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용"(으)로 총 5,102건 검색되었습니다.
- 1908년 혈청 치료법을 완성하고 포식 이론을 발표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표준화했다. 1896년 베를린 혈청연구소 소장으로 임명된 에를리히는 항원-항체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도 했다. 에를리히는 자연에 무수한 항원이 존재한다면 당연히 항체의 범위도 엄청나게 다양하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세포가 병원체로부터 위협을 받으면 곁사슬을 만들고, 곁사슬이 분리돼 ... ...
- 1984년 단일클론항체를 만들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주목을 받는다. 면역망 이론은 면역시스템이 서로 다른 항원과 항체, 림프구가 상호작용하며 조절된다는 이론으로, 예르네는 항원이 침입하면 항체와 림프구들은 서로의 짝을 바꿔가며 다양하게 결합할 수 있고 이것이 면역성을 획득하는 원동력이라고 설명했다.당시 학계는 면역이 주로 항체에 ... ...
- [매스미디어]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더블X 6개의 예언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따른 자원 보유량 변화, 기후변화, 과학 문명을 이룬 인구수 등의 변수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동역학계 이론으로 파악하고 문명의 미래 모습을 컴퓨터로 계산했지. 동역학계는 시간에 따라 움직이거나 변하는 모든 것을 수학적으로 계산하는 수학 분야야. 수학 모형이 예측한 시나리오는 크게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7화 수학자의 슬기로운 취미생활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엘릭서 스튜디오’를 세웠습니다. 실제로 하사비스는 게임을 개발하면서 NPC들의 상호작용을 고민하다 인공지능의 중요성을 느끼고 연구를 시작했다고 합니다. 게임이 아니었으면 알파고가 나오지 못했을지도 몰라요!이보다 좀 더 ‘수학자’스러운 게임을 즐긴 수학자도 있습니다. 2020년 4월 ... ...
- T림프구...바이러스 자살 유도하는 똑똑한 전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특히 항체를 만들 수 있도록 B림프구가 활성화되려면 도움 T림프구나 수지상세포가 작용해야 한다. 기억 T림프구는 한번 인식한 항원을 기억하며 장기간 생존하고 있다가 항원이 재침입할 때 재빠르게 세포독성 T림프구로 변해 항원을 물리친다. 또 조절 T림프구는 자가 면역 질환을 일으킬 수 ...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사람의 정상세포를 빠르게 감염시키고, 고열 등 병증을 일으킨다. 이때는 B림프구가 작용하는 항체 매개 면역반응까지 작동해야 한다. 그런데 만약 우리 몸의 면역시스템이 바이러스 C와 만난 게 처음이라면, B림프구가 이를 무찌를 항체를 생산하기까지 최소 일주일 안팎의 시간이 필요하다. 성인의 ...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후천 면역반응을 개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수지상세포는 포식 작용을 하는 중 항원의 일부를 떼어다가 그 특징을 간직한 단백질(후에 ‘주조직 적합성 복합체(MHC)’라 명명됐다)을 자신의 막 표면에 발현시키는 능력이 있다. T림프구나 B림프구는 수지상세포 표면에 나타난 ... ...
- 단백질 백신_B형 간염 백신 Hepatitis B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같은 새로운 바이러스가 등장했을 때 주목을 받는다. 백신 개발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부작용 탐색 과정이 세포전체 백신에 비해 간단해 개발 기간이 짧기 때문이다.실제로 현재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 중에서도 단백질 백신이 가장 많다. 미국의 제약사로 메르스 백신을 보유한 노바백스와 ... ...
- STEP ② 숙주세포 침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세포 내부에 퍼진다. 코로나바이러스를 포함한 대부분의 바이러스가 이런 내포작용을 이용해 세포에 침투한다. HIV나 헤르페스바이러스는 조금 다른 전략을 취한다. 바이러스의 막과 숙주 세포의 막을 마치 녹이듯 융합하는데, 이런 막융합이 일어나면 바이러스의 막과 세포막이 하나가 되며 ... ...
- 자연살해세포...침입 즉시 공격, 진정한 킬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기준 체내에 약 1억 개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연살해세포는 감염 후 수일 내로 작용하는데, 그 기능상의 활성도는 20세를 전후로 최고조에 이르고, 이후 점차 떨어져 60세에는 절반으로, 80세에는 3분의 1 수준이 된다 ... ...
이전4849505152535455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