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후미
manh
mann
MAN
뉴스
"
만
"(으)로 총 21,263건 검색되었습니다.
KAIST, 자율비행 드론 레이싱 세계대회서 3위
동아사이언스
l
2025.04.18
수 있다면 앞으로 열릴 국제 대회에서는 압도적인 기술력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성과를
만
들어 내겠다"고 각오를 전했다. 심 교수는 2016년 로봇학회인 IROS에서 세계 최초로 자율비행 드론 레이싱을 개최한 선구자다. IROS 대회에서 2016년과 2018년 각각 우승,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9년 미국 ... ...
연내 최신 GPU 1
만
장 확보해 AI 역량 강화…12조원 추경 국무회의 의결
동아사이언스
l
2025.04.18
브리핑에서 "올해 추경이 빨리 진행되지 않으면 올 한 해가 GPU 보릿고개가 된다"며 "9개월
만
지나도 AI 발전이 3년 뒤처지는 꼴이 되고 2030년까지 거의 따라잡기 힘들 것"이라고 GPU 확보의 우선순위를 강조하기도 했다. 시급한 국내 AI컴퓨팅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민간이 보유한 첨단 GPU 2600장을 ... ...
줄기세포로 파킨슨병 치료 통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8
새로운 치료 대안으로 주목한다. 다카하시 류스케 일본 교토대 교수 연구팀은 인간 유도
만
능줄기세포(iPSC)로부터 유래한 도파민 신경세포 전구체를 파킨슨병 환자의 양쪽 뇌에 이식하는 1·2상 임상시험을 진행했다. 50~69세 환자 7명이 참여했다. 24개월간의 관찰 기간 동안 심각한 이상반응은 ... ...
수십조원 규모 연구용 원자로 수출 시장 종주국서 뚫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7
을 생산하는 시설이다. 임 원장은 "한국에서 루테튬-177은 치료에 사용하는 데 실험 단계지
만
미국은 이미 치료에 루테튬-177을 활용한다"며 "앞으로 미주리대와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 활용에 대해서도 함께 협력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제약사인 노바티스가 루테늄-177을 이용한 ... ...
"외계 생명체 존재 시사하는 가장 강력한 증거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25.04.17
영어 단어 수소(hydrogen)와 바다(ocean)를 합친 단어다. 이번 발견은 관측 장비
만
으로도 생명체가 있을 수 있는 행성에서 생물학적 지표를 검출해낼 수 있음을 입증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는 평가가 나온다. -https://doi.org/10.48550/arXiv.2504.0975 ... ...
게임 기술 적용해 핵융합 시뮬레이션 속도 15배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5.04.17
의 중성입자빔 시뮬레이터를 3차원으로 확장했다”며 “알고리즘은 중성입자빔 추적뿐
만
아니라 V-KSTAR 전체의 3차원 확장을 위한 핵심 요소 기술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이어 “알고리즘을 이용해 고속 연산을 위해 CPU 컴퓨터보다 처리 속도가 빠른 GPU 슈퍼컴퓨터를 기반하는 추가 연구를 계획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세포도 생존에 '미토콘드리아' 쓴다
2025.04.16
미토콘드리아 뇌 지도는 초기 버전으로 수년 내에 5
만
개의 복셀을 분석해 완전한 지도를
만
들 예정이다. 나이가 들수록 점점 무거워지는 생로병사라는 짐을 지고 가야 할 인생의 여정에서 미토콘드리아에 대해 새로 밝혀지는 사실을 통해 얻는 약간의 통찰이 그나마 위안이라는 생각이 문득 든다. ... ...
세계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 '용액 속 단백질량 측정법'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때문이다. 특히 소프트웨어, AI, 통계와 컴퓨팅에 관련된 연구의 순위 상승이 괄목할
만
하다는 분석이다. 1~3위는 그대로였다. 21세기 이후 발표 논문 중 인용 수 1위는 AI 연구가 차지했다. 마이크로소프트 연구팀이 인공 신경망의 이미지 인식 방법을 개선한 'ResNets' 개념을 제시한 연구결과다. 2015년 ... ...
"스마트폰 쓰는 노년층 인지력 저하 위험 낮다"…'디지털 치매' 가설 반박
동아사이언스
l
2025.04.15
인지 능력이 좋은 사람들이 디지털 기술을 더 많이 사용하는지는 아직 불분명하다"며 "다
만
디지털 기기 사용이 디지털 치매를 일으킨다는 가설의 근거는 찾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https://doi.org/10.1038/s41562-025-02159- ... ...
의협 "이제 선배가 나설 때"…20일 총궐기 참여 촉구
동아사이언스
l
2025.04.15
전공의 수련을 시작하면 ‘의무사관후보생’으로 등록돼 공보의나 군의관으로 복무하지
만
최근에는 긴 복무 기간과 열악한 근무 여건을 이유로 이 과정을 피하고 군에 먼저 입대하는 의대생들이 늘고 있다. 실제 지난해 군 휴학을 택한 의대생은 1749명이었으며 올해 1학기엔 이를 넘어선 2074명이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