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체"(으)로 총 5,134건 검색되었습니다.
- [조광래의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운명의 9분, 대한민국에 '성실실패'란 존재하는가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발사대 바깥으로 돌리도록 설계됐다. 이 모습을 보고 부정적인 조짐을 논한다는 것 자체가 얼마나 비과학적인가. 또 몇몇 사람들은 러시아에서 연소시험을 진행한 엔진과 실제 나로호에 적용된 엔진이 다르다고 주장했다. 러시아 엔진 개발기업인 에네르고마시가 2009년 7월 30일 연소시험을 진행한 ... ...
- [특집] 한 장, 10년 묵은 변기에서 태어난 귀신과 화장실 휴지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레딧’에 올라왔어요. 유저들은 “당연히 접어야지, 뭉친 휴지로 닦는다는 개념 자체를 이해 못 하겠다”, “접을 시간이 어디 있냐, 뭉쳐야지” 등 팽팽한 대립 반응을 보였죠. 그러다 2020년 4월, 사무엘 노바리오 미국 미시간대학교 물리학과 연구원이 수학 모형을 세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 ...
- [한페이지 뉴스] 이산화탄소 줄이려 쓴 천연가스, 대기 중 메탄 농도 높였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마련해왔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메탄(CH4) 배출량이 급증했다는 점이다. 메탄은 배출량 자체는 이산화탄소보다 적지만 온난화 효과는 100년 기준으로 이산화탄소보다 28배 크다. 롭 잭슨 미국 스탠퍼드대 지구시스템과학부 교수팀은 글로벌 탄소 프로젝트(Global carbon project) 국제 연구팀이 2019년에 ... ...
-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치료할 수 있다는 동물실험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바이러스 항암제가 바이러스 자체를 치료제로 활용한 경우라면 바이러스 일부만 사용하는 치료법도 있다. 대표적으로 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한 유전자 치료를 들 수 있다. 유전자 치료는 질병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를 정상 유전자로 교체하는 ... ...
- 1980년 면역거부반응의 이유를 찾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수혜자의 면역시스템에 의해 기증자의 장기가 염증을 일으키며 손상되는 현상이다. 현상 자체는 일찍이 1900년대 중반부터 알려져 있었다. 1930년대 유전학 연구를 시작한 조지 데이비스 스넬은 암세포에서 이런 거부반응을 확인했다. 스넬은 생쥐를 20세대 이상 형제자매끼리 교배시켜 유전적으로 ... ...
- 세포에 바이러스를 기억시켜라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바이러스로 백신을 만들기도 한다. 이중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은 바이러스 자체를 접종하는 백신이다. 최초의 현대적인 백신인 우두법도 이 원리를 적극적으로 이용한 결과였다. 영국의 의사 에드워드 제너는 1798년 증상이 천연두에 비해 비교적 약한 우두에 한 번이라도 걸린 사람은 ... ...
- 소나기가 내리면 목숨을 걸고 튀어라! 호주 개구리 탐사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연구였습니다. 이를 발표한 시민은 FrogID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했습니다. 데이터 자체의 한계로 온도와 습도를 고려하지 못한 단점이 있지만, 학술지에 발표할 수 있을 정도의 분석이었습니다. 이는 연구자가 보기 좋게 처리한 데이터를 시민이 FrogID에서 ... ...
-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천연두는 기원전 3세기 사망한 미라에도 흔적이 남아있다.놀라운 점은 바이러스의 존재 자체를 모른 채로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는 백신이 만들어졌다는 사실이다. 1798년 영국의 의사 에드워드 제너가 천연두를 예방할 수 있는 우두법을 발표했고, 프랑스 생화학자 루이 파스퇴르는 1879년부터 ... ...
- 단백질 백신_B형 간염 백신 Hepatitis B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돌연변이를 통해 병원성을 회복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반면 단백질은 그 자체로 항원의 역할을 하면서도 다른 숙주로 감염되거나 증식하지 않는다. 유일한 예외는 광우병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프리온(prion) 단백질뿐이다. 다만 면역반응 유도율은 단백질 백신이 세포전체 백신에 비해 조금 ...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막아 세포 안에서 증식할 수 없게 하는 증식억제제도 있지만, 바이러스의 세포 침투 자체를 방해하는 부착 및 침투억제제도 있다. 부착 및 침투억제제는 바이러스의 특징을 영리하게 역으로 활용한 경우다. 바이러스는 단독으로 존재할 땐 증식이 불가능하고, 오직 숙주세포에 침투한 상태에서만 ... ...
이전4849505152535455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