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태양계 밖 - 외계행성의 비밀을 풀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결과, 실제로 이 행성이 빠른 속도로 증발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어요. GJ 3470b는 20억 년 만에 전체 질량의 1/3을 잃어버렸으며, 이는 비슷한 현상을 겪고 있는 GJ 436b보다 100배나 빠른 속도지요. 연구팀은 이렇게 빠른 속도로 증발하는 이유를 밝혀내면 행성의 수명이 무엇에 영향을 받는지 알아낼 ... ...
- [가상인터뷰] 도시 개구리가 숲 개구리보다 인기가 많은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많이 내면 위험해. 우리의 위치가 노출돼 포식자에게 잡아먹힐 수 있기 때문이야. 2006년 미국 텍사스대학교 라이언 박사 연구팀은 우리의 천적인 박쥐나 흡혈 파리도 ‘크릭’ 소리를 듣고 우리를 찾아낸다는 연구를 발표했어. 다행히 도시에는 천적이 많지 않아. 일리 : 숲으로 돌아가면 ‘크릭’ ... ...
- Part 2. 변신 2 - 사람을 살린다! 의료용 돼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8마리에게 돼지의 췌도를 이식하는 실험을 진행해 성공했어요. 이 결과를 바탕으로 2019년엔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싶어요. 그런데 아직 우리나라에는 이종장기 이식에 관련된 규정이 마련돼 있지 않아요. 식품의약품안전처와 규정을 논의한 뒤, 임상시험을 진행할 계획이랍니다 ... ...
- 2022학년도 대학입학제도 개편 내용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 학생부 기재방안 변화-수상경력 한 학기에 1개, 총 6개로 제한-자율동아리 학년당 1개에 한하여 기재, 소논문은 기재하지 않기로-자기소개서 4개 문항 5,000자에서 3개 문항 3,100자로 축소-교사추천서 폐지 학생부 기재 및 관리에 있어서는 학교 선생님의 역량에 따라 차이가 발생한다는 논란이 ... ...
- [과학뉴스] 거울을 터치스크린으로 만들어 유튜브 영상 본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터치스크린이 되는 새로운 터치 인터페이스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이 기술은 2018년 11월 4~7일 중국 선전에서 열린 모바일 및 센싱 분야의 국제학회인 ‘미국컴퓨터협회 센시스’에서 발표돼 ‘베스트 페이퍼 러너업 어워드’를 수상했다 ... ...
- [과학뉴스] 中 연구팀, 두부 집을 수 있는 로봇 손 개발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부드럽거나 깨지기 쉬운 물체도 쉽게 잡을 수 있다. 조작도 간단하다. 첸 교수팀은 2018년 8월 9~11일 호주 뉴캐슬에서 열린 ‘국제지능로봇및응용콘퍼런스’에서 이 로봇 손에 관한 기술을 공개했다. 첸 교수는 최근 중국신문망과의 인터뷰에서 “양산에 들어가면 로봇 손의 제조 원가를 1000위안(약 1 ... ...
- [과학뉴스] 스스로 움직이는 식물 ‘엘로완’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하프릿 사린 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스스로 움직이는 식물 ‘엘로완’을 개발해 2018년 12월 7일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태양을 따라 움직이는 해바라기처럼 식물은 빛에 반응한다. 빛의 변화가 감지되면 식물은 잎과 줄기 등에 전기화학적 신호를 보낸다. 연구팀은 이를 이용해 식물이 담긴 ... ...
- [이달의 PICK] 한반도에서 자취 감춘 호랑이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치료책을 찾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고양잇과 동물의 독특한 점은 1100만 년 동안 37종으로 빠르게 종분화가 이뤄졌다는 점이다(같은 기간 오랑우탄과 인간은 영장류 네다섯 종을 사이에 두고 분화했다). 또 고양잇과 동물은 서로 게놈 서열이 비슷하고 염색체 개수가 같아 교배도 ... ...
- [이달의 PICK] 삼겹살 기름으로 화력 발전? 석유 대신할 바이오중유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발전을 하고 있다”며 “이는 제주시 전기 공급량의 8%를 담당하는 수치인데, 2019년부터 나머지 중유 발전기(기력 2호기)도 바이오중유로 발전해 15%까지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사용하는 연료를 통일하면 발전소를 운용하기가 그만큼 쉽기 때문이다. 중부발전 제주발전본부는 내연 발전기도 ... ...
- Part 1. 달 탐사 기술의 어제와 오늘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옥토끼를 내리다달에 사는 앙증맞고 흰 옥토끼의 모습이 카메라에 포착됐다. 중국은 2007년과 2010년 각각 ‘창어 1호’와 ‘창어 2호’를 달 궤도에 진입시켰다. 그리고 2013년 12월에는 ‘창어 3호’에 달 로버 옥토끼(玉兎)를 실어 보내 14일 달 표면에 착륙시켰다. 옛 소련이 1973년 ‘루노호트 ...
이전5315325335345355365375385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