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두리
근교
언저리
끝
경계
주변
주위
d라이브러리
"
가장자리
"(으)로 총 597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과학- 운석충돌로 생성 직경 200km 넘는 것도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나타난 충돌의 결과로 생성된 것이라 했는데, 직경 수십 km의 뚜렷한 광조와 크레이터의
가장자리
가 날카로운 형상을 하고 있는 등 비교적 최근에 형성된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지구상에도 충돌 기원의 크레이터가 70여 개에 달하고 있다. 그 중 유명한 것은 미국 애리조나주의 바링거 운석구덩이 ... ...
허블망원경 수리 성공하기까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로보캅처럼 떠다니는 사람은 캐시 손튼(Kathy Thornton)과 톰 에이커스(Tom Akers)이다. 수조의
가장자리
에서 배회하는 사람은 스토리 무스그레이브(Story Musgrave). 그는 58세의 외과의사로서 마치 승려처럼 대머리인데다가 6개의 학위를 소지하고 있으며, 문학평론 원예 고공점프에 능숙하다. 전에는 ... ...
유리컵으로 바이올린 소리 내기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물컵, 와인잔, 아이스크림잔······.준비됐으면 물을 조금 묻힌 손가락으로 와인잔
가장자리
를 따라 문질러 주세요. 소리가 잘 안난다구요? 손가락에 적당히 힘을 주세요. 힘을 너무 주면 컵이 소리내기를 거부한답니다. 유리컵도 부드러운 손가락을 좋아하거든요. 바이올린 선율과 같은 고운 ... ...
꽃가루의 힘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엘리시의 폴리니아를 표시하는데 성공했다.이 난초류를 수정시키는 매나방이 숲의
가장자리
와 언덕을 따라다니면서 5m 안에 있는 식물들 간의 수정에 관계한다는 사실이 알려졌는데, 그것은 매나방이 밤중에 그렇게 날아다니기 때문이다.매나방이 에어랑기스 엘리시에 수정시키는 방식으로 인하여 ... ...
성운·성단·은하 관측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구멍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실제로 이렇게 생긴 것은 아니고 구형인 성운의
가장자리
가 두터워 그렇게 보일 뿐이다. 여우자리의 아령성운(NGC6853)은 행성상 성운으로 상하대칭의 모습이 특이한 천체다. ■ 암흑성운은하의 군데군데에는 별의 수가 매우 적은 곳이 나타난다. 그래서 ... ...
태양계의 보석 행성 여행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seeing)이 나빠 잘 알 수 없다. 하지만 끈기있게 노력하여 기회를 잡는다면, 태양 출몰의
가장자리
에서 반짝이는 별, 태양을 졸졸 쫓아 다니는 막내아들 수성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초저녁의 샛별, 금성저녁무렵 서쪽하늘에 유난히 밝게 빛나는 별을 본적이 있읍니까? 그것은 '초저녁의 샛별'이라고 ... ...
물루동굴과 바코국립공원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어떻게 그러한 모양을 가지게 됐는지는 자세히 밝혀지지 않았다.
가장자리
가 칼과 같이 날카로운 피나클의 높이는 20~30m. 큰 것은 45m짜리도 있다. 색깔이 변하는 원숭이 사라와크주의 중심지는 남서부의 쿠칭 시. 쿠칭에서 1시간 정도 북쪽으로 달리면 해변이 나타난다. ... ...
태양표면의 흑점수를 세어보자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이때 흑점의 반암부도 한 개의 흑점으로 셈하며 태양주변 감광현상(limb darking)으로
가장자리
의 흑점수를 셈하기 어려울 때는 망원경을 이동하여 스케치 용지의 중앙에 태양주변이 오도록하여 셈한다.흑점군의 정확한 분류를 위해 분류표와 전날의 기록용지를 참고로 하여 결정한다. 그 위치는 ... ...
침강된 지각 용암형태로 재분출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서는 오랫동안 토론이 있어왔다. 어떤 퇴적물은 깎여서 캘리포니아
가장자리
에서처럼 산맥지대를 형성한다고 생각된다. 최근에 보여지듯 어떤 것은 지판과 함께 심층까지 하강했다가 상승하는 플룸 속으로 휩쓸려 들어간다. 그리고 어떤 퇴적물은 얕은 깊이에서 하강하는 지판 ... ...
핵융합에너지 분출하는 변화무쌍한 태양표면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태양관측을 시작하였다. 이를 통해 태양흑점의 존재를 처음보고 태양면의 동서쪽
가장자리
에 있을 때와 중앙부분에 있을 때의 흑점의 진행속도가 다른 것을 발견함으로써 태양의 자전주기가 약 1개월이라는 것을 알아냈다.그렇지만 흑점의 정체가 뚜렷이 밝혀진 것은 19세기 후반이다. 독일의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