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계 환상여행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두 개의 거대한 검은 점(dark spots)등 놀라운 기상현상들이 속속 확인되었다. 행성천문
학자
들은 이로부터 상층대기의 바람이 초속 3백25m의 속도로 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특히 해왕성에서 가장 큰 '대흑점'(the Great Dark Spot)은 많은 주목을 받았다. 그 이유는 이 점이 목성의 대적점과 비슷하고 적어도 ... ...
아프리카, 살인 바이러스 에볼라 공포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할 수 있다.과거에는 볼 수 없었던 바이러스들이 자꾸 얼굴을 내미는 이유에 대해,
학자
들은 사회적 행태 변화에 따른 영향쪽에 혐의를 두는 편이다. 에이즈의 경우만 하더라도 아프리카 오지에서 수백년 전부터 존재하고 있었으나 현대에 들어 외부와 접촉이 이뤄지면서 무한한 숙주를 공급받게 돼 ... ...
'살아있는 화석' 강극어를 살리자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큰 의미를 갖는 강극어가 현재 멸종위기에 있다.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의 동물
학자
한스 프리케는 과학전문지 내이처지(금년 4월)에 강극어의 위기상황을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1989년과 19991년 사이에는 강극어 수가 일정하게 유지됐으나 1991년에서 1994년 사이에 격감하는 양상을 ... ...
1. 생물종, 30년내 4분의 1 사라진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과거 지질시대 동안의 집단멸종에 버금가는 규모다. 또한 이는 미국 시카고대의 고생물
학자
데이비드 라우프가 추정한 자연멸종률(1백년에 약 90종)의 4만배가 넘는 것이다.과거의 집단멸종과는 달리 현대의 멸종은 인간에 의한 무분별한 개발과 소비에 의해 가속화되고 있다. 서식처 파괴, 인구의 ... ...
3. 역대 멸종 원인 5가지 가상 시나리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시작하면서 이에 대치할 새로운 가설 '행성 X설'이 등장하게 되었다. '행성 X'는 일부 천문
학자
들이 해왕성과 천왕성 운동의 섭동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이미 19세기말 무렵부터 해왕성 바깥에 그 존재를 예견해왔다. 이 가상의 행성은 태양을 중심으로 5천 6백만년 주기의 기울어진 타원 궤도를 ... ...
1. 별 10만개, 지능가진 생명체 있을 가능성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숫자는 아니지만 우리가 상상하는 것 이상의 수치인 것만은 틀림없다. 그러나 행성천문
학자
이며 '코스모스'의 저자인 칼 세이건은 드레이크방정식에 자신의 믿음대로 숫자를 대입해 1백만개라는 답을 발표한 바도 있기 때문에 10만개가 결코 황당한 숫자는 아니라는 것이 낙관론자들의 주장 ... ...
자외선 우주망원경 아스트로 2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등을 다룬다. 그러나 이런 천체들은 절대 자외선 천문학의 독과점 품목이 아니다. 천문
학자
는 여러 파장영역을 통한 관측을 통해 별이나 은하에 대한 종합진단을 내려야 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의사가 X선 촬영 결과만을 가지고 환자의 모든 것을 얘기할 수 없는 이유와 같다.자외선에는 특히 별의 ... ...
귀화 식물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식물을 모두 묶어 사전귀화식물로 취급함이 마땅하다.이에 반해 개항 이후에는 국내외
학자
들에 의해 우리나라의 식물자원에 대한 조사와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많은 기록이 남아 있어서 그 이입시기와 경로를 대략 추측할 수 있게 됐다. 이들을 신귀화식물이라 한다.신귀화식물은 개항 이후 ... ...
얼룩 하이에나, 성비 조절로 열악한 환경적응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아들 딸을 가려 낳을까? 이에 대한 답은 아직 명쾌하지 않다. 미국 버클리대학 생물
학자
로렌스 프랭크는 생존하기에 불리한 환경 하에서는 암컷 새끼들을 죽여서 수컷이 많은 성비를 조성하는 것이지 결코 암컷 새끼를 더 많이 낳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딸들의 수난'은 무리가 둘로 ... ...
공기로 마시는 감기 백신 등장할 듯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기도와 코의 점막에서 미생물 감염방위의 최전방 근무자라 할 수 있는 IgA 항체가 발견돼
학자
들을 고무시키고 있다.이런 분무식 백신은 장차 감기 뿐만 아니라 성병 등 생식기로 전염되는 질환을 예방하는 용도로도 쓰일 것이라고 한다 ... ...
이전
528
529
530
531
532
533
534
535
5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