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몸상태"(으)로 총 2,910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모세혈관 따라 10만km ‘건강 게이트키퍼’ 모세혈관 총정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지름 약 8μm, 전체 길이 약 10만km, 몸속 ‘골목길’로 불리는 이것. 바로 모세혈관이다. 굵은 혈관인 동맥과 정맥이 ‘고속도로’라면 세동맥(가는 동맥)과 세정맥(가는 정맥)은 ‘국도’에 비유할 수 있다. 모세혈관은 이들 ‘국도’에서 뻗어나와 작은 마을까지 다다른 골목길쯤 된다. 심장에서 출 ... ...
- [과학뉴스] 다친 친구를 구조하는 개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덩치가 큰 개미가 작은 개미를 물고 있어요. 먹으려는 걸까요? 사실 이 사진은 개미가 다친 친구를 부축해 집으로 돌아가는 훈훈한 모습이랍니다.최근 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교 연구팀은 ‘메가포네라 아날리스(Megaponera analis)’라는 아프리카 마타벨레 개미가 전투 중 부상당한 친구를 버리지 않고 ... ...
- 도전! 자전거 마스터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비결1. 내게 맞는 것을 골라라! 자전거를 타기 전에 우선 내게 맞는 자전거부터 골라봅시다. 예쁘고 세련된 자전거를 고르고 싶겠지만 ‘어떤 용도로 탈 것인가’를 먼저 생각해야 합니다. 산길, 도로 등 어디에서나 타고 싶다면 두꺼운 바퀴와 완충 장치가 있는 산악 자전거를, 빨리 달리고 싶으면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첨단과학으로 국가대표를 돕는다! 한국스포츠개발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지난해 여름 리우올림픽을 기억하나요? 세계의 뛰어난 선수들 가운데서도 우리나라 선수들이 좋은 경기를 많이 보여 줬죠. 이런 선수들의 실력 향상에 과학이 숨겨져 있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국가대표 선수들을 과학적으로 도와주는 한국스포츠개발원에서 과학적 훈련법을 함께 알아봐요!기초 ... ...
- [Issue] 우사인 볼트는 왜 영원할 수 없나, 근육 노화로 풀어 본 스프린터의 숙명과학동아 l2017년 09호
- (확대)▼‘지구에서 가장 빠른 인간’이 8월 트랙을 떠났다. 올림픽 금메달 8개, 세계선수권대회 11차례 우승 등 ‘살아있는 전설’로 불린 우사인 볼트가 영국 런던에서 열린 2017년 국제육상경기연맹 세계선수권대회를 끝으로 은퇴했다. 이번 대회에서 볼트는 남자 100m 결선에서 3위에 그치면서 허 ... ...
- [Culture] 센서티브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언제부터였는지 이제 와서는 잘 모르겠다. 너는 초음파에 영 잡히지 않아서 한동안 우리를 애태웠거든. 분명 아기집은 잘 생겨있는데, 네가 보이질 않는다는 거야. 혹시나 몰라서 오줌 검사를 하고 피 검사를 하면 분명 임신이라고 나오는데 말이지. 네 형체가 명확하게 초음파 검사에 잡히기 시작 ... ...
- Part 1. [첫 번째 사연] 동물들이 죽고 있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안녕하세요. 저는 동물원에서 7년째 살고 있는 호랑이입니다. 최근 들어 동물원에 살던 동물들의 죽음 소식이 연이어 들리고 있어요. 불안해서 못 살겠습니다. 동물원에서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건가요?한국호랑이 ‘금강이’, 갑자기 죽은 이유는?올해 2월 3일, 11살짜리 한국호랑이 ‘금 ... ...
- [과학뉴스] 성폭행 피해자 저항 어려운 이유, 몸이 마비된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성추행이나 성폭행을 당한 여성들은 적극적으로 대항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피해 사실을 의심 받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하지만 저항하지 않은 게 아니라 못 한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스웨덴 카롤린스카연구소의 안나 묄러 연구원팀은 성폭행을 당하고 응급실을 방문한 여성 298명을 피해를 당 ... ...
- [Culture] 돌아간 사람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배지훈 - 1990년대 PC통신에서 SF 팬덤 활동을 시작했고, 중편 ‘유니크’가 제3회 과학기술창작문예 중편부문에 당선되며 작가 활동을 시작했다. ‘코벤트리’, ‘마일즈 보르코시건 - 전장의 형제들’ 등을 번역했다.뎀베는 모니터 너머로 흔들리는 것을 보다가 멀미가 나서 고개를 돌렸다. 질끈 감 ... ...
- Part 1. 우리 집 불청객, 바퀴벌레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대나 아열대 지방에서 사는 곤충인데, 교통수단과 무역의 발달로 전세계에 퍼졌다. 우리나라에는 약 10종류가 있다. 이 중 산바퀴(Blattella nipponica)와 경도바퀴(Asiablatta kyotensis)는 주로 야외에서 산다. 그래서 집 안에서 발견되더라도 먹이를 찾아 우연히 들어온 것이므로, 번식할까봐 크게 걱정하지 ... ...
이전4849505152535455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