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그라미
서클
기본형
으뜸꼴
원
모형
둥근꼴
d라이브러리
"
원형
"(으)로 총 927건 검색되었습니다.
3. 인류 절반의 식량 벼 게놈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게놈에서 유전자들의 상대적 위치가 같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가장 작은 벼의 게놈을
원형
으로 안쪽에 두고 그 바깥쪽에 옥수수, 보리 순으로 원을 그린 다음 특정 유전자를 중심으로 염색체를 배열해보자. 이때 여러 유전자를 찾아 선으로 그으면 벼에서 옥수수, 보리로 직선이 만들어짐을 알 수 ... ...
Ⅲ 각양각색 경기장 지붕에 숨은 의미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고양시킨다. 그래서 대부분의 경기장은 내향적으로 설계된다. 평면은 콜로세움처럼 타
원형
이고 지붕은 그라운드쪽으로 초점이 생기는 오목한 구조다.그런데 수원 경기장은 전혀 다르다. 우선 지붕이 일체로 돼 있지 않다. 동쪽과 서쪽 관중석에만 지붕이 한채씩 있을 뿐 남북 측에는 없다. 더욱이 ... ...
Ⅰ첨단장비가 펼치는 격전의 무대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새로운 디자인의 징을 채택했다. 가볍고 마모에 강한 마그네슘 재질의 징은 단면을
원형
이 아닌 유선형으로 만들어 1개는 고정시키고 나머지는 교환 가능하게 했다. 발바닥 중앙에 고정된 막대형 징은 그라운드를 강하게 파고들며 진흙이 달라붙지 않게 해 부드럽게 발을 움직일 수 있게 해준다 ... ...
망원경 렌즈 제조하는 최신 회절법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빛을 많이 모으려면 접시의 크기가 커지면 된다.문제는 여기서 발생한다. 사각형이나
원형
의 안테나를 만들기는 쉽다. 하지만 포물면의 경우 그 모양을 정확하게 깎기가 어렵다. 이를 위해 상당한 시간과 돈이 필요하다. 때문에 큰 접시를 만들지 않고 여러개를 복합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 ...
비슷비슷한 한옥지붕의 천태만상 표정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지붕의 주역할은 빗물을 건물바깥으로 흘려보내는 일이므로 경사를 가져야 한다. 바닥이
원형
이거나 정사각형일 경우에는 각 변에 경사판을 설치해 자연스럽게 한가운데서 그 끝을 모아 모지붕을 만든다. 하지만 바닥이 길쭉한 사각형일 경우에는 한점에서 만나지 않고 다양한 조합이 가능해진다 ... ...
1. 사이버 공간에서 탄생한 무령왕릉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일을 방지하기 위해서였고, 디지털 무령왕릉이 학문적인 고증을 거쳐 얼마나 무령왕릉의
원형
에 가깝게 만들었는지 대중들에게 알리기 위한 것이었다. 이 복원의 상황은 단순히 지금의 무령왕릉 내부 모습을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6세기 당시 막 무령왕릉 입구를 막은 직후의 모습까지 그대로 복원한 ... ...
추사 김정희가 세한도에 그린 가옥의 정체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외관이 세한도의 집처럼 벽돌담에 박공지붕을 단촐하게 올린 단정한 모습이다. 측면벽의
원형
창호 역시 벽돌담에 어울리는 요소다.벽돌과 나무의 절충식 구조벽돌이나 돌을 쌓아서 만든 구조를 조적조라 하고, 나무를 가로세로로 엮어서 만든 구조를 가구조라고 한다. 이 외에 요즘 많이 사용하는 ... ...
정월대보름 달 크기를 재보자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보면 여러가지 형상이 그려진다. 동쪽에 떠오르는 보름달에서는 위쪽에 몇개의 어두운 타
원형
바다가 이어진다. 이 부분이 바로 토끼의 머리와 귀 부분이다. 또 그 아래쪽의 어두운 넓은 바다가 토끼의 몸통이고 그 오른편이 절구통이다. 옛사람들의 상상력에 절로 감탄사가 연발된다. 달에 사는 ... ...
2. 가상과 실제 구분 안되는 디지털 여행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복원을 꼽을 수 있으며, 맨 처음 왕릉문을 열였던 첫발굴 당시 모습을 재현해 무령왕릉의
원형
을 되찾는 방식이다.체험 복원은 최첨단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타임머신적 복원으로, 일종의 디지털 과거여행으로 이해하면 된다. 지금 디지털 복원에서 주는 현실감으로는 타임머신적 체험 복원의 ... ...
3. 전세계 디지털 복원의 현주소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들고 유적의 세부 사항을 일일이 촬영한 뒤 정밀 보정작업을 거쳐 어느 각도에서든
원형
을 재현할 수 있도록 했다. 백제금동용봉대항로, 은진미륵불상, 익산 미륵사지석탑 등이 이런 방식을 통해 3차원 형태로 디지털 복원됐다. 강서현무도상상속의 동물 현무가 서로 휘감고 있는 현무도는 세부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