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화
흡수작용
작용
통합
동화
흡수 장치
흡입
d라이브러리
"
흡수
"(으)로 총 2,77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스마트 바퀴2] 스스로 치료하고, 전기 만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실제로 자동차 250만 대에 사용될 경우 연간 3000t의 산소를 생산하고 4000t의 이산화탄소를
흡수
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어요. 구멍이 나면 스스로 봉합하는 바퀴!스스로 구멍을 메울 수 있는 바퀴가 있어요. 바퀴의 고무 안쪽에 점성이 강한 젤리 형태의 특수 봉합제 ‘실란트’가 ... ...
[과학뉴스] 사소한 차이까지 포착하는 암 진단 센서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질병의 조기 발견이 가능하다. 연구진이 개발한 센서는 miRNA의 존재 유무에 따라 최대
흡수
파장이 달라지도록 설계됐다. 22개의 염기서열 중 단 한 곳만 다른 miRNA도 구분해낼 만큼 정확하다. 이 책임연구원은 “질병 진단뿐 아니라 miRNA의 양을 추적해 약물 투여 전과 후의 치료 효과를 분석하는 ... ...
[Origin] 미래를 비추는 빛, LED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굴절률 차이도 문제입니다. 많은 양의 빛이 LED 소자 외부로 나가지 못하고 소자 내에서
흡수
돼 손실되기 때문입니다. 필자가 속한 윤의준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팀은 수십 나노미터 두께의 얇은 알루미나 박막을 활용해 속이 비어 있는 구조물을 삽입한 사파이어 기판을 개발했습니다. 이를 통해 ... ...
[인터뷰] “꿈을 향한 3년 고교생활 일관되게 드러내야”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결과를 만들어야 한다. 서 씨는 어떤 식물이 공기 중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을 가장 잘
흡수
하는지 실험을 통해 분석했다. 이를 위해 농촌진흥청 산하 연구소를 방문해 1박 2일간 직접 실험을 진행했다. 서 씨는 “실험 중 왜 오차가 발생하는지 깊이 고민했다”며 “이런 고민들을 자기소개서에 ... ...
[Issue] ‘제주 보육교사 살인 사건’의 진실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오래 유지된 것이다. 또 다른 이유로는 배수로의 콘크리트가 있다. 콘크리트는 태양광을
흡수
해 복사열을 일정 시간 방출한다. 이때는 배수로 온도가 대기보다 더 높아서 직장 온도의 하강도 상대적으로 느려진 것이다. 배수로 내부 온도가 높아질 때, 무스탕 안피부 온도는 1~3시간, 직장 온도는 4~ ... ...
[이투스교육] 살아 움직이는 지구 시스템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석회암을 만든다(지권). 대기중(기권)에 있던 이산화탄소는 광합성에 의해 생물체에
흡수
돼 탄소화합물을 만든다(생물권). 식물(생물권)이 죽은 사체가 퇴적되면 화학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는 화석연료가 된다(지권). 지권의 변화지구에서 지권이 가장 활발하게 변하는 곳은 지진이 활발하게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특수약물을 섭취한 뒤 진행해야 하는 양전자단층촬영(PET)과 달리 체내에는 에너지만
흡수
됐다 사라지기 때문에 부작용이 적다”고 설명했다. 라온으로 생성한 다양한 희귀동위원소 빔의 분자생물학적 영향이 규명되면, 향후 이들 빔을 한 데 모아 치료에 활용하는 ‘콤비네이션 세러피(Combination ... ...
[Origin] 이산화탄소를 연료로, 인공광합성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개발해 2006년 국제학술지 ‘네이처 머티리얼스’에 발표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빛
흡수
과정이 두 번 연속 일어나 효율이 높습니다. 반도체 물질 하나만 사용했을 때보다 광합성 효율이 약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doi:10.1038/nmat1734 필자가 속한 남기태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팀은 201 ... ...
[과학뉴스] 외계행성에서 헬륨 최초 발견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헬륨보다 활성이 높다. 특히 적외선 영역에 나타난 헬륨 신호는 지구대기에 의해
흡수
되지 않기 때문에 우주망원경뿐만 아니라 지상의 망원경으로도 연구할 수 있다. 톰 에반스 엑스터대 물리천문학과 연구원은 “지구와 비슷한 크기의 외계행성의 상층 대기를 연구하는 흥미로운 수단이 될 ... ...
[이달의 사물] 평양냉면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면은 메밀에 감자전분을 넣어 만듭니다. 감자나 고구마에 많이 든 전분은 뜨거운 물을
흡수
하면 팽창하면서 끈적끈적해 집니다. 전분이 호화되면서 점성이 생기는 것이죠. 이와 반대로 평양냉면의 면에는 전분이 거의 들어가지 않고 대부분이 메밀입니다. 메밀 자체에는 끈기를 내는 성분이 없기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