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세
지리
땅모양
지리학
자모
모형
풍수지리
d라이브러리
"
지형
"(으)로 총 1,171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장 새만금 방조제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시공했기 때문에 공사를 하는 동안 취약한 부분이 많이 쓸려 나가요. 수시로 수심과
지형
을 측정하면서 유실된 부분을 돌망태로 채워 넣죠.” 돌망태는 작은 돌 여러 개를 쇠로 만든 망태에 넣어 2~3t의 큰 바위처럼 만든 것.돌망태 공법은 우리나라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기술이다. 돌망태는 큰 바위를 ... ...
다각형은 팔방미인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강 하구의 삼각주(이집트)하천 상류에서 운반된 물질들이 하구에 퇴적되어 만들어진
지형
이다.-중학교 1학년 사회교과서(미래엔컬처그룹) 66~67쪽사회 과목은 특성상 다각형을 직접 다루지 않는다. 하지만 자연 환경이나 역사적 유물을 다룰 때 그 모양이나 기원이 다각형과 관련이 있는 것이 있다. ... ...
작전명령 ② 정확한 지도를 만들어라!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이렇게 하면 그 경선 근처에서는
지형
의 오차가 작다는 장점이 있어서 특정 지역의
지형
도를 만들 때 주로 횡축 메르카토르투영법을 이용해.이처럼 지도를 만들 때 투영법은 중요하고 또 기본이 되는 원리야. 이런 투영법이 발달하면서 사영기하학이라는 새로운 기하학이 탄생했어. 사영기하학의 ... ...
어느 6 · 25 참전군인의 60년 만의 귀향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보면 된다. 유해 발굴과정 보러가기GPS 동원해 유해발굴 기록 남겨 국토의 70%가 산악
지형
인 데다 전투가 주로 산에서 벌어진 탓에 발굴은 대부분 높은 산에서 이뤄진다. 발굴 현장까지 매일 1~2시간씩 걸어 올라가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고 매일 유해가 발굴되는 것도 아니다. 보통은 100~120곳을 ... ...
세상을 바꾸는 학생 발명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진단에 사용되면서 20세기 과학과 의학 혁명을 이끌었다.최근 학생 발명은 전통 시장의
지형
을 급속히 바꾸고 있다. 1980년대 개인용 컴퓨터(PC)가 보급되고 1990년대 인터넷이 세계적으로 보급되면서 획기적인 발명 사례가 늘고 있다. CD나 테이프로 대표되는 전통 음악시장에 온라인의 돌풍을 몰고 온 ... ...
자연이 빚어낸 서호주 아웃백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科) 유대류인 왈라비를 만나기도 한다. 벙글벙글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서호주
지형
의 독특함을 보여주는 운석 크레이터가 있다. 폭이 835m, 깊이가 50m인 울페크릭 크레이터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운석충돌구로, 이 지역을 횡단하던 비행사들에 의해 발견돼 세상에 알려졌다 ... ...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서비스로 보이지만 아쉬움이 하나 남는다. 단순히
지형
만 보여주는 차원이 아니라
지형
과 지물 사이의 연결성까지 파악할 수 있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뇌 연구에도 이런 물음이 현실화될 조짐이다. 현재 자기장이 지구 자기장의 수십 만 배에 달하는 MRI의 등장으로 뇌 속 모세혈관까지 들여다볼 수 ... ...
태평양을 넘어 하와이를 향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수놈 부비는 다시 떠오르지 않았다.*기요 : 깊이가 1,000m가 넘는 바닷속에 있는 산모양의
지형
.하와이 힐로 섬에 도착하기 9일 전, 8전 9기 끝에 *마히마히를 잡았다. 마히마히를 햇볕에 말려 먹어 보았다. 말린 지 얼마 되지 않아서인지 숙성된 맛은 없었지만 나름대로 쫄깃하고 신선한 맛이 느껴졌다. ... ...
아이폰으로 ‘별자리’ 본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보여준다. 한편 천문노트 공동운영자인 이형철 씨는 “실제 천체 관측은 대기상태나
지형
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며 “스마트폰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관측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구글지도와 위치기반서비스(LBS)를 결합해 관측지 정보를 공유하는 서비스를 개발할 ... ...
세계 최대 달 모자이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대상작은 대형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달의 크레이터(운석충돌구덩이)나 산맥 등 여러
지형
이 뚜렷하게 드러난다”라고 밝혔다.모든 당선작은 한국천문연구원(www.kasi.re.kr), 국립중앙과학관(www.nsm.go.kr), 동아사이언스(www.dongaScience.com)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시상식은 4월 중에 대전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