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hemistry
화학기계
기계
화학물리학
물리학
자연 과학
뉴스
"
화학
"(으)로 총 6,976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강의 기적’ 이끈 KIST 성공신화, 베트남에서 다시 쓴다
2017.04.21
돕는다’는 내용이었다. 연구소 건립을 책임질 초대 원장으로 미국 미네소타대에서
화학
야금학 박사학위를 받은 최형섭 박사(전 과학기술처 장관)가 낙점됐다. 그는 미국 측에 “한국 실정에 맞는 연구가 필요하니 산업연구 중심의 ‘바텔연구소’ 시스템을 도입하고 싶다”고 제안했다. 이렇게 ... ...
[미래학교를 꿈꾸다①] 미래학교를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4.20
핀란드 까사부오렌 학교 4) (인성 우선 추구) 인성교육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구성(예:
화학
시간에 자유롭게 주기율표를 분석하는 학생들의 특징을 관찰해 호기심영역 분석)하는 영국 버밍업대학 부설중학교 5) (포용 우선 추구)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에 살고 있는 지역사회(약 50여 인종) ... ...
DNA로 만든 다이아몬드 구조 광결정
과학동아
l
2017.04.20
선택적으로 반사시키는 재료로 고효율 광소자를 만드는 데 쓰인다. 이기라 성균관대
화학
공학부 교수팀은 서로 짝을 이루는 유전자 정보를 갖는 DNA를 나노입자에 붙이고, 이것들이 짝을 찾아 결합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탄소로 이뤄진 다이아몬드 결정의 3차원 구조와 같은 배열을 나노입자가 ... ...
화면을 누르는 세기까지 포착하는 터치스크린
동아사이언스
l
2017.04.18
터치스크린 개발을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 고현협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 및
화학
공학부 교수팀은 미국 듀크대와 공동으로 은 나노와이어로 만든 투명 ‘플렉시블 역학변색형 압력감지 터치스크린’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터치스크린은 사람의 손이나 펜 등 물체가 닿으면 접촉 ... ...
뇌 20배 이상 팽창…20나노미터 초미세구조까지 정밀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17.04.18
주면 뇌 조직 내의 하이드로겔이 물을 흡수하면서 뇌가 팽창하는 원리다. 장 교수는 “
화학
처리를 거쳐 20배로 팽창한 뇌는 물에 넣었을 때 보이지 않는 완전 투명 상태가 된다”며 “이를 활용하면 뇌신경세포(뉴런)들을 자세히 관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배양세포에 한해서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어떤 사람들은 오이를 싫어할까?
2017.04.18
다른 사람들의 취향을 존중할 수 있게 되지 않을까.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
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 ...
전통 막걸리, ‘미생물 배합’으로 부활할까
과학동아
l
2017.04.18
알고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온도가 20°C 이상 올라가면 미생물 A가 대사산물로 a 라는
화학
물질을 만들어내는데, 이 물질이 B에게는 치명적이다’는 식의 관계다. 이 관계를 파악해야 모두 공존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선임연구원은 “우리나라엔 김치와 된장처럼 복합 미생물이 존재하는 ... ...
암 사망률 1위 ‘폐암’, 진료 잘하는 병원은 어디?
포커스뉴스
l
2017.04.17
대비 가장 많이 하락한 지표는 ‘수술불가능 3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동시병용 항암
화학
방사선요법 시행률’이며, 2차 평가 결과 (97.8%)보다 3.6%p 하락한 94.2% 수준이었다. 또한 심사평가원은 적정성평가 대상이 10건 이상인 89개 기관에 대해 종합점수와 등급을 산출한 결과 1등급기관이 80개 기관(89. ... ...
‘노래하는 장미’ 나올까 전자 부품이 된 식물
과학동아
l
2017.04.17
e-Plant)’이 처음 등장한 것은 불과 반년 전이다. 지난해 10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화학
공학과 마이클 스트라노 교수팀은 폭탄이나 지뢰에 주로 쓰이는 질화방향족을 감지하는 시금치를 개발해 ‘네이처 머티리얼스’에 발표하기도 했다. 연구팀은 식물의 뿌리를 이용해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 ...
[표지로 읽는 과학] 도마뱀은 어떻게 자기 고유의 무늬를 만들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4.16
015년 3월호 나는 수학자다 앨런 튜링) 튜링은 이렇게 세포 속에서 일어나는 형태소의
화학
반응을 미분방정식을 이용해 설명했습니다. 튜링의 연구는 당시엔 주목받지 못했지만, 튜링의 방정식으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거치면 실제 동물 무늬를 재현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후대에 이어지면서 ... ...
이전
534
535
536
537
538
539
540
541
5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