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이오"(으)로 총 1,203건 검색되었습니다.
- 독자여러분을 남태평양 미크로네시아로 초대합니다!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있다.열대해양캠프에 참여하면 해양연구센터를 방문해 흑진주 양식을 체험하고, 바이오디젤을 만드는 플랑크톤도 관찰하는 등 연구에 직접 참여할 수 있다. 남태평양의 바다를 느낄 수 있는 체험도 마련돼 있어, 스노클링과 다이빙을 즐기면서 바다에 뿌리내린 맹그로브 숲과 산호를 직접 볼 수 ... ...
- 사랑의 묘약, 있다?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마사지, 반려동물 쓰다듬기, 친한 친구와 식사하기 같은것이 있겠죠."정용 (KAIST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잠깐!노벨상 받은 합성 옥시토신옥시토신은 자궁을 수축해 출산을 돕는다. 과학자들은 옥시토신을 약으로 개발해 유도분만제로 쓰려고 노력했다. 그 결과 1953년 미국의 생화학자인 뱅상 뒤 ... ...
- 신나는 과학잡지 만들기과학동아 l2013년 04호
- “그간 공개할 수 없던 사진을 보내드립니다.”지난 3월 11일 메일 수신함에 한 통의 메일이 도착했다. 첨부된 사진에는 모종삽에 찔려 교실에서 살해된 한 학생의 ... 이런 어려움에도 하이 바이오 부원들은 1년에 2권씩 앞으로도 꾸준히 과학잡지 ‘하이 바이오’가 나올 것이라 믿고 있다 ... ...
- 세라믹 없으면 스마트폰도 없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전자 제품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분야로도 발을 넓히고 있다. 환경 및 에너지 소재, 바이오 소재, 구조 소재가 대표적이다. 설리반 파크에서 일하는 화학자 스티븐 오군우미 박사는 한 예로 개발 중인 배기가스 필터를 소개했다. 오군우미 박사는 “최근 들어 세계적으로 환경 규제가 더욱 심해지고 ... ...
- ➌ 박형동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과학동아 l2013년 03호
- 태양전지는 반도체 연구하는 쪽, 재료공학부나 전기공학부, 화학공학과에서, 바이오에너지는 주로 농대에서 연구합니다.우리나라는 주로 서해안에서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한 조력발전을 합니다. 대표적인 시화호 조력발전소는 가동 중인 조력발전소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큽니다.조력발전에는 ... ...
- [해외취재] 2013 태국 탐사대, 카오 야이 국립공원에 가다!수학동아 l2013년 03호
- 농약 없이 재배하는 소먹이용 건초와 갖가지 과일들은 물론, 농작물로 만든 100% 천연 바이오 디젤을 생산하는 것으로도 유명하다.촉차이 농장에서는 젖소 젖 짜기, 말 타기, 아이스크림 만들기 등 여러 가지 농장 체험을 해 볼 수 있다. 탐사대 역시 최고 품질의 스테이크를 시식한 뒤, 약 3시간 동안 ... ...
- 해외 식물 자원 대전에 다 모였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인류가 사용하는 식물자원은 고작 2%뿐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해외생물소재허브센터(센터장 이중구)는 해외식물 소재를 확보하고 활용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식물은 전세계적으로 약 30만 종이 보고됐지만 추출물 등을 의약품이나 생활필수품에 활용하는 것은 2%에 불과하다. 두통약으로 유명한 아스 ... ...
- 개코보다 더 개코 같은 돼지코의 비밀과학동아 l2013년 02호
- 2돼지는 사람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동물이다. 일단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버리는 부분이 없다. 그런 돼지에 대한 유전정보를 완벽하게 해독한 연구가 지 ... 발견된 1300여개 후각수용체 단백질의 기능이 밝혀진다면 전자코를 비롯해 다양한 바이오 센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 ...
- PART 3. DNA, 미래를 설계하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분자 컴퓨터는 기술적으로 훨씬 실현하기 쉽다. DNA 컴퓨터는 최근 들어 나노기술(NT), 바이오기술(BT), 정보기술(IT)과 접목된 융합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이미 나노기술과 접목해 나노 패터닝이나 나노 구동 장치의 프로그램 역할을 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생명공학과 의약학 분야, 뇌를 모사하는 ... ...
- 대한민국 원자력 기술의 상징, 하나로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생산하는 냉중성자의 품질은 프랑스의 ILL, 독일의 FRM-2에 이어 세계 3위 수준으로 나노와 바이오 분야의 기술 개발과 새로운 산업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냉중성자 연구시설은 원자로실에 붙어 있는 다른 건물에 있다. 냉중성자는 유도관을 타고 실험동으로 움직인다. 여기서 하나로를 처음 설계한 ... ...
이전4849505152535455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