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희망
소망
염망
예상
예기
기원
소원
d라이브러리
"
기대
"(으)로 총 5,209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디터노트] 행복하고 정의로운 이동은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다양한 전문가의 기고와 기업 인터뷰를 통해 짚었다. 미래와 기술에 대한 낙관적인
기대
만 강조하다 놓치는 그늘은 없을지도 철학과 인문학, 과학의 시선으로 진단했다. 사람이 더 행복하고 정의로운 모빌리티 세상, 만들 수 있을까 ... ...
[chapter2] 미래 모빌리티 인포그래픽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한다. 이로써 기존의 항공기가 배출하는 탄소 배출량을 최대 70%까지 줄일 것으로
기대
된다.전기만으로 운행되는 항공기도 있다. 미국 롤스로이스는 2021년 초 순수 전기항공기 ‘스피릿 오브 이노베이션’으로 지상 활주를 성공적으로 진행했다. 같은 해 7월 이스라엘 항공 스타트업 이비에이션도 ... ...
이동의 공간에서 즐거운 놀이터로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컴퓨터나 스마트폰에서는 충분히 체험하기 힘들었던 사용자경험(UX)도 대중화될 것으로
기대
된다.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이 대표적이다. 2010년대부터 VR/AR을 구현할 수 있는 장치가 속속 출시되면서 차세대 콘텐츠 기술로 주목받아 왔지만, 아직까지 큰 성과를 이뤄내지는 못하고 있다. 기존 ... ...
[특집] 건강한 숲 비결은 다양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8호
건강한 숲에는 다양한 연령대의 나무가 골고루 심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숲은 나무가 모두 같은 시기에 심어져 나이뿐만 아니라 종 다양성도 떨어 ... 통해 더 다양한 종의 나무가 서식한다면, 좀 더 먼 미래에는 더욱 더 건강한 숲을
기대
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특집] 숲의 목재 활용도를 높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이번엔 베어낸 나무를 어떻게 활용할지 고민할 차례입니다. 숲 가꾸기를 위해 베어낸 나무를 버리지 않고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뭘까요? 대세는 목조 건축지난 ... 생분해가 될 수 있어 기존의 합성플라스틱 식품 포장재를 대체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
된다”고 설명했답니다 ... ...
[IBS 수학동아
수학동아
l
2021년 08호
앨런 와인스타인 교수님을 매주 만날 때마다 “졸업해도 좋겠다”는 말 한마디를
기대
했지만, 늘 실망하기 일쑤였다. 알껍데기를 깨고 나오다 그러던 1986년의 유난히도 하늘이 푸르른 날이었다. 나는 부푼 꿈을 안고 용기를 내 지도교수님께 물었다. “언제쯤 제가 졸업할 수 있을까요?” 곧 ... ...
인류를 자동차 사고에서 해방시키다 │ 서승우 서울대 지능형자동차IT연구센터장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역설적으로 많은 공학자들은 그러기에 재미를 느끼고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다.
기대
해 달라. Q. 자율주행차가 사회에 어떻게 활용되길 바라나?교통사고의 95%는 인간의 실수인데, 자율주행차는 이 실수를 없애보자는 취지에서 시작됐다. 그래서 일차적으로는 자율주행차가 안전 문제를 정복해야 ... ...
자율주행의 또 다른 눈│최선욱 네이버랩스 연구원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ALIKE)’를 제작했다.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등 메타버스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Q. HD맵이 지도 발전의 최종 버전인가?지도 발전의 종착지는 지도가 사라지는 것 아닐까. 다양하고 정밀한 공간 정보들이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삶의 모든 순간에 자연스럽게 연결될 것이라는 ... ...
[특집] 바닷속도 지도로 그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7호
노랫소리는 천연 탄성파 역할을 하는 셈이라 인간이 만드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고
기대
를 밝혔지요.그렇다면 고래의 노랫소리로 해저지질도를 완성하는 것도 가능할까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엄인권 연구원은 “아직 고래의 노래로는 지층의 탄성파 이미지를 만드는 정도만 가능할 뿐 ... ...
[기획] AI로 가짜뉴스 잡아볼까?
수학동아
l
2021년 07호
클릭 수를 늘리기 위해 낚시성 제목을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목과 관련된 내용을
기대
했던 사람들은 혼란을 겪게 되죠. 특히 뉴스가 활발하게 유통되는 SNS에서 제목 위주로 기사가 유포되곤 해서 문제입니다. 지난 3월, 박건우 숭실대학교 AI융합학부 교수팀은 이러한 가짜뉴스의 특성에 기반해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