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외계행성을 지구처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표면 온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생각이었다. 훗날 세이건은 저서인 ‘창백한 푸른
점
’에서 금성의 대기가 예상보다 짙다며 이 방법이 통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그러나 금성보다 이산화탄소가 적은 외계행성이라면 충분히 시도해 볼 수 있다.외계행성에서 농작물을 기르는 ... ...
한국 인공태양 핵융합 리더가 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여러 나라가 비용과 정책을 공유해야 오랜 시간을 안정적으로 연구할 수 있다. 이런
점
에서 ITER 사무국으로서는 핵융합 연구에 정부가 깊이 개입하고 있는 한국을 환영할 수밖에 없다. ITER를 건설할 때 한국이 설계, 제작하기로 한 9.09%의 부품은 금액으로 환산하면 약 1조 1000억 원에 달해 우리나라의 ... ...
건축에 대한 발칙한 상상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하우스’를 지은 사례를 소개한다. 집의 내부는 언뜻 보기에 일반 건물과 별다른
점
이 없다. 하지만 재미있는 특징이 하나 숨어 있다. 실내 중앙에 책상과 의자가 놓인 부분이 공중으로 떠오를 수 있다. 그 부분만 바닥이 위아래로 이동해 1층과 2층을 연결한다. 이 집 주인은 교통사고를 겪은 뒤 ... ...
인류의 에너지원 ‘별’ 탐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질량이 아주 큰 별은 최후를 맞을 때 중성자별보다도 더 수축해 마치 모든 질량이 한
점
에 모인 것처럼 된다. 이런 천체가 블랙홀(black hole)이다. 블랙홀은 중력이 너무 강해서 어떤 물질도, 심지어 빛 조차도 그 중력권을 벗어나지 못한다.질량이 작은 별은 백색 왜성으로 종말을 맞는다. 이때는 ... ...
그 곳에 생명이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이뤄지지 않는다. 두 종족 사이에 공통적인 기반이 없다면 절대 서로 이해할 수 없다는
점
을 잘 보여 주는 작품이다.이와 비슷하게 우주에서 사는 생명에 대한 가설도 있다. 광대한 영역에 퍼져 있는 우주 먼지가 초전도 상태에서 전자기 신호로 연결돼 의식이 있는 지성체로 진화할 수 있다는 ... ...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것은 온도에 따라 김치를 숙성시키는 여러 가지 젖산균의 활동 범위도 각각 다 다르다는
점
이다. 일정한 온도에 계속 놓아두면 김치 특유의 깊은 맛이 덜 할 수도 있다.김치가 자연스럽게 맛있게 익으려면 재료와 온도, 시간 등을 조절해 적당한 신맛을 내게 하는 것이 최선이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 ...
모의평가와 EBS 꼼꼼히 분석해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꼼꼼히
점
검 마지막으로 EBS교재를 푸는 것만큼 기출문제를 푸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
을 잊지 말아야 한다. EBS교재에 실린 문제들은 대다수가 기출문제의 변형 문제다. 그간의 수능 기출 문제와 평가원 모의평가, 교육청 모의평가까지 꼼꼼하게 풀어보면 EBS교재의 출제 변화를 알 수 있다. 현장에서 ... ...
‘빛 좋은 개살구’가 보약이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즉 자두와 살구를 교배했죠. 자두의 붉은 껍질과 살구의 과육을 가졌습니다. 재미있는
점
은 자두와 살구의 맛과 향이 동시에 난다는 거예요. 항산화작용과 항암작용을 하는 플라보노이드도 자두와 복숭아, 살구보다 플럼코트에 월등히 많이 들어 있죠.청이 와~. 박사님 설명을 들으니 제가 제대로 ... ...
세계는 지금 특허 전쟁 중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강조했다. 박 박사는 특히 특허기술을 갖기 위해 당장의 결실보다는 미래를 내다보는 관
점
을 주문했다. 최소 20년 이상을 내다볼 수 있는 장기 투자만이 그 후 수십 년을 이끄는 특허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 ...
아다 요나트 박사와 과학 꿈나무들의 만남!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밝혀내 2009년 노벨화학상을 받으셨답니다.오늘 이 행사는 아다 요나트 박사님께 궁금한
점
을 질문한 친구들이 초청돼, 직접 박사님께 설명을 듣는 자리예요. 박사님은 어떤 이야기를 들려 주실까요?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귀 기울여 보세요! 생명체 탄생의 비밀, 리보솜꼬마 과학자들, 안녕. ... ...
이전
530
531
532
533
534
535
536
537
5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