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별 인터뷰] 개구쟁이 로봇과학자 데니스 홍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1호
- 부모님 덕분에 로봇과학자가 될 수 있었어요.로봇 개발만으로도 힘들 것 같은데, 꿈이 세 개나 더 있다고요?요리사와 마술사, 놀이기구 디자이너가 꿈이랍니다. 제가 좋아하고, 잘하고, 가치 있는 일이기 때문이에요. 취미로 하는 것이 아니라 온 힘을 다해 노력하고 있지요. 요리사로 ‘마스터 셰프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漢(한)字(자) 과학 (科學)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1호
- 氣)’는 ‘기운 기(气)’와 ‘쌀 미(米)’가 합쳐진 한자예요. ‘기(气)’는 아지랑이나 안개 등이 옆으로 깔려 있는 모습을 본뜬 한자로 기운, 김, 수증기 등의 뜻을 담고 있어요. 즉, ‘쌀로 김이 나도록 지은 밥을 먹으면 기운이 난다’는 뜻에서 ‘기(氣)’라는 한자가 만들어졌답니다 ... ...
- 좌우를 바꾸고, 크기를 키우고~ 거울과 렌즈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1호
- 좁은 틈이나 장애물을 만나 넓게 퍼지는 현상을 ‘빛의 회절’이라고 해요. 또 구멍을 두 개 나란히 두고 한꺼번에 빛을 비추면 회절해서 퍼지는 빛이 서로 만나면서 새로운 무늬를 그리게 돼요. 바로 ‘빛의 간섭’ 현상이지요.이렇게 회절과 간섭이 일어나는 이유는 빛이 소리나 전파와 마찬가지로 ... ...
- [현장취재 1] 2015 팬파티 현장 대공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6모둠 친구들은 얇고 넓은 종이 접시를 뒤집어서 밑에 깔고, 그 위에 나무젓가락 4개로 삼각대처럼 균형을 잡아 안정적인 기초를 만들었어요. 그리고 그 위에 종이컵을 뒤집어 올리고, 다시 그 위에 나무젓가락을 세운 뒤 로고가 그려진 판을 붙여서 탑을 완성했지요.선물 증정과 ... ...
- PART1. 영화로 보는 화성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한 대는 이동용, 다른 한 대는 생명 유지 장치를 비롯한 여러 장비들을 싣는 화물용으로 개조했어요. 그리고 스키아파렐리에 도착해 화성을 떠나기까지 약 100 일 간 필요한 물품들도 로버에 실었지요.이제 출발! 지구에서 여행을 갈 때는 잘 모르는 길도 네비게이션이 길을 알려 주지만, 로버에는 ... ...
- 2015 바이오블리츠-생물다양성탐사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만났을까?1등급 강에 물고기가 번쩍번쩍~바이오블리츠 참가자 400여 명은 약 20명씩 16개 조로 나뉘어 태화강대공원 곳곳에서 탐사를 시작했어. 어과동 기자단은 K조로, 어류탐사부터 시작했단다. 이번 행사는 태화강대공원에서 열린 만큼 태화강에 살고 있는 어류 친구들을 찾는 것이 중요했어 ... ...
- [대결~! 섭섭박사를 이겨라!] 스르륵~ 표면장력으로 가는 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사이에 당기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생겨요.예를 들어 물은 수소(H) 두 개와 산소(O) 한 개가 결합한 H2O라는 분자들로 이루어져 있어요. 물 분자들 사이에는 *수소결합으로 인해 서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고 있지요. 즉, 물속에 있는 물 분자들은 이웃에 있는 물 분자들에 의해 모든 방향으로 당겨지고 ... ...
- PART3. 화성탐사의 역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소개한다.화성 탐사는 왜 중요할까?지난 9월 29일, 미국항공우주국은 화성에서 소금물이 개천처럼 흐르고 있는 증거를 찾았다고 발표했어요. 이미 화성 극지에 얼음 상태의 물이 존재한다는 것은 알려져 있었지만, 액체 상태의 물이 발견된 건 이번이 처음이에요. 이번 발견은 화성정찰위성이 보내온 ... ...
- IT창의과학탐험대 - 신서유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57년 전에 처음 만드고 이후로 지금의 스마트폰까지 60년 동안 꾸준히 통신장비를 개발하고 있어요.”IT창의과학탐험대의 중국 탐방은 첨단 과학 기술의 현장을 직접 볼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이었어요. 그나저나 근두운은 찾았냐고요? SK하이닉스의 OHT 로봇과 동방통신의 통신안테나가 IT근두운과 ... ...
- 알록달록, 카멜레온처럼 변하는 전자피부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34m, 몸무게 190톤 정도니까요.여러분이 말하는 ‘고래’는 수염고래목과 이빨고래목 두 개로 나뉘어요. 과학자들은 이 둘이 3400만 년 전에 갈라졌다고 보고 있죠. 그리고 이 두 고래목엔 모두 40종 이상의 고래가 포함돼 있답니다.똑똑한 동물이라고 알려져 있던데….맞아요. 우린 서로 가르치고 ... ...
이전5355365375385395405415425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