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d라이브러리
"
밀도
"(으)로 총 1,868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science] 중심별에 바싹 붙은 뜨거운 목성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목성의 절반이지만 부피는 목성의 8배에 달한다. 이러한 ‘찐빵 행성(puffy planet)’은
밀도
가 토성과 비슷하기 때문에 ‘뜨거운 토성’이라고도 불린다.또 뜨거운 목성의 바깥층을 이루는 수소와 헬륨 기체는 시간이 지나면 결국 행성을 탈출할 것이므로 마지막에는 암석과 금속으로 이루어진 ... ...
차세대 레이저 가속기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플라스마에 보내주면 가벼운 전자는 밀려나고, 무거운 원자핵은 제자리에 머물러 전자의
밀도
가 주기적으로 달라지는 플라스마 파동이 만들어진다. 전자는 (-) 전하를, 원자핵은 (+) 전하를 띄므로 두 무리 사이에 강력한 전기장이 생긴다. 이 전기장은 전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속기에 비해 약 1000배 ... ...
EPILOGUE. 에볼라 대재앙 앞으로 어떻게? 대유행 팬데믹은 아직 일러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발생한 나이지리아는 인구 1억7700만 명으로 세계 7위 인구대국이다. 아프리카에서 인구
밀도
가 가장 높다. 왜 WHO가 비상사태까지 선언했는지 알 수 있는 부분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에볼라 쇼크INTRO. 에볼라의 모든 것PART1.전염의 시작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 ...
100배 빠른 통신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전자는 개별 전자로 움직일 때보다 최대 100배까지 이동속도가 빨라졌다. 또 전자 집단의
밀도
가 높아졌다 낮아졌다를 반복했는데, 이 파형의 진동이 테라헤르츠 급의 주파수를 보였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아직 개발되지 않은 잠재시장을 광범위하게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컴퓨터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진동이다. 공기
밀도
를 시간의 함수로 기록하면 소리를 기록하는 셈이다. 즉 음악은
밀도
라는 물리량, 다시 말해 숫자로 표현할 수 있다. 이 숫자들을 적절한 규칙에 따라 저장하면 mp3 파일이 된다. 이 파일을 터치하면 컴퓨터는 저장된 숫자들을 스피커의 전류로 바꿔주는 명령을 내린다. 이제 음악이 ... ...
무질서 속에 질서가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변할 때 뜨거운 열기가 식어서 굳는 것이 아니다. 유리 액체 속에서 유리 분자들의
밀도
가 높아지면 분자들이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줄어든다. 제한된 공간 속에 갇힌 분자들은 각기 서로 다른 구조를 지닌 채 결합한다. 보통 이 과정이 결정성과 비결정성을 나누는 차이다. 하지만 연구팀은 유리 ... ...
[Knowledge] 녹색식물도 키우는 ‘ 화성 호텔’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무엇보다 중요했다. 우리는 대기권에 진입한 후 순간적으로 팽창하는 풍선 형태의 저
밀도
초음속 감속기(LDSD)를 이용해 속도를 줄이고, 이어 대형 낙하산을 펼쳐 지표에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었다. 순간적이기는 했지만, 감속기가 팽창하는 순간의 충격과 낙하산에 매달려 지표에 닿는 순간의 ... ...
[Life & Tech] 한밤중 모기의 습격, 불임수컷으로 완전정복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것이 더 낫다. 실제로 살충제를 사용해온 논보다 친환경 유기농으로 경작된 논이 모기의
밀도
가 낮았고 다른 생물의 다양성도 더 높았다. 모기 방제는 모기를 완전히 없애버리는 것이 아니라 적정 수준으로 조절하는 것이 해결책이다 ... ...
PART 2. 파도에도 ‘클라스’가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때는 공기와 비교를 많이 한다. 하지만 물은 공기에 비해
밀도
가 약 1000배 가량 크다.
밀도
가 1000배 크다는 것은 같은 부피에서 질량이 1000배 크다는 뜻이다. 1kg짜리 주먹이 초속 2m로 날아올 때와 1000kg 짜리 주먹이 초속 2m로 날아 올 때를 비교해 생각해 보자. 어떤 차이가 있을지는 굳이 설명하지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1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이런 열처리가 불가능했다. 그렇다고 고온열처리 없이 분말형태로 만들게 되면 충전
밀도
가 매우 낮아진다. 국내 연구팀이 이런 문제도 해결했다.2012년 8월, 이건재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잘 휘면서도 충·방전을 1만 번 반복할 수 있는 배터리를 만드는 데 성공해 저널 ‘나노레터스’에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