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논문탐독] 생명의 숲 속에서 세포라는 나무를 보다, 초고해상도 추적 이미징과학동아 l2023년 08호
- CTCF와 코헤신 단백질을 없앤 후, 염색질을 초고해상도 추적 이미징 기법으로 관찰한 결과는 이와 달랐습니다. 전체적인 통일성에서 벗어난 세포들이 늘어 불규칙해졌을 뿐, 세포 각각은 저마다의 접힘 구조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CTCF와 코헤신이 사라지면 세포들의 접힘 구조가 중구난방이 되기 ... ...
- [Reth?nking] 함수는 왜 중요한가?수학동아 l2023년 08호
- x값이 차례로 1, 2, 3, 4, 5일 때 함수가 2의 거듭제곱인 형태, 즉 f(x) = 2x - 1이라고 생각한 결과예요. 그렇지만 ‘원 위에 x개의 점을 놓고 그 점들 사이에 선을 그었을 때 원을 나눌 수 있는 가장 많은 영역의 수’를 표현한 함수 f(x) = (x3 - 6 x2 + 23x - 18) + 1 역시 x = 1, 2, 3, ...
- [메타버스 여행법] 아바타 기본편 커스텀을 해 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아바타를 완성할 수 있답니다. 제 아바타인 ‘오슬’도 기본 기능만으로 커스텀 한 결과지요. 지난해 8월 새로운 커스텀 기능인 ‘아바타 2.0’이 출시된 뒤부터 아바타의 생김새를 더 개성 있게 만들 수 있게 됐어요. 또 유료 커스터마이징 기능인 ‘커스텀 PRO’를 사용하면, 얼굴형뿐만 아니라 머리 ... ...
- [과학뉴스] 땅콩이 맥주 속에서 ‘춤추는’ 이유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부력을 계산한 후, 기포가 땅콩 표면에서 어느 정도 크기까지 자라는지 확인했다. 그 결과 반지름이 1.3mm 이하인 기포가 땅콩에 붙어있을 수 있었고, 이 기포가 땅콩을 떠오르게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즉, 땅콩 표면에 기포가 생기면서 맥주 위로 땅콩이 떠오르고, 떠오른 상태에서 기포가 ... ...
- [인터뷰] “인류세의 표준 지층은 캐나다의 크로포드 호수”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인류세실무연구단의 사무국장으로서, 처음으로 투표 결과를 알게 됐다. 이 역사적인 결과를 아는 사람이 지구 전체를 통틀어 나밖에 없다는 사실을 좀 더 오래 즐기고 싶어서, 강아지를 데리고 산책을 나갔다. 매우 이기적인 결정이었다. (웃음)” Q. 인류세에 대한 전 세계 사람들의 관심이 높다 ... ...
- 과학이 진실을 밝히는 방법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우리는 진실에 한 걸음 더 다가서고 있다.과학적 지식과 증거로 진범을 찾고, 때론 재판 결과를 뒤집어 무죄를 증명하기도 한다.과학수사에 쓰이는 대표적인 방법 3가지를 살펴보자. CASE 01. 혈흔 형태 분석 혈액은 바닥이나 벽 등 사물에 튄 각도(충돌각도)를 통해 분출 지점을 유추할 수 있다. ... ...
- 결백 프로젝트, 과학수사의 모순을 파고들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증거로 받아들여졌는데, 분석 기술이 지금처럼 발전하지 않은 시절이라 정확한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이에 두 변호사는 사건과 맞지 않는 잘못된 목격자 진술에 의존한 점과, 피해자의 옷에서 발견된 정액의 혈액형이 코우클리의 혈액형과 맞지 않는다는 점을 내세워 재판을 승리로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오펜하이머’ 원자폭탄보다 두려운 수소폭탄이 한국에 떨어진다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출력되는 에너지가 더 많은 ‘순에너지’를 처음으로 얻어냈습니다. 학계에서는 이번 결과로 레이저 방식의 핵융합 연구가 탄력을 받게 될 거라 예측했습니다. 끔찍한 핵무기를 개발했지만 핵무기의 위험성을 누구보다 알리려 했던 오펜하이머. 그의 삶은 과학을 다루는 과학자의 윤리 의식과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별의 쏟아지는 은하의 중심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3년 08호
- 구조는 별 탄생을 촉진시키며 성장 중이다. 그런데 중심 블랙홀이 활발한 은하에서는 결과가 정반대였다. 우선 은하 중심 블랙홀의 활동성 수준과 막대 구조의 유무는 큰 관계가 없었다. 이는 막대 구조가 은하 중심 블랙홀을 성장시키지 않는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게다가 은하 중심의 블랙홀 ... ...
- 최고의 교수진이 최고의 인재 기른다, KAIST 반도체시스템공학과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조 교수는 “항상 예상 문제만 나오는 것은 아니다. 예상치 못한 변수가 튀어나오고 결과도 바라는 바와는 거리가 멀다”고 설명했다. 때문에 반도체시스템공학과는 학생들이 실험 수업에서 직접 ‘디버깅(버그를 찾아내고 수정하는 작업)’을 할 수 있게 교육하고 있다. 조 교수는 “반도체 설계 ... ...
이전4950515253545556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