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1. 물질세계의 터널 공사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카탈라아제라는 효소작용 실험에서도 훌륭한 재료로 쓰인다.거의 모든 동물과 호기성 미
생물
에서 발견되는 카탈라아제와 식물에서 발견되는 카탈라아제의 일종인 페록시다아제는 지질의 물질대사 과정에서 나오는 유해 산물인 과산화수소를 제거하고 있다. 식물의 경우 대사산물인 과산화수소는 ... ...
과학을 선도하는 SF 상상력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농담처럼 삽입한 이 장면을 보고 사람들은 폭소를 터뜨렸다. 그런데 그후 분자
생물
학과 유전공학은 눈부신 발전을 거듭했고, 1990년에는 '인간 게놈 프로젝트' 에 착수하기에 이르렀다. 이런 세태를 반영이라도 하듯 영화 '쥬라기 공원'은 매우 구체적이고 그럴싸한 공룡 복제 과정을 실감나게 ... ...
인간 버금가는 낙농의 대가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인간이 처음으로 소 돼지 개 고양이 등의 가축을 키우기 시작한 것이 언제부터인지는 분명치 않다. 아무튼 인간만큼 다른 동물들로부터 음식의 많은 부분을 얻는 동물도 없다. 쇠고기나 돼지고기 등 몸을 이루는 조직을 직접 섭취함은 물론 달걀이나 우유처럼 그들이 번식을 위해 만들어내는 물질 ... ...
1. 힘과 운동-그래프 해석 중요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바꿀 때 각 지느러미는 어떻게 움직일까?이때 어떤 힘이 작용할까?유글레나와 같은 원생
생물
은 채찍처럼 생긴 편모라는 꼬리로 물을 치면서 앞으로 나아간다. 오징어는 옆에 달린 지느러미를 사용해서 앞으로 나아간다. 오징어는 옆에 달린 지느러미를 사용해서 앞으로 나아간다. 그러나 위험이 ... ...
서울 면적의 1.6배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잎이 나고 꽃이 피고 열매를 맺는 시간이 신속해야 한다. 일단 벌초가 시작되더라도 그 희
생물
이 되지 않도록 작은 키를 가져야 한다. 무차별 번식이 가능한 '게릴라 번식법'도 필요하다.이런 전략을 갖춘 식물들은 적지 않다. 잔디 토끼풀 마디풀 실망초 석류풀 다닥냉이 김의털 멍석딸기 금강아지풀 ... ...
2. 바닷속 파이어니어 심해탐사정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발견해 심해가 자원의 보고임을 밝혀내는 혁혁한 공을 세운다. 또 심해저에서 살고 있는
생물
들을 발견하기도 했다. 1985년 로버트 발라드는 앨빈을 타고 북극해에 침몰한 호화여객선 타이타닉을 찾아내 세계를 흥분케 했다. 앨빈은 수심 4천m에서 지금도 탐사활동을 벌이고 있다.섬나라인 일본은 ... ...
1년 교과서 교육보다 하루 현장실습이 효과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10여통 찍었습니다. 슬라이드로 학생에게 보여주며 설명하고 싶어요문병권현미경 위주의
생물
교육이 야외실습 중심으로 변해야 합니다. 사실 제 학교 앞이 저수지인데, 그동안 무심코 지나쳤어요. 이제는 도감만 있으면 새를 구별할 수 있는 자신감을 얻었으니 학생들과 주변부터 관찰을 시작하려고 ... ...
최초의 농사꾼 잎꾼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펜실베니아대 하버드대에서 각각 생태학과
생물
학 석사과정을 마친 후 1990년 하버드대
생물
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하버드대 터프대 미시간대 등의 교수직을 거쳐 1994년부터 서울대에서 재직하고 있다. 현재 미시간대 동물학박물관 연구원. 국제 학술지(Journal of Insect Behavior) 편집위원으로 ... ...
3.
생물
학 교과서 다시 써야 심해
생물
1천만종 넘는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드문 반면 새로 발견될 것으로 추정되는 동물 수는 아주 많기 때문에 심해에 서식하는
생물
을 식별하는 데만도 수천년이 걸릴지도 모른다고 그는 말했다. "우리가 찾아내는 동물을 철저하게 연구하지 않는다면 많은 종들이 기술되기도 전에 멸종의 위기를 맞이할지도 모른다. ... ...
공룡은 암에 걸려 멸종됐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떨어진 곳에서 1억년마다 한번씩 발생한다고 계산해냈다. 그리고 각각의 초신성 폭발은
생물
조직 1kg당 1만9천번의 반동을 가져오며 각 반동은 10nm(10억분의 1m) 길이의 트랙을 가진 1천eV 이상의 에너지를 침전시킨다고 한다.콜라박사는 이같은 반동이 가진 잠재적 파괴력을 일상적인 방사능 손상과 ... ...
이전
531
532
533
534
535
536
537
538
5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