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후
"(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방암 알려주는 브래지어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여성을 대상으로 임상실험에 들어갈 예정이다.상용화된 제품은 임상실험이 끝나는 2005년
이후
에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미래에는 이같은 브래지어에 소형 분석시스템이 함께 내장돼 브래지어만 차고 다니며 간단하게 유방암을 진단할 수 있지 않을까 ... ...
공각 기동대 vs 매트릭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형성하고 있는 일본의 애니메이션‘공각 기동대’가 국내에 개봉됐다. 공각기동대는
이후
등장한 수많은 사이버펑크 영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그 중 한 작품인 영화‘매트릭스’와 공각기동대의 면면을 살펴보자. 얼마 전 일본의 애니메이션 ‘공각기동대’가 국내에 개봉됐다. ... ...
중국 베이징 게놈연구소의 성공 비결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게놈 해독 결과가 발표된
이후
중국의 베이징게놈연구소(BGI)는 전세계 언론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인간게놈의 1%를 해독했을 때도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하던 중국의 게놈 연구가 18개월만에 세상을 놀라게 만든 성과를 냈기 때문이다. 세계 언론들이 전하는 BGI의 성공 스토리를 알아보자.중국의 벼 ... ...
2. 금강산댐 안전성 7대 의문점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우리나라 3대 다우지로, 하루 3백mm가 넘거나 그에 육박하는 집중폭우가 내린 적만 1984년
이후
17년 동안 5차례나 있었다.그러나 반대 주장도 만만치 않다. 한 댐 전문가는 “금강산댐이 무너지더라도 물이 퍼져 확산되게 돼 그 파괴력은 그다지 크지 않을 것”이라며 “평화의댐만으로도 충분히 막을 ... ...
뜨거운 6월 태양 가리는 부분일식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나타난
이후
처음이다. 물론 제대로 볼 만한 부분일식으로는 지난 1997년 3월 9일
이후
처음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 날만은 일식을 보기 위해 아침에 약간 일찍 일어나는 일도 그리 나쁘지 않을 것 같다.서울을 기준으로 일식이 일어나는 시간은 해가 뜬지 얼마 지나지 않은 아침 6시 53분이다. ... ...
1. 비타민A 대량 함유한 황금쌀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환경보전 작물인 셈이다.2030년 이전 중대한 식량 위기 직면1990년
이후
전통 육종에 활용되던 유용 유전 자원의 고갈로 새로운 품종의 개발과 생산성이 정체를 보이고 있다. 때문에 세계 곡물 생산량의 증가율은 인구 증가율을 밑돌기 시작했다. 인간의 수명 연장과 질병을 ... ...
물리학 안경으로 통합되는 생명현상 생물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데이터와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를 비교해보면 모형이 제대로 된 것인지를 알 수 있다.
이후
이같은 일을 반복함으로써 모형을 더욱 정교하게 만들어낸다.여기에서 중요한 점은 물리학자가 생명현상을 지나치게 모형화하는 일을 피하려면 생물학자의 실험적 자료가 뒷받침돼야 한다는 것이다. ... ...
팔만대장경 기적의 보관 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수백명의 스님이 기거하는 큰 절에는 화재가 끊이지 않을 수 없다. 대장경판이 만들어진
이후
의 7백50년 동안에도 수많은 화재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현재 남아있는 화재기록은 조선 후기 퇴암스님이 ‘해인사 실화적’이란 책에 기록한 것이 전부다. 기록이 시작된 1695년에서 187 ... ...
명품의 명성, 과학이 만든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것일까. 1924년 출시된 ‘마이스터스턱’(Meisterstuck)을 살펴보자. 이 제품은 처음 선보인
이후
지금까지 똑같은 모습으로 변함없이 사랑받는 만년필이다. 우선 만년필의 외형이 손에 꼭 잡히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돼 있다는 점이 눈에 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만년필을 써보면 왜 몽블랑인지를 알 ... ...
4. 위해성 논란 종식 위해 동원되는 첨단과학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는 공동으로 생명공학 기술을 이용한 식품의 인체 위해성을 주제로 한 회의를 개최했다.
이후
GM 작물의 인체 위해성과 관련된 주장이 공론화됐다.구체적으로 제기되는 주장의 첫번째는 GM 작물의 개발과정에서 필요한 선발마커에 대한 것이다. 유전자 전환 단계에서 여러 식물체 가운데 ... ...
이전
526
527
528
529
530
531
532
533
5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