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비맨] 우아한 하비맨의 취미는 피아노 연주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비가 2:3인 지점을 찾으면서 우리가 지금 알고 있는 ‘도-레-미-파-솔-라-시-도’의
최초
모습을 완성했습니다. 피아노 연주하기 총평 “손가락은 살아있었다” 굳은 줄만 알았던 손가락이 연습을 거듭할수록 점점 유연해졌어요. 역시 악기 연주의 생명은 연습인가 봐요. 여러분도 좋아하는 곡을 ... ...
[과학뉴스] 화성 표면에 도착한 퍼서비어런스, 임무 시작!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6호
기존 데이터와 일치한다면 셜록이 정상적으로 작동한다는 뜻이거든요. 퍼서비어런스는
최초
로 토양 표본도 직접 수집해요. 드릴로 화성 토양을 채취해 레이저로 깎아 튜브에 담고, 지정된 좌표에 놓아둘 예정이지요. NASA는 ‘화성 표본 귀환’ 프로젝트를 통해 표본을 2031년 지구로 가져오는 것이 ... ...
낯선 생물이 내 터전에 들어왔다...생태계 악당 침입종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대처하고 있지만, 일단 들어온 침입종을 생태계에서 완전히 없애지는 못한다. 1998년
최초
로 생태계교란종으로 지정된 황소개구리, 큰입배스, 파랑볼우럭은 20년이 훌쩍 지난 지금까지도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다. 김 전임연구원은 “토착종은 수만 년 이상을 한반도에서 살아온 생물로 20년은 새로운 ... ...
거대강입자충돌기, 빅뱅에 다가간 10년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LHC의 연구결과 중 CMS팀과 LHCb팀 연합으로 발표한 논문을 제외하고 단독팀으로는
최초
로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실린 논문”이라고 소개했다. 한국에서 8개 기관 40명의 연구원이 참여하고 있는 앨리스팀은 입자 간에 벌어지는 상호작용에 관심이 크다. 그중에서도 기본입자인 쿼크와 글루온 ... ...
[에디터노트] 눈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인류 후보는 아닙니다. 더 이른 시기에 산 후보도 있습니다. 우리의 직계 조상인 호모 속
최초
의 인류 역시 아직 정체가 모호합니다. 아시아에서 거푸 발견되고 있는 작은 인류 등 최근까지도 해결되지 않은 다른 난제도 여럿입니다. 이들을 이번 특집에서 다뤘습니다. 기획에서는 박물관과 미술관 ... ...
[특집] 인류 진화의 잃어버린 퍼즐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기사를 보려면? INTRO│인류 진화의 잃어버린 퍼즐계통도로 만나는 호미닌첫 번째 퍼즐│
최초
의 인류는 누구인가두 번째 퍼즐│작은 인류의 미스터리세 번째 퍼즐│호모 속의 기원네 번째 퍼즐│수수께끼 속 인류 데니소바인다섯 번째 퍼즐│동아시아인의 복잡한 ... ...
최초
의 인류는 누구인가? 위태로운 호미닌의 여명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의심하는 고인류학자는 많지 않다”며 “많은 화석이 발견된 것도 오로린 투게넨시스가
최초
의 호미닌이라는 학설을 지지하는 가장 강력한 이유”라고 말했다 ... ...
가깝고도 먼 친척 인류...수수께끼 속 인류 데니소바인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인류의 친척, 데니소바인의 외형을 DNA 해독 결과로 추정한 연구가 1위를 차지했다.
최초
의 블랙홀 그림자 관측과 40년 만에 개발된 에볼라 치료제 등 그해에 발표된 굵직한 이슈를 제친 결과다. 고인류학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을 확인시켜줬다는 평가가 나온다. 하지만 이런 관심에도 불구하고 ... ...
[기후위기 연중기획] 자동차 기술로 기후위기 극복한다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모터바겐’의 특허를 등록했다. 3륜 간이마차에 1기통 954cc 가솔린엔진을 얹은 세계
최초
의 자동차였다. 최고출력 0.75마력, 최고속도 시속 16㎞로 말보다 힘이 약하고 속도도 느렸지만 ‘말없이 달리는 마차를 만들겠다’는 인류의 꿈이 현실이 된 순간이었다.자동차는 인류 최고의 발명품 중 하나로 ... ...
[수학자의 일기]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의 일기 (1646~1716)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5호
보낼 생각이다. 라이프니츠의 항의에도 불구하고 영국 왕립 학회는 ‘미분법’을
최초
로 발견한 사람은 뉴턴이라고 결론지었어요. 하지만 라이프니츠의 지지자들은 이를 인정할 수 없다고 반박했어요. 이후 100년 동안이나 논쟁이 이어졌지요. 1820년에 이르러서야 라이프니츠와 뉴턴이 미분법을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