꾸 텐트 밖에서 내 등을 밀더라고요. 잠결에 “누구야~!” 하고 나갔더니 거대한 악어가 텐트를 밀고 있었어요. 순간 ... ...
수학으로 밝혀낸 걸음걸이의 비밀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개라 네발동물에 비해 비탈길이나 계단을 오르고 내릴 때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또 실제
곤충
처럼 다리를 구부리거나 옆으로 걸을 수도 있다.치타 로봇실제 동물처럼 걷거나 빠르게 달리는 로봇미국 MIT(매사추세츠 공대) 생체모방로봇연구실 김상배 교수 연구팀은 치타가 걷거나 뛰는 모습을 흉내 ... ...
[지식] 접기+자르기+수학=무한한 가능성!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표준 명칭으로 쓰이고 있다. 오리가미는 칼이나 풀 없이 종이 한 장으로 다리 6개 달린
곤충
은 물론이고, 몸통 비늘이 100개도 넘는 물고기도 완벽하게 접어내는 수준에 이르렀다.최근에는 오리가미 기술이 단순한 종이접기를 뛰어 넘기 시작했다. 일본의 아키라 요시자와는 이전까지 한 사람의 ... ...
[핫이슈] 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발전한 분야의 새로운 현상, 새로 발견된 생물의 이름은 판이하게 다르다. 예를 들면,
곤충
을 분류하는 402개 과(科) 중에서 316개 과의 이름이 다를 정도다. 상대방이 무엇을 말하는지, 어떤 말을 하는지 모를 뿐 아니라 대화가 더 이상 진전될 수 없는 지경에 이르기도 한다. 과거에 북한 아나운서가 ... ...
박쥐가 알려 주는 교통사고 방지 전략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박사팀은 우리가 서로 부딪히지 않게 속도를 늦춘다는 사실도 알아냈어요. 그래서
곤충
을 사냥할 때 여러 마리가 동시에 날아다니면서도 서로 부딪히지 않을 수 있는 거죠.방법은 간단해요. 우리는 반사된 초음파가 돌아오는 시간에 따라 다른 박쥐와의 거리를 알아낼 수 있거든요. 그 뒤 날갯짓을 4 ... ...
지친
곤충
들만 오세요~!
곤충
호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얼기설기 쌓고, 마당이나 화분 근처에 놓아두면 돼요. 분명
곤충
손님들이 북적이는 멋진
곤충
호텔이 될 거예요.*수분 : 꽃가루가 암술머리에 붙어 열매가 맺히도록 하는 것 ... ...
[지식]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밝혀냈다.매미는 나는 동안 방향을 쉽게 바꾸지 못하고 앞으로만 날았다. 하지만 다른
곤충
보다 훨씬 더 적은 힘으로 날개를 적게 움직여도 먼 거리를 빠르게 날아갈 수 있었다. 이런 비행 방법은 나무와 나무 사이를 돌아다니면서 울음소리로 상대를 찾아 짝짓기를 하는 매미의 생활방식에 ... ...
밤마다 그린라이트를 켜는 귀신버섯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어두운 밤에 책을 읽을 수 있을 정도로 밝은 빛을 내는 버섯이 있어요. 바로 브라질의 코코넛 숲 속에 사는 네오노토파누스 가드네리(Neonothopanus gardneri) ... 그 결과 LED를 넣은 인공 버섯에 더 많은
곤충
이 붙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답니다. 빛이
곤충
을 불러 모으는 역할을 한 셈이에요 ... ...
국가대표 체조선수는 사마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않은 모양이에요.네가 착지할 때 점프를 정확하게 한다며? 사실 우리 말고도 뛰는
곤충
은 많아요. 하지만 대부분 점프 할 때의 추진력 때문에 몸에 회전이 생겨 목표 지점에 정확하게 착지하기가 힘들어요. 그런데 우린 회전을 이용해서 정확하게 착지할 수 있어요.최근 영국 캠브리지대 말콤 버로우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