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의"(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커리어] 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 과학동아 랩투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2023년 노벨 물리학상은 레이저로 아토초(100경분의 1초) 단위의 짧은 펄스를 만들어 전자의 움직임을 포착하는 데 기여한 세 과학자에게 돌아갔다. 더 짧고, 더 강한 레이저는 원자에서 아주 빠른 속도로 벌어지는 현상을 관측하고 우주 초기의 극한환경을 연구하는 등 현대 과학의 다양한 질문을 해 ... ...
- 개운하게 목욕하기!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개운하게 목욕하기! 뽀득뽀득 목욕할 시간이야. 욕조에 물을 가득 채우면 그 양은 무려 200L나 돼! 만약 경환이네 식구 4명 모두가 30일 동안 매일 욕조에 물을 받아 씻는다면, 얼마나 많은 물을 사용하게 될까? 자기 전에 물 마시기! 경환이는 가끔 자기 전에 시원한 물을 마셔. 페트병에 담긴 물 ... ...
- 어린이가 만든다! 스쿨존 지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지난 5월 15일부터 5월 24일까지 한국교통연구원 심재익 연구위원의 자문을 받아 등하굣길 안전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함께 지도를 만들어 봤습니다. 팝콘플래닛 홈페이지를 통해 초등학생 52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해 주었어요. “대부분의 어린이 교통사고는 뛰다가 발생” TV와 유튜브 ... ...
- [만화 뉴스] 제로 슈거, 체중 조절 효과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5월 15일, 세계보건기구(WHO)는 새 지침을 내며 “체중을 조절할 목적으로 무설탕 감미료를 사용하지 말라”고 권고했습니다. 무설탕 감미료는 아스파탐, 수크랄로스처럼 흔히 제로 슈거 식품에 사용되는 인공 감미료입니다. WHO는 “관련 연구를 검토한 결과, 무설탕 감미료가 체지방을 줄이는 데 ... ...
- [4컷 만화] 나비는 어디에서 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나비는 무려 1만 9000여 종에 이를 정도로 그 종류가 많고 다양합니다. 나비는 어디에서 처음으로 나타났을까요? 미국 플로리다대학교를 포함한 공동연구진이 지난 5월 15일 최초의 나비를 밝혀냈다고 발표했습니다. 연구진은 90개국 2244종의 나비에서 생명의 정보를 담고 있는 유전물질인 DNA를 수집 ... ...
- 심해는 생물들의 집! 채굴해도 괜찮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심해는 보물창고이기도 하지만, 해양 생물이 사는 집이기도 해. 광물을 찾기 위해 깊은 바다로 잠수한 카메라에는 광물의 틈에서 사는 다양한 생물들이 포착되고 있지. 심해 생물들아, 광물을 채굴해도 괜찮은 거니? 결코 평범한 돌이 아니다! 클라리온 클리퍼톤 해역(CCZ)에는 망간 단괴만 있는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달을 직접 빚어보자! 달의 모양을 관찰해 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늘 활발하던 섭섭박사님. 오늘은 웬일인지 창밖을 바라보며 사색에 잠겨 계셨어요. “달에게 소원을 빌면 안 되는 이유가 뭔지 알아? 달은 매일 변하기 때문이야.” 만들어 보자!달의 위치에 따른 모양 변화 달은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고 태양 빛을 반사해 빛을 냅니다. 그래서 우리가 보는 달의 ... ...
- 물리와 수학의 가교를 놓은 물리수학의 창시자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물리학자와 수학자는 19, 20세기가 지나면서 서로 소통하기보다는 각자의 영역에 집중했는데요. 하지만 20세기 후반부터 위튼 교수를 계기로 수학과 물리학 사이에는 새로운 관계가 생겼습니다. 그는 ‘물리수학’이라는 새로운 학문 분야를 연 사람이기도 하지요. 수리물리학이 물리학에 필요한 수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준비기간 단 1달, 과학고 합격 비결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초등학생을 위한 영재학교, 과학고 입시 대비 학원이 있을 만큼 다들 일찍부터 고등학교 입시를 준비합니다. 그런데 조의재 경산과학고등학교(경산과고) 2학년 학생은 원서 마감 2주 전에 과학고 지원을 결심하고, 1달 남짓한 기간 동안 면접을 준비했어요. 어떻게 과학고에 합격할 수 있었는지 ... ...
- [한 장의 과학] 서남극 빙붕의 돌이킬 수 없는 미래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서남극 아문센해의 빙붕(사진)이 기후변화로 인해 돌이킬 수 없는 미래를 맞이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남극 아문센해와 그 인근 지역은 남극 전체를 통틀어 기후변화에 가장 취약한 영역으로 꼽힌다. 특히 아문센해의 빙붕이 녹을 경우, 남극 전역의 해수면 상승에 가장 크게 기여할 것이 ... ...
이전4849505152535455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