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d라이브러리
"
동물
"(으)로 총 6,508건 검색되었습니다.
1. 참을 수 없는 고통의 메커니즘 : 몸 이상 알리는 적신호 위험 경고하는 통각신경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모두 통각을 느낄 수 있으며, 그 도움으로 외부의 위험에 대항해 왔다. 그러나 덩치가 큰
동물
일수록 통각을 전달하는 감각신경의 전도속도가 늦기 때문에 유해한 자극에 대항하기에 여러가지 불리한 점이 있다. 공룡도 이런 불리한 점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몸 길이가 30m이상 돼 '정글의 기린' ... ...
동맥경화 해결사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확인할 수 있었다. 머크는 '로바스타틴'이라 명명된 이 물질을 1980년 특허출원했고
동물
을 사용한 안정성 실험에도 통과해 곧 임상시험 단계로 이어졌다. 이 모든 연구 개발 책임자는 알버츠였다.그런데 머크 연구소에 충격적인 소식이 날아들었다. 일본 과학자들이 이미 같은 물질을 발견했지만 ... ...
확산되는 현대인의 불안심리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50% 정도에서 언젠가 증세가 재발할 것으로 추측된다.어느 비오는 토요일 오후, 런던
동물
원에서는 이상한 모임이 열리고 있었다. 30명의 여자들이 최면에 걸려 팔을 벌리고 눈을 감은 채 서 있었다. 이들은 영국에서 유명한 '거미의 친구들' 프로그램에 참가하고 있는 것이다. 이들은 모두 ... ...
식물도 동반자살한다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척추
동물
에 병원균이 침투했을 때 한가지 보호책은 세포가 이물질과 ‘동반자살’ 하는 방법(apoptosis)이다. 침입을 받은 세포가 즉시 죽으면서 병원균을 가둬놓아 더이상 몸에 퍼지지 못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그런데 최근 이런 현상이 식물에게도 발견됐다.보통 곰팡이나 세균이 식물 세포를 ... ...
1. 큰돈을 작은돈으로 바꾼다.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놀랄 만하다. 땃쥐는 매일 자기 몸무게의 75% 정도에 이르는 음식물을 섭취한다.물론 정온
동물
들의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호흡에 의해서만 열을 생성하는 것은 아니다. 사람과 같이 털이 없는 포유류는 갈색지방이라고 불리는 지방조직이 목과 등 위에 축적돼 있어 이것을 이용한다. 또 몸을 ... ...
2. 해커로부터 온 편지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속에만 갇혀 있는 것은 아니거든요. 조금 독특한 면이 있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무슨
동물
원 원숭이 보듯 하는 것은 절대 사절입니다.우리 해커의 선조는 불을 인간에게 훔쳐다준 프로메테우스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정식으로 가문의 뼈대가 다져진 본관은 MIT이죠. 그곳의 '테크모델 철도 클럽'이란 ... ...
희생정신 충만한 아마존 왕국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왜 누구는 여왕이 되고 누구는 일개미가 돼야 하는가.개미사회를 관찰하다 보면 ‘
동물
농장’으로 유명한 영국 작가 오웰(George Orwell)의 또 다른 소설 ‘1984’가 생각난다. 숨막히도록 철저한 조직 속에서 제가끔 맡은 바 임무에만 충실하는 사회. 인간사회에선 소설로나 가능한 것이 개미사회에서는 ... ...
'인공생명' 10문 10답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있는 생명이 사람에 의해 만들어진다. 이 생명체는
동물
도 아니고, 식물도 아니며 암수구별도 없다 오로지 '인공생명'이란 용어 밖에는 이 생명체를 정의할 방법이 없다. 디지털 세계의 완성판이 될 인공생명 연구는 과연 무엇을 꿈꾸고 있는 것일까.1 인공생명이란 무엇인가?인공생명(artificial life ... ...
먹는 피임약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약으로 개발됐다. 또한 이들 호르몬의 생리작용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과량의 호르몬을
동물
에게 주사할 때 배란이 억제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이것을 기초로 1940년대에 들어서면서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섞어서 투여하면 여성의 배란을 억제할 수 있다는 논문이 ... ...
숙식제공받고 보초선다. 수도머멕스 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민들레처럼 바람에 씨를 실어 보내는 식물이 있는가 하면, 맛있는 열매 속에 씨를 감추어
동물
들이 열매를 먹은 후 다른 곳에서 용변을 볼 때 그 속에 섞임으로써 먼 곳으로 씨를 이동시키는 식물도 있다.어떤 식물은 순전히 개미의 도움으로 씨를 먼곳으로 퍼뜨린다. 이런 식물의 씨에는 특징적으로 ... ...
이전
530
531
532
533
534
535
536
537
5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