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도
서울시
서울특별시
중앙
도읍
seoul
국도
d라이브러리
"
서울
"(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② 국내 연구진 벼·배추·고추에 주력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고추의 육종을 통한 종자생산에서 세계적인 기술을 가지고 있다.고추의 게놈연구는
서울
대 SRC분자유전육종센터(소장 김병동교수)를 중심으로 지난 1995년에 시작돼 활발하게 진행중이다.현재 3백개 이상의 표지를 가지는 유전자지도가 제작됐다.여기에는 제한효소를 이용해 자르거나,증폭 그리고 ... ...
① 애기장대 프로젝트 완료 임박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식물은 인류의 식량원인 동시에 청정한 환경을 위해서도 필수적이다.인간게놈프로젝트에 비해 널리 알려져 있지는 못했지만, 1990년대 초반에 시작한 애기장대 게놈프로젝트가 올해 말이면 그 결과를 드러낸다.세계 곳곳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식물게놈프로젝트를 만나보자. 1999년은 ... ...
정상인 능가하는 감동의 스포츠드라마 파랄림픽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서울
한 초등학교의 청각장애소녀가
서울
시장기 탁구대회에서 단·복식,단체전을 휩쓸며 화제가 된 적이 있다.10월 중순에는 장애를 이겨내는 스포츠드라마 시드니 파랄림픽이 있었다.과연 장애있는 선수들이 가진 능력의 한계는 어디까지일까.올림픽이 열릴 때면 경기기록의 결과뿐만 아니라 경기 ... ...
졸음없이 알레르기 치료하는 약물요법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코리아리서치가
서울
지역의 18-49세 남녀 1천9백99명을 대상으로 한 알레르기 조사에서 21.4%가 알레르기 환자라고 응답했다. 알레르기성 비염과 천식은 유전성이 강해 부모 중 어느 한쪽이 알레르기일 겨우 그 자녀가 알레르기를 겪을 확률이 약 40%다.이처럼 알레르기는 5명 중 한명이 겪고 있는 ... ...
고인돌 유적에서 발견된 별자리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비쳤으나 사실 이보다 더 객관적인 연구가 있었다.별자리 분석에 중심적인 역할을 한
서울
대 박창범 교수(지구환경과학부 천문학 전공)는 “눈으로 별자리를 확인하는 일보다 컴퓨터를 이용한 객관적인 접근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크고 작은 구멍 65개1978년 충북 청원군 문의면 가호리 아득이 ... ...
자연에 깃든 구조의 신비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벌집 구조로 만든 종이다리 위로 트럭이 지나가려 한다.흔히 종이다리가 무너질 것이라고 예상하지만 약간의 찌그러짐이 있었을 뿐 트럭은 보통 다리를 건너듯 쉽게 지나갔다.어떻게 종이가 트럭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 것일까.미국 샌프란시스코의 금문해협에 있는 금문교(Golden Gate Bridge)는 그 경 ... ...
Ⅲ. 새천년을 연 영예의 수상자들 : 순수물리 아성 깬 '응용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최근 10년간 우리 생활에 불어닥친 인터넷과 이동통신의 혁명이 이뤄질 수 있었던 기반은 어디에서 왔을까. 올해 노벨물리학상은 그 기반이 바로 물리학이었음을 말해준다. 이종접합구조(hetero-junction structure)라는 새로운 반도체 구조를 이용해 고속전자학과 광전자학을 발전시킨 러시아 이오페 연 ... ...
샴쌍둥이 분리수술 생명윤리의 딜레마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영국에서 태어난 샴쌍둥이 메리와 조디.심장이 없는 메리는 조디에게 생명을 완전히 의지하고 있다.의료진들은 조디를 살리기 위해서 메리를 분리할 것을 권유하고 부모는 메리를 죽이는 수술을 거부한다.과연 누가 생명을 끊는 결정권을 가지고 있을까.지난 8월 4일 영국 맨체스터의 성 메리 병원 ... ...
생명공학자가 되려면 어느 과를 가야 할까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않을까.그러나 우리나라가 세계 5개국만이 이뤄낸 복제기술을 보유하게 된 것이 바로
서울
대 수의과의 황우석교수 덕택이라는 것을 보면 여기서도 활발한 생명공학 연구가 이뤄지고 있음이 분명하다.생명과학 교수의 출신 학부에서도 이런 점이 확인된다.대표적인 사례로 포항공대 생명과학과의 ... ...
사랑의 신 에로스 베일 벗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둘레를 돌면서 영상관측을 했다. 이를 통해 측정한 에로스는 크기가 34km×11km×11km로
서울
면적의 절반 정도이고 부피는 2천5백㎦이며 모양은 길쭉한 감자를 닮았다.지상에서의 도플러 측정자료, 니어의 거리측정자료와 표면영상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 에로스의 질량은 6.69×${10}^{15}$kg이고 밀도는 2.67g ... ...
이전
535
536
537
538
539
540
541
542
5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