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면"(으)로 총 2,611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오페라 무대 선 로봇 디바 ‘에버’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불쾌한 골짜기를 지나 인간과 거의 구별할 수 없을 만큼 로봇의 외모와 움직임이 비슷해지면 다시 호감도는 상승한다. 이 그룹장은 “사람은 대화할 때 감정에 따라 얼굴에 미묘한 변화가 나타나는데, 로봇은 그렇지 않아 불쾌한 골짜기가 생기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에버와 소피아, 에리카도 ... ...
- 스마트폰으로 사진작가 되기!수학동아 l2018년 04호
- 프로 모드와 M모드, 전문가 모드 등에 들어가 조절할 수 있습니다. 셔터스피드가 느려지면 늘어난 시간만큼 빛을 많이 받아들입니다. 그래서 낮에 패닝샷을 촬영하려면 빛에 대한 센서의 민감도를 조절하는 ISO를 가장 낮은 값으로 조절해야 합니다. 그래도 사진이 너무 밝을 수 있는데, 흐린 날이나 ... ...
- [Culture] 매, 매, 매운맛을 주세요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배당체인 ‘시니그린’으로 들어 있다. 하지만 뿌리를 갈면 조직이 부서지면서 세포 내 소포체에 갇혀 있던 티오글루코시드 가수분해 효소가 나온다. 이 과정에서 당이 떨어져 나가면서 톡 쏘는 매운맛 분자인 아이소타이오사이안산알릴로 변한다. 이 분자는 휘발성이어서 캡사이신 등 비휘발성 ... ...
- 움직임을 지배하는 운동의 법칙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뉴턴은 사고 실험을 통해 물체를 충분히 세게 던지면 공기의 저항을 무시할 때 물체가 지면에 닿지 않고 지구를 한 바퀴 돌아 원래 자리로 되돌아 올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이런 뉴턴의 사고 실험은 현재 인공위성을 개발할 수 있었던 이론적 배경이 됐다. 실제로 지구 주변을 도는 인공위성의 ... ...
- [이기자의 1마감1게임] 게팅 오버 잇 위드 베넷 포디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왼손이 주는 힘(F)을 줄여도 되므로 보다 쉽게 회전을 할 수 있겠죠. 어렵게 느껴지면 시소를 떠올려 보세요. 아래 사진에서 무거운 엄마를 들어 올리려면 아이는 중심점에서 최대한 멀리 앉아야 합니다. 중심점 까지의 거리인 r이 크면, 아이의 가벼운 무게(F)로도 충분히 엄마를 들어 올릴 수 ... ...
- Part 3. 집에서도 즐기는 인생맛집수학동아 l2018년 04호
- 변수로 들어갑니다. 그렇다고 변수를 이것저것 다 넣을 수는 없습니다. 변수가 2배로 많아지면, 계산량이 두 배로 늘어나지 않고 제곱배로 늘어나버리기 때문이지요. 트래픽★ 서버에 전송되는 모든 데이터 양. 수학에서는 변수 최적화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같은 계산이 100년이 걸리기도 하고 10 ... ...
- [식물 속 동물 찾기] 호랑버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기름층으로 둘러싸인 꽃눈을 키우죠. 꽃눈은 성장을 멈춘 채 겨울을 나고, 날씨가 따뜻해지면 꽃을 피운답니다. 호랑버들의 이름은 바로 이 꽃눈에서 유래했어요. 양끝이 뾰족한 꽃눈은 약간 붉으면서도 반짝반짝 윤기가 나는데, 이 모습이 마치 호랑이의 눈처럼 생겼거든요. 이를 사람들이 보고 ... ...
- [Culture] 리코타 치즈 & 두부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결국 단백질과 단백질 사이에 소수성 결합이 생기면서 엉기지요. 이런 엉김이 많아지면 침전하면서 단백질 덩어리를 얻을 수 있습니다. 리코타 치즈를 만드는 과정에서 직접 산성도(pH)를 측정했습니다. 신선한 우유는 pH가 약 6.56입니다. 여기에 산성인 레몬즙(pH 2.21)을 넣으면 산도가 증가 하면서 ... ...
- Part 3. [68%] 미지의 힘, 암흑에너지수학동아 l2018년 03호
- 계속 팽창하면서 물질이 점점 멀어지고, 우주가 아주 차가워진다는 가설이다. 너무 추워지면 생명체가 살아남을 수 없다. 또 다른 우주종말 가설에는 ‘빅크런치’가 있다. 중력이 우주를 팽창시키는 힘을 이기고, 모든 것을 끌어당겨 한 점으로 쪼그라뜨린다는 가설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 ...
- Part 3. 기후변화의 바로미터 극지는 미래다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있다. 가령 극지는 우리가 살고 있는 중위도와 달리 지면이 대기보다 차가운 날이 많다. 지면 근처의 대기 구조가 중위도와는 다른 모습을 보여 모델링이 불확실하다. 이때 관측 자료를 넣어 수치모델의 검보정 작업을 수행한다. 기온뿐 아니라 해수면 변동, 해빙의 분포 변화 등 다양한 수치모델이 ... ...
이전4849505152535455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