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예능 프로그램 MC는 7명이 대세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등 각 방송국마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신기한 공통점을
발견
했다. 출연자가 대부분 7명이라는 사실이다.남자의 자격은 방송을 시작할 때부터 7명이었다. 패밀리가 떴다2는 갈수록 출연자가 늘어가지만 처음에는 7명으로 시작했다. 단비는 5명이 고정으로 나오지만 항상 2명의 ... ...
점과 선의 그림, 그래프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우리는 인터넷을 할 때 간편한 마우스 클릭만으로 다른 웹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겉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아마 이 연결고리를 그림으로 그리면 웹 페이지가 복잡한 그물망처럼 서로 연결되어 있을 것이다. 이런 구조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그 방법이 바로 그래프다. 웹 페이지 ... ...
빛은 변덕쟁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색을 표현할 수 있어요. 이런 방법을 ‘점묘법’이라고 해요. 슈브뢸은 ‘보색 효과’도
발견
했어요. 어떤 물체를 보면 그 물체의 반대색인 *보색을 아른아른 보게 되는 현상이지요. 슈브뢸은 화가들에게 점묘화 기술과 보색 효과를 이용하라고 권했어요. 그러면 여러 색상이 조화를 이루기 ... ...
서로 닮은 수학과 법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않기 때문에 법률가들은 좀 더 합리적인 법을 만들고자 여러사건을 통해 문제점을
발견
하고 그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면서 법을 수정해 나가고 있어요.법과 수학의 매력에 빠진 사람들 ➌아서 케일리(1821~1895)와 제임스 실베스터(1814~1897)영국의 수학자 케일리와 실베스터는 둘 다 어렸을 때부터 ... ...
원 속에 파이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것을 알 수 있습니다.이처럼 우리는 직접 원을 그리고 만들면서 추론을 통해 어떤 규칙을
발견
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수학을 공부하면서 바로 이런 능력을 키웁니다.초등학교 6학년 과정에서는 원주율 3.14159…를 반올림해 3.14로 사용합니다.하지만 중학교 과정에서는 근삿값으로 계산했던 원주율을 ... ...
소수의 새로운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소수의 각 자릿수를 더하면 홀수가 많을까요? 짝수가 많을까요? 홀수와 짝수가 같은 비율로 나올 거라는 가설이 있었지만 40년 넘게 증명되지 않다가, 최근 프랑스의 연구팀이 증명에 성공했습니다.소수의 자릿수의 합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100 이하의 소수를 살펴보면, 11과 같이 십의 자 ... ...
7차 방정식의 해법, 140년 만에 풀렸다.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해법이 절실한 순간에야 출구를 찾을 수 있었다”고 말했습니다.7차 방정식의 해법이
발견
되면서 기체 분자의 위치를 확률적으로 나타내고, 특정한 시점에 이 분자가 어떤 위치에서 어떻게 움직일 것인지 훨씬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게 됐습니다. 또한 분자들의 순간적인 충돌 효과도 밝혀 낼 수 ... ...
각진 친구들의 모임 다각형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그는 피타고라스 정리라고 불리는 직각삼각형의 세 변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리를
발견
했습니다. 또 피타고라스학파를 만들어 철학, 수학, 자연과학 등을 연구했습니다. 그들은 평행선의 성질을 연구했고 그것을 이용해 임의의 삼각형은 세 내각의 합이 180°라는 사실을 증명했습니다. 또한 ... ...
2010 개인게놈 시대 개막 선언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전문가가 아닌 사람들에게서 나오는 것 같다. 만일 우리 데이터가 폐쇄돼 있다면 이런
발견
의 기회가 크게 줄어들 것이다. Q. 게놈과 환경의 관계가 얼마나 중요한가? 어떤 사람들은 게놈 데이터가 우리 자신을 이해하는 데 충분하지 않다고 말한다. PGP 역시 설문이나 마이크로바이옴 같은 환경 ... ...
쥐도 아플 땐 찡그린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케네스 크레이그 교수는 쥐가 고통을 느낄 때 사람처럼 표정이 변한다는 것을
발견
하고 이를 이용해 ‘표정 지도’를 만들었다고 ‘네이처메소즈’ 6월호에 소개했다. 사람은 누구나 몸에 통증을 느끼거나 심리적으로 고통스러울 때 자연스럽게 표정이 바뀐다. 동물에게도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지 ... ...
이전
529
530
531
532
533
534
535
536
5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