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축
구축
공사
건조
건립
설계
가설
d라이브러리
"
건설
"(으)로 총 1,955건 검색되었습니다.
‘녹색 화성’에선 누에가 맛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사용하면 아이스브레이커(Icebreaker)로 코어를 얻는 것보다 화성의 지질 탐사 및 바이오돔
건설
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임무를 마치고 거주시설로 복귀했다. 다른 나라 대원들이 함께 모여 지구에서 보내온 뉴스를 시청하고 있었다. 화성에 최초로 거주하고 있는 우리 대원들이 올해의 인물 후보로 ... ...
“집은 살기 좋은 작품”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3D 프린터로 찍어내는 집Q 건축학과를 졸업하면 어떤 진로를 가게 되나요?A 설계사무소,
건설
회사, 개발자문회사 등 건축과 관련된 모든 영역에서 리더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영화 ‘건축학개론’은 다들 보셨죠? 실제 그 영화의 감독이 건축과 출신입니다. 공간에 대한 이해는 예술분야에서 가장 ... ...
차세대 레이저 가속기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전압으로 가속했을 때의 에너지)의 고에너지로 전자를 가속하는 데 성공했다. 현재
건설
중인 4세대 방사광가속기의 길이가 약 1km인 것과 비교한다면 얼마나 혁신적인 결과인지 알 수 있다. 이를 계기로 차세대 가속 연구결과가 쏟아져 나왔고, 고출력 레이저를 보유한 국가들은 앞 다퉈 레이저 ... ...
PART3 - 한반도 재난 해결할 토종 군집로봇 9마리해파리퇴치 로봇내년 마산만 누빈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해파리퇴치로봇과 무인비행기가 하늘 과 바다에서 입체작전을 펼칠 겁니다.”명현 KAIST
건설
및환경공학과 교수의 말에서 자신 감이 느껴졌다. 지난 2010년 처음 해파리퇴치 군집로봇 인 ‘제로스’를 개발했을 때 “3년 뒤에는 바다에서 시험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던 구두약속을 지켰기 때문인 ... ...
햄버거 한 입에 보노보는 눈물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이제는 아프리카까지 그 경향이 번지고 있었다. 문제는 아프리카에서 야자유 농장
건설
에 알맞은 지역 중 42%가 오랑우탄이나 침팬지 등 유인원의 서식지와 겹친다는 점이다. 이미 서식지 중 60%는 개발이 된 상태다. 특히 보노보의 타격이 심했다. 서식지 중 80%가 야자유 농장이 가능한 지역과 겹치기 ... ...
이제는 이소연을 보내줄 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여전히 90분마다 한 번 지구를 돌고 있으며 중국은 독자적으로 우주정거장을
건설
할 계획이다. 한국의 유인우주 연구는 비교하기조차 부끄러운 수준이다. 지금은 한국 최초 우주인인 그녀를 비난할 시간이 아니라 그녀의 퇴장이 우리에게 던지는 의미를 다시 한 번 되새겨 볼 때다 ... ...
PART1 - 영화 속 거미군단이 온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연 구도 활발하다. 해파리퇴치 군집로봇을 개발해 상용화 를 앞두고 있는 명현 KAIST
건설
및환경공학과 교수는 “실제로 해상에서 환경을 감시하거나 재난현장에서 조 난자를 탐색하려면 드론 역시 군집비행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현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우주미래기 술팀장도 ... ...
[Knowledge] 녹색식물도 키우는 ‘ 화성 호텔’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최초의 화성기지는 착륙선을 중심으로 이미 도착한 여러 모듈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건설
됐다. 각 모듈을 실은 착륙선은 각각 50t이 넘었기에, 착륙 과정에서 대기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안전하게 착륙하는 기술이 무엇보다 중요했다. 우리는 대기권에 진입한 후 순간적으로 팽창하는 풍선 형태의 ... ...
도시의 밑그림을 그리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해결하거나 필요한 시설을 만드는 곳입니다. 세상의 밑그림을 그리고 싶은 학생들이
건설
환경공학부에 와서 잘 배우고, 지구를 살리는 지도자로 성장하길 바랍니다 ... ...
"SCV good to go, Sir"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대부분의 과정을 자율주행에 맡겨야 한다.채굴로봇의 형태도 지구의
건설
장비와는 크게 달라진다. 산소가 거의 없는 환경이니 내연기관을 돌려 강한 힘을 얻는 ‘유압식 액추에이터(구동계)’는 포기하고 전기모터 방식에 의존해야 한다. 크기도 문제가 되는데, 지구에서는 굴삭기, 불도저 같은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