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체
교대
교류
전환
변화
치환
대체
뉴스
"
교환
"(으)로 총 733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나무는 어떻게 겨울잠을 잘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4.14
큰 물질도 직접적으로 전달 및
교환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원형질 연락사는 세포간 물질을
교환
하는 통로이자, 신호를 주고받는 통신망인 셈이다. 겨울이 되고 식물이 받을 수 있는 햇빛의 양이 줄어들면 원형질 연락사가 통신을 중단한다. 세포 사이에 있는 미세한 구멍이 닫히기 때문이다. ... ...
독성물질 보톨리눔, 염기서열 분석 의무화 해야
과학동아
l
2018.04.05
택한 방법은 ‘수평적 유전자 전달’이다. 가까이에 있는 다른 개체와 유전자의 일부를
교환
하는 것이다. 마치 전혀 상관 없는 모자이크 조각이 관찰된다는 의미에서 이를 ‘모자이크 현상(Mosaicism)’이라고 부른다. 영국에 위치한 유럽생물정보학연구소(EBI)의 전경. 유럽분자생물학실험실(EMBL) ... ...
인간 학습능력 설명하는 새 이론 70년만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23
배우느냐’에 따라 뇌의 부위별 수상돌기 말단의 미세한 틈인 시냅스끼리의 물질
교환
빈도와 세기가 달라진다. 이를 통해 신경 가지가 굵어지고 연결이 많아지는 학습작용을 거쳐 기억으로 자리 잡게 된다는 것이었다. 아직 명백히 증명된 바는 없지만 70년간 뇌학습을 설명하는 가장 완벽한 가설로 ... ...
[궁금한 이슈 why] 저커버그 결국 사과하기까지...페이스북 데이터 스캔들 총정리
동아사이언스
l
2018.03.22
데이터를 주고받은게 아니라 페이스북을 기반으로 자신들이 새롭게 가공한 데이터를
교환
한 것이라는 입장인데요, 논란의 여지가 큽니다. 코건이 학술 연구를 목적으로 사용자 데이터 수집 허가를 받았는데,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한 것도 문제입니다. GSR이나 SCL은 영국 회사인데, 만약 미국 ... ...
끊어져도 완전히 다시 붙는 신소재 개발
과학동아
l
2018.03.20
선임연구원 연구팀은 황 화합물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에 더했다. 두 화합물이 성분을
교환
하면서 새로운 물질을 만드는 복분해반응이 잘 일어나게 만든 것이다. 또 물질 내에서 고분자가 빠르게 확산하도록 분자 구조를 설계했다. 이 소재는 기존 소재보다 기계적 강도가 2배 이상 컸다. 절단 후 ... ...
5G의 킬러서비스는 무엇이 될까?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8.02.28
실시간으로 각 자동차들이 정보를 주고 받아야 한다. 대역폭이 넓고 지체 없는 정보
교환
이 필수적이며, 이를 가능케하는 것은 5G다. 영상대화 우리는 이제 쉽게 영상통화를 할 수 있다. 고향에 계신 부모님이나 학교에 간 자녀와 카카오톡의 페이스톡과 같은 서비스로 대화를 나누는 것은 흔한 ... ...
"가상화폐 규제하면 인재 떠난다" 비트렉스 임원 지적
동아사이언스
l
2018.02.28
대해 적극 대응한 나라다. 지난해 4월 자금결제법을 새롭게 제정하면서 가상통화와
교환
사업에 대해 정의했다. 싱가포르와 스위스는 가상통화를 자산으로 정의해 기존의 법 체계에 편입시켰다. 가상통화를 자산으로 정의하면 금융거래 행위가 되지 않기 때문에 중개업체에 대한 규제가 없다. 다만 ... ...
중국 '양자 굴기' 본격화…한국은 올해 신규지원 '0'?
동아사이언스
l
2018.02.13
완벽하게 보장해 주기 때문이다. A와 B 두 사람이 디지털 광통신을 통해 정보를
교환
한다고 가정하자. 마음먹고 달려들면 제3자가 이를 도청하기는게 불가능하지는 않다. 지금의 디지털 통신에선 0과 1 중 하나의 값을 확정해 정보를 전달한다. 한 개의 디지털 정보에는 1조개 이상의 광자(빛)이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③] 로봇은 새로운 종(種)일까… ‘오토마타’
동아사이언스
l
2018.02.08
그러니 이들은 같은 종으로 구분하지 않는다. 즉 자손끼리 계속 교미해 서로 유전자
교환
을 끊임없이 해 나갈 수 있어야만 같은 종으로 볼 수 있다. 동물은 태어나서 삶을 영위하고, 그 경험을 유전자에 담아 후세에 전달한다. 그렇게 생명체는 그 기능을 생존에 유리하도록 끊임없이 가다듬는다.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남매의 금지된 사랑. 과연 가능할까?
2018.02.04
발전했다고 믿었습니다. 다시 말해서 근친상간 금지와 족외혼, 즉 부족간 ‘여자의
교환
’이 인류 사회의 기초가 된 원동력이라는 것이죠. 레비스트로스는 심지어 ‘근친상간에서 벗어나면서 인간은 자연에서 문화로, 동물에서 인간으로 진보했다’고 말합니다. 인류학자 레슬리 화이트는 이러한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