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7,64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반데르발스 힘, 원자 단위에서 최초 측정
과학동아
l
201606
수치가 나왔다. 연구팀은 “(다른 원자와 잘 상호작용하지 않는) 비활성기체지만 원자들
사이
에 전하가 이동해서 약한 공유결합이 형성될 수 있다”며 “그 효과로 반데르발스힘이 이론값보다 더 큰 것처럼 나타난 것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1606
결과가 ‘
사이
언스’와 ‘네이처’의 온라인판에 각각 3월31일과 4월 19일에 발표됐다.
사이
언스에 먼저 결과를 발표한 미국 퍼듀대 연구팀은 고해상도 이미지로 지카바이러스 껍질의 특이한 글리코실화 패턴을 확인했다(doi: 10.1126/science.aaf5316). 글리코실화는 아미노산 외에 당 성분이 단백질에 ... ...
Part 3 스마트폰 해킹, 막아낼 방패는 있을까
과학동아
l
201606
취약점 총 7개를 찾아 약 2억5000만 원의 상금을 차지했다. 우리나라도 KISA에서 ‘시큐인
사이
드 CTB(SECU INSIDE Capture The Bug)’라는 대회를 후원하고 있으나 외국에 비해 상금규모가 작아 우수한 화이트해커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바야흐로 온라인 세상이다. 사람도 물건도 ... ...
[Knowledge] 파충류 뇌라고 무시하는 거야?
과학동아
l
201606
개의 방
사이
에 철망으로 된 작은 여닫이문을 설치했다. 도마뱀은 처음에 당황했다. 철망
사이
로 먹이는 보이는데 문을 열수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러 번의 시도 끝에 여닫이문을 열 수 있는 방법을 터득했다. 키스 박사팀은 이 턱수염도마뱀이 익숙해지게끔 실험을 여러 번 반복했다. 얼마 ... ...
[Tech & Fun] 물리학자, 언어의 특징을 밝히다
과학동아
l
201606
경제 패턴이 얼마나 유사한지를 밝힌 윤 연구원의 논문이 영국 왕립학회 학술지 ‘로열소
사이
어티인터페이스(Journal of Royal Society Interface)’에 실렸다. 윤 연구원은 “네트워크가 지닌 독특한 특성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네트워크는 많은 데이터 점들 가운데 연결구조에 집중한다는 것. 그는 “한 ... ...
Part 1. 영원한 ‘해바라기’~ 행성은 누구?
수학동아
l
201606
수백 킬로미터
사이
로 무척 작고 모양이 불규칙적이다. 태양계에서는 화성과 목성 궤도
사이
에 많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태양계의 9번째 후예Part 1. 영원한 ‘해바라기’~ 행성은 누구?Part 2. 수학으로 정체 밝히는 ‘플래닛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1606
수천 년간 인류는 가시광선이라는 작은 창으로 우주를 탐구해왔다. 창문을 조금씩 넓히기 시작한 건 20세기 들어서다. 전파를 천문학에 이용하면서 우주배경복사 ... 거냐’는 불평이 나올 수도 있고요. 미래의 일이지만, 이제 중력파 연구자와 천문학자들
사이
에 합의가 필요할 것입니다 ...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
과학동아
l
201606
설치할 때 가장 큰 돌림힘을 만들 수 있다. 돌림힘(τ=r×F)은 회전축으로부터 추진기
사이
의 거리(r)에 비례한다. 추진기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돛이 커야 해서 크기가 아담한 CNU세일-1에는 맞지 않는다. 김 교수는 “더구나 우주 공간은 지상에서 예상치 못한 변수들이 많아 움직이는 기계는 ... ...
[Knowledge] 부러진 뼈 : 사건을 해결하는 퍼즐
과학동아
l
201606
사망한 시신은 얼굴 형태를 분간할 수 없을 정도로 머리뼈가 산산이 부서져 있었다. 피부
사이
로 희끗희끗 드러난 뼈를 보고 있자니 왠지 그가 겪었을 고통이 나에게도 전달되는 느낌이었다.이렇게 크게 손상된 시신을 다루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보는 것만 힘든 게 아니라 시신이 부패한 후에 ...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
과학동아
l
201606
문명의 대전환기를 살고 있다는 사실이다. 인공지능 같은 자율 기술의 등장이나 인간의
사이
보그화에 따른 사회의 급격한 변동은 우리의 세계관을 구성하는 근본 개념이나 원리, 관점들과 충돌하고 있다.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개념 프레임은 많은 부분 서구 근대의 휴머니즘(인간주의)에 기초하고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