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휴
공중 장애
아이들링
운행
헛돌기
대기잡음
잡음
d라이브러리
"
공전
"(으)로 총 60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의 질량은 어떻게 잴까?
과학동아
l
199207
우리 지구 시간으로 몇 년에 해당되는지 구하라.(2)지구 표면으로부터 높이 h인 원궤도를
공전
주기 P로 돌고 있는 인공위성이 있다. 이 인공위성을 추진시켜 높이를 2배로 올리면 그 주기는 어떻게 되겠는가 ... ...
지구한랭화를 주도하는 대빙하
과학동아
l
199207
최소각도인 21˚39에서 최대각도인 24˚36'으로 변하는 주기가 2만5백년임을 밝혀냈다.지구
공전
궤도에서의 타원이심률이 가장 크고 지구 자전축의 각도가 가장 작은 상태에 이를 때 북반구에서의 여름철 기온이 가장 낮아지게 된다. 이같이 기온이 떨어진 여름철에는 북위 65˚ 부근에서도 눈이 녹지 ... ...
3. 생체 리듬이란?
과학동아
l
199206
종합한 생체리듬을 점수화하여 실제 경기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지구나 달의 자전과
공전
으로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네계절이 규칙적으로 바뀌고 조수의 간만, 식물의 개화와 결실 낙엽 등 우리 자연계는 모두 일정한 리듬을 가지고 운동을 한다.이같은 리듬은 인체에도 적용이 되어서 최근 ... ...
가솔린과 디젤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9206
수리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셋째로 엔진의 압축압력이 높고 회전력이 커서
공전
운전시의 진동이 크다. 또 엔진의 압축비가 높으므로 기동전동기의 출력이 비교적 커야 한다.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제작비도 비싸다.상급 휘발유의 조건은?오늘날 환경보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 ...
새모습으로 활약 시작한 핼리탐사기 「선구호」
과학동아
l
199205
스윙바이 (swing-by, 행성의 중력장을 이용해 궤도수정을 하는 기술)를 이용해 지구
공전
궤도 가까이에 접근시키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궤도 수정 후의 중요 역할은 오로라의 발생 원인을 밝히는 것. 현재 오로라에 관련된 데이터가 전송돼 오고 있는 중이다.우주과학연구소는 선구호가 갖고 있는 ... ...
행성은 한 별자리에 머물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205
곧 져야 한다.둘째 금성 역시 자정이 막 지난 시각에 보 일 수 없다는 것이다. 내행성은
공전
궤도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언제나 태양 근처에 머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수성과 금성은 새벽 아니면 저녁에 밖에 볼 수 없다. 초승달 바로 옆에 금성은 갈 수 있다. 왜냐하면 행성이 머무는 ... ...
보름달이 초저녁 동쪽하늘에 뜨는 이유
과학동아
l
199204
북쪽에서 뜬다.( )6. 동지 3일 후 태양은 정서 방향보다 북쪽에서 진다.( )7. 만일 달의
공전
주기가 3일이라면 달은 서쪽에서 뜬다.( )8. 상현달은 자정쯤 진다.( )9. 그믐달은 보이지는 않지만 정오쯤 진다.( )10. 서기 2000년은 그레고리력으로 윤년이다.( )11. 서기 2000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윤년이다.( )(해답 ... ...
별은 왜 비스듬히 뜨고 지는가
과학동아
l
199203
우리는 천구의 연주운동이라 부른다.지구는 1년(약3백65일)동안 태양을 1바퀴(3백60°)
공전
하므로 궤도상에서 약 1°를 움직이게 된다(그림10). 따라서 어젯밤 자정에 남중했던 별은 오늘밤 자정에 남중하지 않고(그림10)에서처럼 반드시 서쪽으로 약 1° 치우쳐 있게 된다.이는 물론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 ...
별자리, 왜 계절에 따라 달라지나
과학동아
l
199202
서서히 이동하여야 한다. 따라서 지구가 1년 동안 A→B→C→D→A처럼 한 번 태양을
공전
하면 태양은 마치 대원 C′→D′→A′→B′→C′를 따라 천구를 일주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 대원을 우리는 황도라고 부른다.황도와 적도는 옛날 성도에 각각 노란색과 붉은색으로 그려진 데서 비롯된 이름이다. ... ...
시리우스가 간직한 두가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02
B의 관측은 시리우스 A의 밝기로 인해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두 별은 서로의 주위를
공전
하는데 그 주기는 50년이다.이달의 집중탐구/외뿔소자리의 보물겨울철의 대 삼각형 안에는 희미한 은하수의 별들 속에 눈에 띄지 않는 작은 별들이 외뿔소란 이름의 별자리로 불려지고 있다. 이 별자리는 다소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