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물속으로 얼음이 가라앉네?과학동아 l2010년 08호
- 가진 다른 물질과 비교했을 때 밀도가 꽤 높다. 반면 수증기 상태의 물은 하늘 높은 곳까지 잘 떠다닐 정도로 가볍다. 기압 상태에서 끓는점인 100℃에서 물이 수증기로 변할 때 부피는 무려 1604배로 늘어난다. 물의 부피가 이렇게 크게 늘어나는 덕분에 물을 끓여 수증기로 발전하는 증기기관이 ... ...
- [cool tech] 내 방 안의 아쿠아리움과학동아 l2010년 08호
- 필요로 하는 영양소를 담고 있다.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이 활발하게 활동하는 곳도 여기다. 저면을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입자가 커 물이 잘 통하며 미생물이 잘 정착하는 모래를 깐다. 그 위에는 ‘소일’이라 부르는 저면 소재를 까는데, 소일은 보통 키우려고 하는 수초가 사는 현지의 천연 ... ...
- 재미있는 과학 체험이 한가득! 태평양과학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8호
- 다양한 과학을 체험해 보자!우주와 공룡을 좋아하는 나에게 과학센터는 천국과도 같은 곳이야. 하지만 이게 다가 아니지. 태평양과학센터는 비록 규모는 작지만 다양한 분야의 과학을 체험할 수 있거든. 산호와 불가사리를 직접 만져볼 수도 있고, 내 손의 힘이 얼마나 센지, 정맥과 동맥은 어떻게 ... ...
- 태풍을 알고, 수학을 알면 백전불태!수학동아 l2010년 08호
- 4조 원이 넘는 재산 피해를 남겼다. 엄청난 힘의 바람과 비를 동반한 매미가 지나간 곳은 참혹했다.태풍은 올해도 어김없이 찾아올 것이다. 하지만 태풍을 알고, 수학을 알면 백전불태!슈퍼태풍을 극복하는 방법, 지금부터 알아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태풍을 알고, 수학을 알면 백전불태! ... ...
- PART 1 수학으로 본 우리 유산수학동아 l2010년 08호
- 돌계단을 올라 자하문을 지나면 불국사의 중심인 대웅전이 나타나. 석가여래상을 모신 곳이라 잘 복원돼 있지. 대웅전 마당에는 유명한 불국사삼층석탑(석가탑)과 다보탑이 나란히서 있어. 석가여래가 말씀하실 때, 땅에서 탑 모양으로 다보여래가 솟아올라 석가여래의 말씀이 옳다고 증명했다는 ... ...
- PART 3 수학으로 커보이게 만들다수학동아 l2010년 08호
- 예로부터 다양한 문명이 만났던 이 곳에는 아름다운 문화유산이 많이 남아 있어. 이곳에서 가장 유명한 건물은 셀수스 도서관이야. 135년 당시 로마 제국에서 가장 큰 도서관으로 1만 2000권이 넘는 책을 보관하고 있었다고 해. 도서관의 정면은 커다란 8개의 기둥이 2층으로 세워져있어. 2층 ... ...
- 대결! 위기의 지구를 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8호
- 마지막대결은 진짜 자연 속에서 펼쳐 보도록 하지요. 주말인 4월 18일과 25일, 가까운 곳에 있는 작은 언덕이나 숲, 공원에 가 보세요. 그리고 ‘어린이과학동아’와 스케치북 한 권을 펼쳐 들고 생태지도를 그려 보세요. 친구나 가족들과 ‘내친구의 나무’를 찾아 주는 놀이를 해 보는 것도 좋아요. ... ...
- 돈이 움직이는 두 갈래 길수학동아 l2010년 08호
- : 왜?우철 : 투자은행은 위험이 크다면서요.아빠 : 흠, 그런데 전에 말했듯이 위험이 적은 곳에 투자하면 수익도 적단다. 투자은행은 위험이 큰일을 하는 대신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지.우철 : 아, 맞다.아빠 : 투자는 자기가 충분히 관리할 수 있는 위험의 범위 내에서 수익률을 높이는 방향으로 해야 ... ...
- 우주의 비밀은 타원에 있다?!수학동아 l2010년 08호
- 별명을 가지고 있다. 그 이유는 복도의 한 장소에서 작은 소리로 속삭이면, 조금 떨어진 곳에서는 아무 소리도 들지 않는데 건너편 복도에선 소리가 잘 들리기 때문이다. 이 성당의 비밀은 타원의 수학적 성질에 있다. 세인트 폴 대성당의 천장은 타원 모양으로 설계돼 있어 타원의 한 초점에서 ... ...
- ‘내 머릿속 지우개’ 정체 첫 규명과학동아 l2010년 07호
- 쉬는 생명활동까지 잃어버리게 되면서 결국 죽음에 이른다.우리 뇌에서 기억을 담당하는 곳은 대뇌 양쪽 측두엽에 각각 하나씩 있는 해마라는 부위다. 해마에는 신경세포가 분포하고 있는데, 뇌에서 나온 정보는 신경세포 사이 시냅스의 수상돌기 끝에 있는 AMPA수용체가 활성화되면서 전달된다.조 ... ...
이전5275285295305315325335345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