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d라이브러리
"
알
"(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협력의 산물인가 경쟁의 산물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바딘과 브래튼이 이 소식을 쇼클리에게
알
렸을 때, 그는 대단히 기뻐하면서도 자신에게
알
리지도 않은 채 증폭기 디자인을 변경한 사실에 화를 냈다. 게다가 최초 구상자는 자신이라며 특허권이 자신에게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벨연구소가 그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아 특허권을 두 사람에게 ... ...
문자 메시지 촉감으로 이해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수 있었다.사람의 손가락 끝에는 1cm2당 1백개의 촉각세포가 있어 진동이 0.01mm만 벗어나도
알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에크밀러 교수는 “눈과 경쟁하려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관심있는 것은 ‘한시간 이내에’ 와 같이 몇개의 단어로 된 짧은 글을 하나의 감각 단위로 빠르게 전달하는 것이다” 라고 ... ...
아빠없이 태어난 쥐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수개미와 교미를 해 일벌이 될 암컷을 낳지만, 수컷은 모두 교미를 하지 않은채 낳은
알
에서 생겨난다. 그러나 상위동물인 포유류에서는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었다.포유류의 난자와 정자는 모두 1벌의 염색체를 갖고 있다. 이 둘이 만나 2벌의 염색체를 가진 개체가 태어나는 것이다. 드물게 ... ...
위성이 안전 착륙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구하는 것이다. 이때 오차가 동일하게 발생한다는 가정이 가능한 거리는 1백km 정도로
알
려져 있다.위성 기반 착륙시스템의 지상설비는 이런 원리를 이용해 그 지역에서 받는 위성 신호의 오차를 계산하고 이를 공항에 접근하는 모든 항공기에 전송한다. 각 항공기가 자신이 수신한 위성 신호에서 그 ... ...
예술로 피어난 과학 식물세밀화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바람에 날리는 민들레의 솜털 달린 씨앗 속에 감춰진, 우주처럼 다양하고 재미난 세상을
알
았으면 했습니다.”이 박사는 ‘광릉 숲에서 보내는 편지’ 에서 이렇게 쓰고 있다. 식물세밀화는 전문가들에게도 도움이 되겠지만 일반인들이 식물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식물을 사랑하게 되는데 좋은 ... ...
위암·간암 실체를 벗긴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세포에서 추출한 RNA를 떨어뜨리면 해당 유전자가 세포안에서 얼마나 발현됐는가를
알
수 있다.지난 2000년 초 출범한 ‘인간유전체기능연구사업단’ 은 한국인에게 흔한 위암과 간암의 발병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찾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 결과 지금까지 2천4백여종의 위암·간암 관련 ... ...
태양건축 에너지 완전자립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건물 모델과 에너지 절약 기술을 토대로 에너지 자립도도 예측해냈다. 지금까지 서로
알
력관계에 있던 건축가와 에너지 전문가가 조화를 이뤄 만든 합작품인 셈이다. 이는 21세기 건축이 지향해야 할 큰 방향이다 ... ...
1. 반갑다 향고래야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수집하는 작업이다. 한반도 연안의 고래수는 아마도 이번 조사가 완전히 끝나봐야
알
수 있을 것이다.2004년도 IWC과학위원회 연례회의에서는 1999년부터 수행해온 이 조사자료와 각종 유전정보, 주변국 조사자료들을 모두 모아 한반도 주변 밍크고래에 대한 첫 자원평가를 수행할 예정이다. 이번 ... ...
지구가 선사한 어린이날 선물,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때의 달을 자세히 살펴보면 달의 어두운 경계면이 둥그런 원호를 그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사실은 오래 전부터 지구가 둥글다는 점을 간접적으로 증명해주기도 했다. 한편 월식 때 달의 밝고 어두운 경계면은 명확하지 못하다. 지구의 대기가 태양빛을 굴절시키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 ...
아프리카 '루시' 부터 평양 '만달인' 까지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넘어가자 드디어 아프리카뿐 아니라 아시아도 인류의 무대가 된다. 우리에게도 잘
알
려진 북경인과 자바인으로 이들은 호모 에렉투스에 속한다. 아직 화석증거는 나오지 않았지만 한반도에 가장 먼저 살았던 인류도 호모 에렉투스였을 것이다. 호모 에렉투스는 약 1백60만년 전 호모 ... ...
이전
532
533
534
535
536
537
538
539
5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