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원리"(으)로 총 1,058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래를 열어갈 사물인터넷!기사 l20200419
- 그럼 이제 '사물인터넷'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사물끼리 서로 대화를 나누다! - 사물 인터넷의 원리 사물인터넷은 사물에 센서를 부착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인터넷으로 주고받는 기술이나 환경을 말해요. 사물인터넷이라는 용어는 1999년 캐빈 애시튼 교수(MIT)가 처음 사용하였는데요. 지금까진 인 ...
- [어과동 추천 영상] 달고나 커피, 알고 만들면 백전백승?놀이터 l20200417
- 여러분, 달고나 커피 만들어 봤나요? 저도 한 번 만들어 봤는데, 생각보다 너무 어렵더라고요. 뭔가 억울해서 인터넷을 뒤지다가 이 영상을 찾았어요! 물론 원리를 안다고 성공 확률이 올라가진 않지만(...) 그래도 알고 하면 더 재밌잖아요?ㅎㅎ ...
- 손난로의 비밀!기사 l20200416
- 안녕하세요. 이현준 기자 입니다. 오늘은 흔들면 따뜻해지는 손난로의 비밀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여러분도 추울 때 손난로를 자주 쓰실 텐데요. 저 역시 겨울엔 손난로가 필수품이에요. 이제 우리에게 친근 ... 먹는 음식에도 들어 있고 석탄이나 석유 같은 연료도 에너지예요. 여러분도 손난로의 비밀이 신기하지 않나요? 손난로를 쓰면서 손난로 ...
- 4.15 총선에 대해기사 l20200414
- 여러 지역구에서 국회의원들을 뽑습니다. 그리고, 남은 수십 석의 의석들을 득표율 3% 이상의 당들이 나누어 가지는 것입니다. 이 원리대로라면, a당이 정당 득표에서 10%를 얻었으면, a당은 전체의석중 10%를 가지는 것입니다. 정당 득표율에 비해 지역구를 적게 가져가는 당(소수정당)은 비례의석으로 가져갈 수 있고, 정당득표율에 비해 지역구 ...
- 타임머신의 원리기사 l20200408
- 안녕하세요. 임홍래 기자입니다. 저의 첫 기사는 타임머신 원리에 대해 소개하려고 합니다. 먼저 빛의 속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빛은 빛의 속력불변의 법칙에 따라 299792458m/s로 변하지 않습니다. 즉 속력 U로 움직이는 버스에서 속력V로 ... 50시간 후가 될 것입니다. 50 시간 미래로 간 셈이죠. 하지만 만약 기차가 더 ...
- 내 눈이 이상해! 착시현상에 대하여기사 l20200401
- 모든 것을 판단하려 하기 때문에 원래 존재하는 사물이 우리 몸속에서의 착각을 일으키는 것입니다. 착시현상의 여러 가지 원리들은? 1. 길이의 착시 같은 길이지만 조건에 따라 길이가 다르게 보이는 현상 2. 크기의 착시 같은 크기이지만 조건에 따라 길이가 다르게 보이는 현상 3. 면적의 착시 같은 크기, 면적을 가졌어도 명도와 체도에 따라 서 ...
- 재미있는 마술을 해봐요기사 l20200329
- 뒤집어 있다는 것을 들키면 안돼요! 그리고 카드 전체를 뒤집을 때 상대방의 시선을 다른대로 끌어야 해요. 이 마술에 숨은 과학 원리:인간은 두 가지 행동을 동시에 완벽하게 하지 못해요.그래서 우리가 카드를 재빨리 뒤집었을 수 있었던 거에요. 지금까지 김린기자 였습니다 ... ...
- 과학으로 이겨내는 코로나 19바이러스!기사 l20200329
- 이길 수 있도록 하는 거죠. 두 번째는 치료제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치료제의 원리는 병마다 달라서, 가장 기본적인 원리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여러 가지 화학물질을 섞어서, 그게 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것입니다. 병원체들은 없애주기도 하고, 백혈구들의 힘을 강하게 해주기도 하고, 증상을 완화하는 것 ...
- 2월의 BOOK소리 - 『 오빠 만들기 』기사 l20200322
- , 탄소 알갱이 , 아데노신 , 허파같은 어려운 인체단어들을 그림과 설명으로 잘 이해할 수 있었답니다 . 각 기관의 역할과 원리를 알아보며 똑똑해지는 기분이 들었습니다 ! 몸 속의 작은 알갱이 , '코코'의 이동 , 근육의 수축을 잘 이해할 수 있어서 인체는 어렵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그리고 아주 재미있는 상식도 있었습니다 . 여 ...
- 1월의 북소리_'어떻게 발견했을까요?'를 소개합니다.기사 l20200312
- 했는데 디도 공주는 소 한 마리의 가죽으로 2000m가 되는 끈을 만들어 바다를 낀 땅을 주변을 둘러서 많은 땅을 차지했어요. 수학적 원리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지만 이야기 자체도 무척 재미있었어요. 하지만 이 책에 나오는 사람이나 도시, 나라 이름은 너무 어려워요. 우리나라 이야기나 쉬운 이름들이 많이 나왔으면 더 좋았을 거 같아요. 그렇지만 ...
이전4849505152535455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