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밀도"(으)로 총 1,868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science] 중심별에 바싹 붙은 뜨거운 목성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목성의 절반이지만 부피는 목성의 8배에 달한다. 이러한 ‘찐빵 행성(puffy planet)’은 밀도가 토성과 비슷하기 때문에 ‘뜨거운 토성’이라고도 불린다.또 뜨거운 목성의 바깥층을 이루는 수소와 헬륨 기체는 시간이 지나면 결국 행성을 탈출할 것이므로 마지막에는 암석과 금속으로 이루어진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방정식의 구조론수학동아 l2014년 09호
- 공동연구와 합쳐서 증명한 사실이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이 성립하는 타원곡선의 밀도는 0보다 크다’는 것이다.바르가바는 이 정리를 증명하기 위해서 19세기 말에 민코프스키가 개발했던 ‘수의 기하학’ 이론을 현대적인 방법으로 개선했다. 수의 기하학이란, 정수의 순서쌍 같은 이산 ... ...
-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컴퓨터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진동이다. 공기밀도를 시간의 함수로 기록하면 소리를 기록하는 셈이다. 즉 음악은 밀도라는 물리량, 다시 말해 숫자로 표현할 수 있다. 이 숫자들을 적절한 규칙에 따라 저장하면 mp3 파일이 된다. 이 파일을 터치하면 컴퓨터는 저장된 숫자들을 스피커의 전류로 바꿔주는 명령을 내린다. 이제 음악이 ... ...
- 차세대 레이저 가속기과학동아 l2014년 09호
- 플라스마에 보내주면 가벼운 전자는 밀려나고, 무거운 원자핵은 제자리에 머물러 전자의 밀도가 주기적으로 달라지는 플라스마 파동이 만들어진다. 전자는 (-) 전하를, 원자핵은 (+) 전하를 띄므로 두 무리 사이에 강력한 전기장이 생긴다. 이 전기장은 전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속기에 비해 약 1000배 ... ...
- EPILOGUE. 에볼라 대재앙 앞으로 어떻게? 대유행 팬데믹은 아직 일러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발생한 나이지리아는 인구 1억7700만 명으로 세계 7위 인구대국이다. 아프리카에서 인구밀도가 가장 높다. 왜 WHO가 비상사태까지 선언했는지 알 수 있는 부분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에볼라 쇼크INTRO. 에볼라의 모든 것PART1.전염의 시작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 ...
- [Life & Tech] 한밤중 모기의 습격, 불임수컷으로 완전정복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것이 더 낫다. 실제로 살충제를 사용해온 논보다 친환경 유기농으로 경작된 논이 모기의 밀도가 낮았고 다른 생물의 다양성도 더 높았다. 모기 방제는 모기를 완전히 없애버리는 것이 아니라 적정 수준으로 조절하는 것이 해결책이다 ... ...
- [Knowledge] 녹색식물도 키우는 ‘ 화성 호텔’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무엇보다 중요했다. 우리는 대기권에 진입한 후 순간적으로 팽창하는 풍선 형태의 저밀도 초음속 감속기(LDSD)를 이용해 속도를 줄이고, 이어 대형 낙하산을 펼쳐 지표에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었다. 순간적이기는 했지만, 감속기가 팽창하는 순간의 충격과 낙하산에 매달려 지표에 닿는 순간의 ... ...
- 무질서 속에 질서가 있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변할 때 뜨거운 열기가 식어서 굳는 것이 아니다. 유리 액체 속에서 유리 분자들의 밀도가 높아지면 분자들이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줄어든다. 제한된 공간 속에 갇힌 분자들은 각기 서로 다른 구조를 지닌 채 결합한다. 보통 이 과정이 결정성과 비결정성을 나누는 차이다. 하지만 연구팀은 유리 ... ...
- [과학뉴스] 화성 탐사에는 비행접시가 딱?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여섯 번이나 비행계획이 미뤄지면서 7월로 밀렸다. 화성대기와 같은 수준의 희박한 공기밀도를 맞추기 위해 해발 55km 고도에서 비행을 실시한다. 마하4의 속도로 초음속비행을 하다가 방열판 풍선을 부풀려 마하2.5까지 감속한 다음, 대형 낙하산을 펼쳐 바다에 무사히 착륙하는 게 목표다. NASA는 이번 ...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1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이런 열처리가 불가능했다. 그렇다고 고온열처리 없이 분말형태로 만들게 되면 충전 밀도가 매우 낮아진다. 국내 연구팀이 이런 문제도 해결했다.2012년 8월, 이건재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잘 휘면서도 충·방전을 1만 번 반복할 수 있는 배터리를 만드는 데 성공해 저널 ‘나노레터스’에 ... ...
이전4849505152535455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