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뉴스
"
신호
"(으)로 총 3,634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자기기를 오래 사용하면 뜨거워지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6.29
전류의 흐름에 저항을 합니다. 트랜지스터와 전류 사이의 마찰로 열이 생기고 많은
신호
를 만들수록 더 많은 열이 생겨요. 용량이 큰 파일을 처리하거나 많은 프로그램을 동시에 작동시킬때 전자기기가 뜨거워지는 이유입니다. 전자 이동 중 부딪힘 발생->열 발생.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전자기기가 ... ...
[과기원NOW] KAIST, ACS 나노 서밋 2024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증폭하도록 최적화했다. 이후 당도 측정 센서에 다양한 위치에서 측정된 전기적
신호
를 딥러닝으로 학습시켰다. 연구팀이 개발한 당도 측정 센서는 파인애플, 감귤, 샤인머스캣 등 실제 과일 주스 당도를 예측하는 실험에서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 doi.org/10.1002/lpor.20230076 ... ...
우주로 올라가는 삼성 반도체…나라스페이스, 2025년 발사 누리호에 싣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지난해 11월 자체 개발한 25kg급 초소형 상업용 관측 위성 옵저버를 지구 저궤도에 올리고
신호
와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 성공했다. 올 1월에는 옵저버가 촬영한 부산 등 세계 주요 도시의 위성사진을 공개하기도 했다. ... ...
중증 뇌전증 환자에 세계 최초 뇌내 이식술…"발작 80% 감소"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두개골에 고정됐다. 이식된 신경 자극기는 환자의 뇌에서 발작이 일어나는 전기
신호
를 차단하기 위해 가벼운 전기 자극을 전달한다. 이식 수술에 참여한 의료진은 "크게 개선됐고, 발작이 줄었으며, 증상이 덜 심각해졌다"며 "소년 환자는 자신을 더 잘 표현할 수 있게 됐고 삶의 질이 개선됐다 ... ...
[과기원NOW] 신경세포 연결의 숨은 지휘자, MDGA 단백질의 비밀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24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공개했다고 24일 밝혔다. 시냅스에 접착한 단백질은 신경
신호
를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하며 신경회로의 특성을 결정한다. 연구팀은 '조건부 낙아웃 모형'이라는 유전자 조작법을 사용해 MDGA 단백질 기능을 배제한 정교한 쥐 모델을 활용했다. 실험 결과 MDGA1 단백질이 ... ...
가슴 두근거린다는 아이, 소아부정맥 가능성 확인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6.24
부분을 찾아 영하 30℃로 냉각해 먼저 안정성을 확인한 후 영하 80℃까지 낮춰 전기
신호
의 길을 국소적으로 차단하는 치료법이다. 소아청소년은 연령이 어릴수록 심장의 크기가 작아 전극도자절제술의 합병증 위험이 성인에 비해 높을 수 있다. 냉각절제술은 안전성이 상대적으로 높아 국제적으로 ... ...
신경병증성 치료 실마리 '별세포'에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9
어려운 상황이다. 신경병증성은 말초 신경이 손상되어 통증을 관장하는 뇌에서 잘못된
신호
를 보내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심각할 경우 옷에 쓸리는 느낌만으로도 불에 타는 듯한 극심한 통증을 느껴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연구팀은 쥐 실험을 통해 신경병증성에 걸린 쥐의 척수에서 ... ...
보행자 경로 예측 AI 개발…"질문-답변으로 발 디딜 곳 파악"
동아사이언스
l
2024.06.18
답변 형태로 재구성한 것이다. 기존 수치 회귀 모델에서는 보행자의 움직임을 연속적인
신호
로 해석했지만 연구팀이 개발한 모델은 불연속적으로 인식했다. 보행자의 한 걸음 한 걸음을 일종의 패턴으로 인지해 다음에 발 디딜 위치를 예측한다는 뜻이다. 언어모델이 추론 결과를 대화 형식으로 ... ...
세포 에너지 공장 '미토콘드리아' 발열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활성화한다는 사실도 함께 밝혀냈다. 이번 연구는 미토콘드리아가 내는 '열' 자체가
신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최초의 연구다. 연구팀은 "추가 연구를 통해 미토콘드리아로부터 생성된 열이 세포 내에 미치는 다양한 생물학적 현상들을 밝혀낼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 ...
토성 '작은 달'에 생명체 찾으러 2040년 탐사 떠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6
되고 있다. ESA는 엔셀라두스에 착륙하거나 엔셀라두스 간헐천을 통과하며 생명체
신호
를 감지하는 것을 목표로 2040년부터 탐사 임무를 시작할 예정이다. 엔셀라두스 탐사는 막대한 예산이 필요한 프로젝트가 될 예정이다. 탐사선이 엔셀라두스까지 장거리를 이동해야 할 뿐 아니라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