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군인
병사
군대
장병
군부
졸병
전사
d라이브러리
"
군사
"(으)로 총 927건 검색되었습니다.
혜성을 어떻게 찾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혜성의 대부분이 발견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작업에는 20-30인치급 슈미트 망원경이나
군사
위성 추적·감시용으로 만들어진 GEODSS로 불리는 구경 1m(F/2) 반사망원경이 빛에 민감한 CCD 카메라와 함께 사용된다. 필름사용에 비해 1/3 넓이밖에 찍을 수 없지만, 아주 짧은 노출시간에도 18-20등급의 별까지 ... ...
세계의 군함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군함의 공격에 대비한 대수상함전, 전자파 교란을 통해 손상을 입지 않기 위한 대전자전,
군사
정보전에 타격을 입지 않기 위한 대정보전, 그리고 적군이 설치한 기뢰에 대항하기 위한 대기뢰전 등에 다양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여러 체계들이 군함에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최근에 최첨단 과학 기술의 ... ...
① 시각 : 도로 상태 보며 핸들 조절하는 무인자동차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최근 국내외에서 상당히 많이 실용화되고 있다. 또한 인공시각기술은 초기부터
군사
적인 목적으로 많이 연구돼 현재 각종 무인병기와 정찰용 병기의 핵심기술로 사용되고 있다.그러나 이런 사례들은 매우 특수한 목적으로 이용되는 시각기능일 뿐이다. 아직까지 인간의 시각처럼 다양한 환경에서 ... ...
우주 시대를 연 최초의 인공위성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1957년 10월 4일 카자흐스탄의 사막에서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가 발사됐다. 농구공 크기에 무게가 83kg 정도인 이 위성은 이 ... '을 설립하고,인간의 우주탐사를 첫번째 과업으로 지시하게 된다.그 뒤 미국과 소련은
군사
와 정치 분야에 이어 우주개발에서도 치열하게 경쟁했다 ... ...
콩코드기 비둘기의 방향감각 상실시켜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오랫동안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1차대전 중에는 가장 대표적인
군사
통신수단이었다. 그런데 최근 들어 비둘기가 길을 찾아가는 능력을 잃어버릴 위험에 처해있다.영국의 뉴사이언티스트 최근호는 콩코드기가 음속을 돌파할 때 발생하는 폭발음으로 인해 비둘기가 방향감각을 ... ...
전세계 정보감시망 에셜론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정보는 에셜론 시스템에 저장되고 각 기지에서 열람할 수 있게 된다.미국 과학자연맹의
군사
분석가인 존 파이크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정보기관의 감시가 얼마나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는지 모른다. 만약 당신이 국제전화를 한다면 NSA가 쉽게 도청할 것이다. 바닷속 ... ...
전통민속놀이로 배우는 과학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크리스마스 선물처럼 설날에 어린이들에게 연을 선물한다.이처럼 동양에서는 연을
군사
적·주술적 목적으로 많이 활용했다.이에 비해 서구에서는 연이 좀더 실용적으로 사용됐다.15세기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계꼭이나 강의 거리를 측정하는데 연을 이용했는데,이 방법은 1850년대 나이아가라 폭포에 ... ...
3. 고온 서바이벌 게임의 승리자 세라믹스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착륙 거리를 줄이는데 크게 기여한다.방탄의 원리사실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재료들은
군사
적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 많다. 대표적인 예가 탄소-탄소 복합재료다. 세라믹스도 그에 못지 않다. 세라믹스 방탄판이 그 예다. 방탄판은 빠르게 전달되는 기계적 충격과 마찰에 의한 열 충격에 견뎌야 ... ...
비무장지대에 대량 살포된 고엽제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살포 지역이 6-7년간 황무지로 변해있었다고 한다.자손에게 피해 전해질 가능성하지만 ‘
군사
작전’의 관점에서 볼 때 생태계의 파괴는 불가피 했을 수 있다. 몸을 가릴만한 식물은 모두 없앤다는 것이 작전의 목표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뜻하지 않게 고엽제가 인간에게 치명적으로 작용한다는 점이 ... ...
스페이스 셔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1985년 10월 3일 첫 비행에 나섰다. 주로 러시아의 우주정거장 미르와의 도킹 업무와
군사
위성 발사임무를 수행했다. 비행횟수는 20회. 그리고 챌린저호의 빈자리를 메우기 위해 개발된 엔데버호는 1992년 5월 7일 첫 비행에 나서 13회의 우주비행기록을 세웠다. 미국은 지금까지 우주왕복선을 타고 97번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