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모습
본색
본성
본심
침체
신원
동일
d라이브러리
"
정체
"(으)로 총 1,339건 검색되었습니다.
두 남자의 호주 사막 조난기
과학동아
l
201001
떠온 물에 분말 스프 한 봉지를 넣고 끓여 나눠 마셨다.이날 밤도 주변을 서성이는
정체
모를 들짐승 발자국 소리를 들으며 뜬 눈으로 지샜다. 교대로 불침번을 서기로 했다. 동쪽에서 뜬 달은 서쪽으로 자리를 옮겼고 북반구의 겨울철 별자리 오리온자리도 남쪽 하늘에 변함없이 떠있었다. 달 ... ...
동식물의 즐거운 새해맞이 잔치
과학동아
l
201001
20m까지 내려가면 만날 수 있는데, 워낙 비밀스런 인물이라 ‘곰치’로 추정될 뿐 뚜렷한
정체
를 아는 이는 없다.곰치는 이빨이 날카롭고 성질이 사납다고 알려져 있다. 쫙 벌린 입 안으로 줄지어 있는 이빨이 수상하다. 어디선가 웅장한 합창 교향곡이 들리지 않는가. 삿갓을 하나씩 쓰고 고개를 ... ...
광결정으로 전자종이와 잠자리 눈 센서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01
다른 색의 빛을 반사하는 식이다. 이런 성질을 이용하면 광결정을 미지의 시료의
정체
를 밝히는 센서로 활용할 수 있다. 광결정의 색깔 변화를 관찰하면 거꾸로 시료의 굴절률을 알아낼 수 있기 때문이다.연구단은 이처럼 유체로 광결정의 밴드갭을 조절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2008년 학술지 ... ...
전통 수학의 발자취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01
흔히 서양의 중세를 문화의 암흑기라고 부른다. 고대 그리스 로마 문명의 찬란한 학문적 성과와 문화적 전통이 이어지지 못했기 때문이다. 중세에 잠자던 그 ... 일은 수학의 균형적이고 체계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우리의 문화적
정체
성을 회복하는 데도 필요한 일이다 ... ...
꽃매미를 추적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3
밝혀져야 확실한 대책도 세울 수 있으니 말이야. 명탐정 P의 명예를 걸고 꽃매미의
정체
를 반드시 밝힐 테니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꽃매미에 관심을 갖고 관찰하길 바란다. 그리고 꽃매미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얻게 되면 언제든지 명탐정 P에게 제보해 주길! 그 때까지 모두들 수고 ... ...
우리가 몰랐던 D-아미노산의 세계
과학동아
l
200912
억제하는 신호물질로 작용한다. 실제로 D-아미노산을 만드는 효소가 망가진 박테리아는
정체
기에 들어서도 펩티도글리칸을 계속 만들기 때문에 세포벽이 지나치게 두꺼워진다.또 D-메티오닌은 펩티도글리칸의 구성 성분 중 본래 D-알라닌이 놓일 위치에 대신 들어가 펩티도글리칸의 강도와 구조를 ... ...
대변의 솔직한 자기소개서
과학동아
l
200912
등을 이루는 스테로이드를 흡수한 뒤 간으로 보내 재순환시킨다(장간 순환). 결국 나의
정체
는 흡수되지 않은 음식물 찌꺼기와 세균 등이 뭉쳐진 덩어리다. 음식물로 들어와 내가 태어나기까지 50여 시간이 걸린다. 하루에 대개 1번씩 태어난다.가장 친한 친구나의‘절친’은 물이다. 몸속에서 약 9m를 ... ...
뇌가 아이스크림 덩어리 쌓이듯 진화했다고?
과학동아
l
200912
지성사 | 358쪽 | 1만 1000원과학 기술과 소통하는 15가지 시선을 소개한다. 이 책은 과학의
정체
성, 과학적 연구 성과의 가치, 과학자가 된다는 의미를 다뤄 과학 기술 사회에 대해 성찰하고 우리는 어떤 미래로 가고 있는지 말한다. 과학 기술과 사회의 소통 문제를 제기하고 과학 기술 연구자들의 ... ...
달려라! 녹색 자전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2
그런데 어디선가 들리는 요상한 모터음! 그리고 빠른 속도로 다가오는 이상한 자전거! 그
정체
는…?자전거의 미래, 전기자전거!달려온 자전거는 요즘 미래의 자전거 중 하나로 꼽히는 전기자전거! 자전거의 가장 중요한 특징인 바퀴 두 개와 페달, 심지어 체인까지 모두 갖추고 있지만 사람의 발 ... ...
Part 2. 통계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0912
보내는 편지에 자기의 생각을 담아 남자의 이름으로 보냈다. 한참이 지나 제르멩의
정체
가 밝혀졌지만 가우스는 그녀를 당당히 학문의 동료로 인정했다. 학교를 한 번도 다니지 못했던 제르멩은 죽은 뒤에야 명예박사 학위를 받을 수 있었다.남녀의 수학에 대한 선생님의 생각한국여성개발원의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