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유리개구리, 투명한 이유는 간 때문이야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만들었다. 그리고 유리개구리를 재운 뒤 수면을 방해하지 않는 ‘광음향현미경’(PAM)을 이용해 적혈구의 행방을 찾았다. 생체 조직에 레이저빔을 쏜 뒤, 이를 흡수한 분자가 방출하는 초음파로 정교한 이미지를 얻는 방법이다. 준지 야오 교수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유리개구리를 ... ...
- [기획] UFO? 아닙니다. 과학 임무 중인 풍선입니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패널까지 장착돼 있었기 때문이다. 이 교수는 “추진 장치 없이 단순 바람의 흐름을 이용해 지구 반 바퀴를 돈 풍선으로 특정 군사시설을 정찰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라며 “다만 미국까지 풍선이 날아가게 내버려 둔 이유가 있을 가능성은 있다”고 덧붙였다. 비용↓ 정확도↑우주 장비 성능 ... ...
- [5년 후, 과학은] 미래를 위한 오래된 신소재 강유전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부산대 재료공학부 조교수를 거쳐 2021년부터 서울대에 재직 중이다. 강유전체 산화물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 응용 및 에너지 소자 응용에 대해 주로 연구하고 있다. minhyuk.park@snu.ac ... ...
- 한 편의 기사가 수리생물학자로 안내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수 있는 프로그램에 참가했었어요. 공동연구자 8명과 박테리아가 만드는 패턴을 수학을 이용해 컴퓨터 모의실험으로 구현하는 연구를 했어요. 처음엔 잘 안 되다가 프로그램이 끝날 즈음에 극적으로 구현해냈어요. 제 인생에서 처음으로 수리생물학 연구를 맛본 거라 짜릿했어요. 창조의 기쁨이라고 ... ...
- [질문하면 답해ZOOM] 생선을 먹고 김치를 먹으면 왜 쓴맛이 나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머리카락이 나는 곳의 넓이는 구의 겉넓이를 구하는 공식 4πr2(π=약 3.14, r=반지름)을 이용해 구합니다. 4×3.14×102에 머리의 반 정도만 머리카락이 자라므로 반으로 나누면, 머리카락이 자라는 부분의 넓이는 628cm2(제곱센티미터)가 됩니다. 이제 자기 머리카락이 나는 모낭의 간격을 거울로 ... ...
- 사람 같은 생성형 AI는 언제? MIT-IBM 왓슨 AI 연구소에 묻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여러 분야의 데이터를 한꺼번에 학습한 뒤, 목적에 맞게 필요한 분야의 데이터를 이용해 답을 내는 파운데이션 모델 기술을 개발 중이다. 1 AI의 진화를 설명하는 콕스 소장. 2 IBM은 1997년 AI 체스 프로그램 ‘딥블루’로 인간 챔피언을 이기고, 2011년 대화형 AI ‘왓슨’으로 인간과 퀴즈 대결을 ... ...
- [과학사 극장] 아인슈타인은 상대성 이론으로 노벨상을 받지 못했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1955년 아인슈타인은 러셀-아인슈타인 선언을 통해 핵무기 폐기와 과학 기술의 평화적 이용을 촉구했다. 아인슈타인이 원자폭탄을 만들었다는 것은 거짓에 가깝다. 누구보다 이 거짓말에 슬퍼할 사람은 아인슈타인 자신일 것이다. 아인슈타인은 원폭 개발에 간접적으로 기여했지만 누구보다 원폭 ... ...
- [이달의 책] 경쾌하게 반박한 동물에 관한 속설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제공한다. 글쓰기의 속성, 자기 표현이 더욱 확장되는 통로로 상업공간의 감각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 책은 전주시립도서관 내 ‘우주로 1216’, 세종시립도서관 내 ‘스페이스 이도’ 등 한국의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공간들도 부록으로 함께 다뤄서 더욱 의미가 깊다 ... ...
- 60년 묵은 생체시계 난제 해결수학동아 l2023년 04호
- 계속 유지된다. 이는 노벨상 수상자들도 못 푼 60년 묵은 문제였다.김 교수는 수학을 이용해 온도에 따라 PER의 분해 속도를 조절해 생체 주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인산화 스위치’가 있다는 것을 밝혔다 ... ...
- [수학상위1% 비밀무기] 의대 합격 비결은 친구와 함께 수학 공부수학동아 l2023년 04호
- 계산하려고 하지 말고 잠시 생각하는 것도 필요해요. 그래프를 그려서 풀지, 대칭성을 이용해서 풀지 등 쉽게 푸는 방법이 있는지 살펴보고 마지막에 계산에 들어가야 문제를 잘 풀 수 있어요. 권태영 저도 생각하는 훈련을 많이 했어요. 어떤 날은 집에서 어려운 문제를 가만히 보기만 했어요. 계속 ... ...
이전4849505152535455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