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튿날
다음날
양일간
d라이브러리
"
이틀
"(으)로 총 589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의 과학자 키우는 전세계 화학인들의 축제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팀워크 다지기화학올림피아드의 주무대는 물론 실험시험과 학과시험이 치러지는
이틀
간의 일정이지만 그 전후기간에 이루어진 모든 행사, 예를 들면 7월 16일 마일스 회사가 후원한 아메리카나 이브닝 피크닉에서는 포크댄스 컨트리뮤직 폭죽 등으로 외국 학생들을 열광하게 하였다. 7월 17일 오후 ... ...
한국국제과학올림피아드 위원장 권원기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확대되어 지난해 쿠바대회에는 31개국이 대표단을 파견했습니다. 참가학생들은
이틀
간 이론 및 실험문제를 통해 실력을 겨루는데 첫날은 이론 4문제 둘째날은 실험 1문제를 각각 풀게 됩니다.국제화학올림피아드는 1969년 체코에서 폴란드 체코 헝가리 세나라가 모여 첫대회를 열었고, 74년 ... ...
온누리호 돛을 달다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자리가 늘기 시작하였으며, 하루 라면한개로 때우는 다이어트족들이 늘어 노르웨이에서
이틀
동안 온 시가지를 헤맨 끝에 6배나 비싸게 산 라면의 진가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대서양에서의 마지막 밤1월 29일 밤 대륙붕에서의 생물조사를 제외한 전 조사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스페인 ... ...
보름달이 초저녁 동쪽하늘에 뜨는 이유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약 27$\frac{1}{3}$일 걸려서 공전하지만(항성월) 보름달에서 다음 보름달까지는 이것보다
이틀
정도가 더 긴 약 29$\frac{1}{2}$일이 걸린다(삭망월). 이는 (그림4)에다 지구의 공전을 고려한 결과를 더해 (그림7)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음력은 달의 삭망월을 기준으로 한 책력으로 29일과 30일인 달이 교대로 ... ...
한반도 자연과 밀접한 관계 드러낸 중국동북지방의 식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연속적 자연경관의 변화는 어느새 바이칼호를 경계로 크게 달라지며, 거기로부터
이틀
을 더 달려 낯익은 동북아시아 자연 경관의 품으로 들어섰다. 중국 동북지방땅이 시작되는 대흥안령(大興安嶺)산맥을 넘어 든 것이다. 즉 유라시아 대륙의 우랄 알타이 지방으로부터 한반도에 이르기 위해서는 ... ...
전자센서보다 우수한 광학섬유센서 등장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양생기간도 지켜지지 않고 염도가 높은 건축자재가 동원되기도 했다.건물은 하루
이틀
사용하는 것이 아니다. 건축현장의 사고도 문제지만 착공 후에도 안전성을 확실하게 보장받아야 한다. 우리가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자동경보기를 설치하듯이 건물도 안전하게 유지하려면 센서를 통해 끊임없이 ... ...
4. 핵사찰 허점 많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위해 장기사찰을 지시했던 것이다.1기의 월성원자력발전소에 대한 1회 사찰은 두명이
이틀
(4 man-days)에 걸쳐 수행했다. 이는 두명이 하루에 2개 발전소를 사찰하는 경수로와 비교하면 확실히 더딘 편이다. 월성원자력발전소의 경우, 핵연료를 운전중에 교체함에 따라 사용후 핵연료가 계속 발생하고 ... ...
블랙홀인가, 또 다른 미지의 천체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이 천체는 이전에는 약한 X선을 방사하는 천체로 알려져 있었다.GARNAT가 이 천체를
이틀
후 재관측했을 때 폭발적인 방사선은 사라지고 없었다. 이러한 현상은 대파괴원의 크기를 나타내준다. 천체의 밝기가 빛이 그 직경을 횡단하는데 필요한 시간보다 빨리 변화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 ...
울릉도의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등산로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탐사 제2일육로로 울릉도를 더듬어본 첫날에 이어
이틀
째는 군청에서 제공한 행정선으로 섬 전체를 둘러보았다. 울릉도를 연구한 기존의 논문들은 이 섬의 전체높이가 약 3천m이며 그중 해수면 위에 솟아있는 것은 1천m에 불과하다고 밝힌다. 즉 동해상에 우뚝 ... ...
금성이 반달처럼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학습방법이 천문현상을 가장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첩경임을 깨닫고…지난 5월 18일, 19일
이틀
간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KAAS, The Korean Amateur Astronomical Society)는 경기도 가평 소재 제1관측소에서 지구과학교과교육연구회 소속 중고등학교 교사 18명과 함께 제1차 교사 연수회를 가졌다.다행히 날씨까지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