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후
"(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왜 생명과학자는 단백질에 유독 관심을 가질까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경주가 시작된다”라는 기사가 실렸다. 무슨 말일까.이는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완성
이후
생명과학자들이 매진할 문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바로 인간프로테옴이라는 것을.게놈은 한 생명체가 갖는 유전자 전체(유전체)를 의미한다. 그리고 프로테옴은 단백질의 영문표현인‘protein’과 전체를 뜻하는 ... ...
두나무 가지 이어져 한 몸 된 연리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은행나무 침대’에서처럼 사랑의 인연이 1천년 뒤에 나타나듯이, 고려 성종 6년(987)
이후
기록상으로는 처음 모습을 보인 연리지의 출현은 21세기의 첨단 과학문명 시대에 들어선 오늘에도 전설로만이 아니라 분명 길조로 다가오는 느낌이다.그래서 새롭게 찾아진 연리지가 연인, 부모와 자식, ... ...
위대한 유산 과학을 남긴 가문 - 캐번디시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반영되도록 견인차 역할을 톡톡히 수행했다. 그가 제출한 총 8차례의 방대한 보고서는
이후
국가 과학정책 수립의 중요한 지침서가 됐고, 그 결과 폭넓은 대중은 처음으로 과학과 만날 수 있게 됐다.캐번디시 가문의 과학사랑은 오늘날에도 멈추지 않고 있다.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경계 쯤에 ... ...
초음파 진단이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 두가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태아의 뇌발달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닌가”라고 덧붙였다.이 조사에 따르면 1976년
이후
에 태어난 남성에게서 왼손잡이 비율이 뚜렷이 증가했다. 그런데 이해에 스웨덴에서 산모가 2차례의 초음파 진단을 받는 것이 일반화됐다. 킬러 박사는“최근 부모가 기념으로 태아의 초음파 영상을 찍는 ... ...
BT - 생체 혁명 주도하는 전초기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요인을 분석할 수 있다.밥을 먹고 달리는 자동차지난 2001년 인간 유전체 정보가 정립된
이후
세계 생명과학계와 바이오산업체들의 꾸준한 연구노력으로 사람의 모든 생체분자들의 생산이 가능해졌다. 사람의 생체부품을 개별적으로 만들 수 있다는 얘기다. 즉 인터페론이나 성장호르몬, 인슐린과 ... ...
상부상조하는 지혜의 동물 말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정교한 기술을 겨룬다. 장애물경주 역시 1830년 영국의 센트올반스에서 처음 실시된
이후
올림픽 종목이 됐다.현재 승마는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오락으로 정착되고 있다. 최근 취미로 승마를 하고 싶은 사람을 위한 승마휴가까지 등장했다. 보통 하루에서 1주일 동안 호스트래킹(야회기승)을 하는 ... ...
한국여성 과학계 참여 10%도 못미쳐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화학과 석사를 취득한다. 그리고 1990년 8월 미국 휴스턴대에서 화학과 박사를 취득했다.
이후
곧바로 휴스턴대에서 연구교수로 2년간 재직했다. 국내에 들어와 오늘까지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으로 재직중이다.김박사는 지난 10여년간 전자부품과 리튬전지에 응용되는 전도성 고분자 소재를 ... ...
'몸이 재산' 프로선수 독특한 체격 진화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키도 마찬가지다. 약 23cm 더 크면 1년 정도 선수경력이 더 길었다. 선수들의 몸값이 1993년
이후
에 평균 1백만달러에 육박하고 선수생명력이 4.3년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선수의 체구가 그들의 경제적 이득과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계산해보면 신장이 1cm 더 크거나 체중이 1.3kg 더 나가면 ... ...
파브르의 곤충기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곤충들의 생활상을 쉽고 재미있게 정리해 1878년(55세)‘ 곤충기’1권을 발간했다.
이후
엄청난 열정으로 집필을 계속해 1907년(84세)에는‘곤충기’10권을 간행했고, 1909년에는 86세의 나이로 11권의 집필을 시작했다. 1915년 5월 파브르는 92세로 곤충 사랑의 긴 생애를 마감했다 ... ...
국내 연구진 탄소나노튜브 위치제어 성공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1997년 네덜란드 델프트대의 데커 연구팀은 최초의 탄소나노튜브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
이후
IBM사를 비롯한 몇몇 연구기관에서 탄소나노튜브 반도체소자의 개발을 앞다퉈 발표했다.하지만 현재까지 반도체소자 기판 위에 탄소나노튜브를 배치하는 방식은 매우 주먹구구식이다. 제조해낸 ... ...
이전
534
535
536
537
538
539
540
541
5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