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료
데이타
정보
data
인포메이션
은행
뉴스
"
데이터
"(으)로 총 8,410건 검색되었습니다.
빌 게이츠는 왜 세계 최대 과학행사에 나타날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2.10
강화 방안 등이 논의된다. 이와 함께 인공지능(AI)과 심리학, 기술, 화학, 자연재해, 빅
데이터
등도 논의 대상에 올라 120여개가 넘는 세션이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행사에서는 게이츠 창업자가 기조 강연자로 나서 눈길을 끈다.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일명 우한폐렴) 백신 개발에 1억달러 ... ...
"3시간 뒤에 우리 동네 비올까?" AI 예보관에게 물어보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2.10
기상 레이더 관측 영상
데이터
와 미국의 기상위성인 '고스(GOES)-16'호와 17호가 측정한
데이터
를 머신러닝의 일종인 합성곱신경망(CNN)인 ‘유넷(U-NET)에 넣어 학습한다. 유넷은 이미지 분류에 널리 쓰이는 AI 기술인데 구글은 이를 기상 예측에 맞게 바꿨다. 브롬버그 총괄은 “미국이 워낙 넓기 ... ...
기존 바이러스 유전체와는 다른 새로운 바이러스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0.02.09
아니다. 학계에 따르면 하수구에 서식하는 바이러스의 95% 이상은 기존 바이러스 유전체
데이터
와 일치하지 않는다. 야라바이러스의 유전자 중 일부는 크기가 큰 박테리아의 유전자처럼 보이지만 관련성은 확실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국립암연구소의 연구진은 또 동물 조직에서 유두종 ... ...
국내 연구팀 "中 이민자·유학생 많은 나라일수록 신종 코로나 발생 가능성 높다 "
동아사이언스
l
2020.02.07
이 과정이 현재 거의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박 교수는 “한국 실정에 맞게 재난분야별
데이터
수집 체계와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며 “이 과정이 이뤄지지 않으면 사람들이 정보탐색에 직접 나서면서 가짜뉴스도 증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한우 영남대 ... ...
왜 어린이 신종 코로나 환자는 의외로 적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2.06
해선 안된다고 조언한다. 페이리스 학과장은 “가벼운 증상을 겪는 환자에 대한
데이터
가 적어 아동 감염 사례가 확인되지 않고 있는 것일 수 있다”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계절성 독감처럼 크게 확산된다면 더 많은 아동 감염 사례를 발견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과학혁명의 배경
2020.02.06
참된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먼저 아무런 편견 없이 중립적인 태도로 관찰과 실험을 통해
데이터
를 수집한다. 그 다음, 이로부터 귀납적으로 일반화된 법칙을 이끌어낸다. 이로부터 새로운 결과를 예측하고 다시 실험을 통해 검증한다. 근대과학이 성립되는 과정을 좀 과장해서 말하자면 고대와 중세 ... ...
ETRI 딥러닝 기술이전 받은 연구소 기업 2곳 세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06
이전 받은 기술을 기반으로 연구소 기업을 설립했다. 연구소 기업을 통해 영상
데이터
처리 자동화 기술과 문서 전처리 자동화 기술 사업화에 나선다. 이전 받은 기술과 인튜웍스가 기존에 가지고 있던 동영상 처리 AI 기술에 접목할 예정이다 . 딥인스펙션은 터널이나 교량 등 공공시설물 안전점검의 ... ...
"중국 신종코로나 1명이 최대 3.6명 전파…한국 '메르스' 수준"
연합뉴스
l
2020.02.06
1월 30일자)에 따르면, 홍콩대 연구팀은 지난달 10∼24일 중국 내 신종코로나 환자 발생
데이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재생산지수를 최소 2.24명에서 최대 3.58명으로 추산했다. 이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지난달 24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재생산지수를 1.4∼2.5명으로 추정한 것보다 크게 ... ...
석박사 730명·논문 2100편 성과 홍보하던 '국제공동연구센터' 문 닫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05
이사장은 “제가 서울대 연구처장으로 재직하며 황우석 전 교수 사태를 겪을 때에 비해
데이터
조작 등의 연구부정 문제는 많이 줄었다고 느낀다”며 “하지만 부실학회 참석이나 부식학술지 게재, 연구실 갑질, 저자권 문제 등 기존에는 연구부정이라고 생각하지 못했던 부절적한 행위의 범위가 ... ...
사이언스誌 "독일 무증상 감염 사례 틀렸다"…"무증상 감염 가능성 여전히 유효"
동아사이언스
l
2020.02.04
말했다. 마르크 립치 미국 하버드대 감염학과 교수는 “더 많은
데이터
가 곧 나올 것”이라며 “그것에 대해 우리는 기다릴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 ...
이전
530
531
532
533
534
535
536
537
5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