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네안데르탈인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의해 멸종됐음을 지지하는 연구결과를 발표해 주목을 끌고 있다. 스반테 파보
박사
가 이끄는 연구팀은 4만여년 전 네안데르탈인과 호모사피엔스의 미토콘드리아 DNA를 비교분석한 결과 둘의 염기서열이 뚜렷이 다르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미토콘드리아 DNA는 모계를 통해 전달되는데, 위의 결과는 두 ... ...
대중에게 다가서는 뇌과학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20일까지 전국 9개 도시에서 공개강연이 열렸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신희섭
박사
는 “뇌과학은 생물학뿐만 아니라 사회과학과도 연결되는 융합적인 학문입니다. 그래서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을 위해 마련된 이 강연회가 더 의미있는 것입니다”라며 자부심을 나타냈다.뇌기능연구사업단장인 ... ...
② 영화의 완성도, 과학자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했다. 미국 렌셀러공대의 리처드 라헤이
박사
와 오크리지국립연구소의 루시 테일야칸
박사
가 머그잔 크기의 시험관에 초음파를 쏘자 작은 기체방울이 생겼다가 터지면서 엄청난 에너지를 발산했다는 내용이다.연구팀은 이를 핵융합반응이라고 주장했다.하지만 영화 체인 리액션의 설정은 다소 ... ...
01. 맨틀에서 탄생한 한반도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약 5억년 전까지”라고 말했다.당시 한반도는 적도 20도 아래 남반구에 있었다. 그런데 이
박사
는 “최근에 한반도에서 초대륙 로디니아의 숨겨진 지구 역사의 실마리를 풀어줄 수 있는 단서들이 제시되고 있다”고 말한다. 백령도에서 당시의 기록이 남아있는 오래된 암석을 찾아낸 덕분이다. ... ...
4층 높이 전자현미경 대덕에 등장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초고전압투과전자현미경 사업을 이끄는 나노환경연구부 전자현미경팀의 김윤중
박사
는 “한 시료를 3가지 방향으로 움직여 서로 다르게 보이는 이미지를 획득한 것은 세계적으로도 전례가 없는 일”이라며 자부심을 나타낸다. 초고전압투과전자현미경은 3차원 구조를 모르는 단백질을 여러 ... ...
잠은 문제 해결의 마법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늘려주는 것이 잘못된 것일까. 연구팀은 미국 뉴저지주립대의 게오르기 부즈사키
박사
가 주장한 2단계 기억 모델로 상반된 실험결과를 설명했다.이 모델에 따르면 장기기억은 뇌 해마와 신피질 사이의 쌍방향 통신으로 형성된다. 깨어있을 때는 새롭게 획득된 지식이 해마로 전달돼 임시로 ... ...
퀴리부부, 라듐의 존재를 입증하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발견하게 된다.이즈음 마리 퀴리는 베끄렐의 발견에 특히 흥미를 느껴 이를 자신의
박사
논문 주제로 삼기로 했다. 뢴트겐의 X선은 외부에서 에너지를 주입해야만 발생할 수 있는 반면, 베끄렐의 방사선은 이런 에너지 없이도 저절로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마리 퀴리는 이런 현상이 어쩌면 ... ...
독심술 기계 나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웹 검색엔진에 넣어 관련 정보를 찾는데 성공했다.연구팀을 이끌고 있는 척 조젠슨
박사
는 “실제 말하지 않고 혼잣말이나 상상만 해도 생체신호가 발생한다” 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말을 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한 우주비행사가 도움을 청하거나 탐사차량을 부르는 수단으로 사용될 전망이다.영국 ... ...
소행성에 한국과학자 이름 붙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박사
와 이병철 연구원이 보현산천문대에서 지름 1.8m 망원경으로 발견한 것이다. 전
박사
는 “이들은 지름이 2-6km인 암석덩어리로 태양으로부터 3억5천만-5억km 떨어진 채 태양 주변을 돌고 있다”고 설명했다.문 연구원은 “소행성들의 이름을 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문화재단이 공동으로 설립한 ... ...
6번째 멸종기 다가오나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에도 대멸종이 일어났다.이날 사이언스에 함께 실린 영국 개방대의 칼리 스티븐스
박사
연구팀의 논문에 따르면 최근의 대규모 개체수 감소는 축산업과 화석연료가 원인이었다. 영국의 초지 68군데를 조사한 결과 화석연료의 연소나 가축의 배설물을 통해 토양에 축적된 과도한 양의 질소가 ... ...
이전
535
536
537
538
539
540
541
542
5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