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아가미 필터’ 노하우 밝혔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미세한 물질까지 걸러내는 원리가 밝혀졌다. 미국 윌리엄메리대 생물학과 로리 센데르손 교수팀은 신개념 필터에 적용할 수 있는 물고기 아가미의 여과 원리를 밝히고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3월 29일자에 발표했다. 금붕어와 고래상어 등의 어류는 아가미로 바닷물을 빨아들인 뒤 물속에 들어 ... ...
- PART 1. "나는 1년 계약직 과학자 입니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이들 중 한국으로 돌아오는 건 겨우 10%”라고 말했다. 남궁석 충북대 축산학과 연구교수는 “상당한 연구역량을 갖춘 고급인력들이 떠돌이 생활을 하게 두는 건 국가적으로 엄청난 낭비”라고 지적했다.문제를 해결해야 할 정부출연연구기관은 정규직보다 비정규직 일자리를 크게 늘리고 있다. ...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중 CGT를, 사람은 CGC를 많이 사용하는 등 빈도의 차이가 있다. 최인걸 고려대 생명공학부 교수는 “빈도를 조절하지 않으면 최종산물의 양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신호 전달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즉, 사람의 유전자를 대장균에서 쓰고자 한다면 대장균의 생체 시스템이 좀 더 정확하게 ... ...
- [Knowledge] ‘과학계의 대나무숲’ 브릭, 스무 살 맞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아니게 ‘연구부정 제보의 메카’가 되면서 각종 제보가 쏟아졌다. 강수경 전 서울대 교수의 연구부정 제보가 처음 올라온 곳도 브릭이었다.“심지어 천안함 사건 때도 과학적인 논쟁이 치열했어요. 보고 있자니 좀 서글프더라고요. 생명과학과는 상관없는 주제잖아요. 전문가들이 자유롭게 토론할 ... ...
- Part 2 무관심이 만든 자녀 학대. 어떻게 끊어낼 것인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물론 뇌의 성장 역시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황준원 강원대 의대 교수는 논문에서 학대 아동의 25%가 발달장애를 앓고 있다고 밝혔다(1파트 참조).뇌를 진정시키는 방법으로는 ‘안구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요법(EMDR)’이 있다. 왼쪽과 오른쪽으로 일정하게 움직이는 빛을 따라 눈을 ... ...
- 과학수사대 ‘능력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그걸로 되…긴 뭐가 돼! 으앙~! 뽀삐야~, 행복하게 잘 살아야 해~!도움 : 순천향대 홍성욱 교수, 박대균 교수, 경기지방경찰청 제 2청 김영삼 검시관, 서울대 의대 이원준 교수, 고려대 의대 법의학교실 신상언 연구원, 경찰청 예수조 경위, 서울지방경찰청 이창 호 경위, KIST 김익재 책임 연구원, ... ...
- [수학뉴스] 게임이론의 대가 ‘로이드 섀플리’ 영원히 잠들다수학동아 l2016년 04호
- 하는 사람끼리 효율적으로 짝지어주는 방법을 찾을 때 많이 쓰입니다.한편 섀플리 교수는 노벨경제학상을 받았지만, 노벨경제학상 수상소감에서 “나는 늘 스스로 수학자라고 생각해왔으며 경제학 강의를 들은 적은 단 한 번도 없다”고 밝혀 화제를 모으기도 했답니다 ... ...
- 생존전략 1. 화려한 꽃 미인계수학동아 l2016년 04호
- 감춘 기하학적 비밀미국 하버드대 생물진화응용과학연구실의 락히미나라야난 마하데벤 교수팀은 백합이 피는 과정에 기하학적으로 접근했다. 꽃봉오리가 점점 벌어져서 꽃잎이 활짝 펼쳐질 때까지 과정을 초고속카메라로 촬영해 관찰한 것이다. 연구팀은 꽃봉오리의 세로축(꽃대)을 y축, 꽃이 ... ...
- 거꾸로 푸는 역문제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성질을 파악하는 것이다.한국 중력파연구협력단 단장인 이형목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앞으로 중력파 관측을 통해 블랙홀이나 중성자별 같은 천체들의 관측치가 많이 모일 것”이라며, “이런 관측치로부터 역문제를 풀어 더 의미 있고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고 중력파 ... ...
- [지식] 최고의 방정식을 소개합니다!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이론과 양자역학의 정수를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김재경 KAIST 수학과 교수는 신경세포의 원리를 묘사하는 비선형미분방정식인 ‘호지킨-헉슬리 모델’을 선택했다. 이 모델은 1952년에 만들어진 이후 뇌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 공로로 개발자인 호지킨과 헉슬리가 ... ...
이전528529530531532533534535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