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혹성
떠돌이별
유성
planet
뉴스
"
행성
"(으)로 총 1,575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포그래픽] 소
행성
충돌 방어 실험 개요
연합뉴스
l
2021.11.24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23일 밤 10시 21분(한국시간 24일 오후 3시 21분)께 캘리포니아주 밴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에 실어 ''쌍(雙) 소
행성
궤도수정 시험'(DART) 우주선을 발사한다. AFP/연합뉴스 ...
[이덕환의 과학세상] 멀고 힘들 수밖에 없는 탄소중립의 길
2021.11.24
대한 것이 절대 아니다. 온실가스 과다 배출에 의한 지구 온난화가 진행되어도 지구라는
행성
에게는 어떠한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사실 지구 온난화는 지구의 문제가 아니라 지구의 표면에서 어렵사리 목숨을 이어가고 있는 인간의 문제다. 우리가 지구 온난화에 의한 자연환경과 생태환경의 ... ...
영화 ‘아마겟돈’ 현실로…NASA, 소
행성
충돌 우주선 24일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1.11.23
제이 테이트 미국 지구근접물체정보센터장은 “소
행성
의 궤도 방향을 변경하는 데는 소
행성
의 구조와 내부 물질 조합, 회전속도와 공전 속도 등 여러 변수를 고려해야 한다”며 “분명한 것은 이번 미션이 사상 첫 미션이며 이를 통해 다음 단계로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 ...
차세대 우주망원경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발사 준비중 사고로 또 연기
동아사이언스
l
2021.11.23
NASA 제공. 약 138억년 전 빅뱅 직후 초기 우주를 관측하고 생명체가 존재하는 외계
행성
을 찾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의 발사가 기존 내달 18일에서 같은 달 22일 이후로 연기됐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22일(현지시간) 블로그를 통해 웹 망원경 발사를 준비하는 ... ...
[표지로 읽는 과학]최대 깊이 500km 이르는 목성의 거대 폭풍
동아사이언스
l
2021.11.21
등 공동연구팀은 중력 측정 장비를 통해 대적반 내 대기 밀도를 측정했다. 대적반에 의한
행성
대기의 중력 변동을 통해 내부 밀도를 파악하는 방식이다. 그 결과, 연구팀은 대적반 주변의 제트 기류는 3000km에 가까운 깊이를 가진 반면, 대적반의 깊이는 500km를 넘지 못한다고 밝혔다. 스콧 볼튼 ... ...
우주 기원 찾는 새 추적자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다음달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1.11.19
데이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빅뱅 직후 우주 생성 초기 신호를 포착하고 외계
행성
을 찾는 임무도 맡았다. 양유진 한국천문연구원 광학천문본부 책임연구원은 "우리 눈에 보이는 파장의 빛을 관측하는 허블망원경과는 달리 가시광보다 긴 파장을 갖는 적외선을 관측하기 때문에 ... ...
38년 전 적외선 관측 자료 다시 들춰 찾아낸 제9
행성
후보
연합뉴스
l
2021.11.18
태양계에 새로운
행성
이 추가되는 셈이 된다. 카이퍼 벨트의 천체에 미치는 중력이 제9
행성
존재를 주장하는 유력한 근거가 되는 것처럼 해왕성을 발견할 때도 수학적 계산과 맞아떨어지지 않는 천왕성 궤도가 단서가 됐다. ... ...
"지구 궤도 도는 소
행성
'카모오알레와'는 달의 파편"
동아사이언스
l
2021.11.14
때의 여파로 카모오알레와가 떨어져 나왔을 것으로 추정했다. 물론 지구에 근접하던 소
행성
이 부서진 일부분인데, 우연히 달과 비슷한 성분을 가졌을 가능성도 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지구와 환경' 11일자에 실렸다 ... ...
지름 50m 지구근접 소
행성
'카모 오알레와'는 달서 떨어진 파편
연합뉴스
l
2021.11.12
정확히 확인하려면 직접 탐사하는 길밖에 없는데 마침 중국이 2020년대 후반에 진행할 소
행성
탐사 목표로 카모 오알레아를 잡고있어 이를 통해 판가름 날 전망이다. ... ...
"달 '후기 대폭격' 소
행성
들은 지구 형성 과정서 남은 잔해"
연합뉴스
l
2021.11.09
밝혔다. 논문 공동저자인 토르스텐 클라이네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지구와 같은
행성
이 형성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더 일찍 물이 풍부한 천체를 받아들여 생명출현의 조건을 만들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했다.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