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겹
켜
지층
계층
플로어
두께
층계
d라이브러리
"
층
"(으)로 총 1,59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남녀 모두 수학이 맛있어지는 양념 공부법
수학동아
l
200912
어때. 자기의 키와 비교하면 한
층
의 높이를 대략 알 수 있어. 그런 다음 아파트가 총 몇
층
인지 세어 보는 거야. 그럼 아파트 높이를 계산할 수 있어. 아파트 옆에 자라는 나무의 높이도 같이 구할 수 있겠지.양념 3 수학 역사 탐험 꼭 문제를 풀어야 수학을 공부하는 거라 생각할 필요는 없어. 수학의 ... ...
진도 울돌목에 국내 최초 조류발전소 떴다
과학동아
l
200911
무게는 철골 구조만 1200t이 넘는다고 귀띔해 줬다. 물속에 잠겨 있는 부분을 빼도 아파트 5
층
높이다.‘관계자 외 출입금지’ 팻말이 붙어 있는 발전소 내부로 들어갔다. ‘쏴’하는 물소리가 쩌렁쩌렁 울려 바로 옆 사람 목소리도 잘 들리지 않는다. 발아래에 조류가 소용돌이치는 모습이 훤히 ... ...
쓰나미 뚫고 통가 해저자원 탐사한다
과학동아
l
200911
지친 연구원들과 승무원들이 휴식과 운동을 할 수 있게 배려했다.좁은 계단을 따라 3
층
으로 올라가자 꽤 넓은 조타실이 나온다. 이봉원 선장이 온누리호에 대해 설명해줬다. 1991년 건조된 온누리호는 우리나라 최초의 해양탐사선으로 길이 63.8m, 너비 12m에 무게가 1422t이나 나간다. 항해속도는 14.5노트 ... ...
미스터리 구름 ‘야광운’ 왜 늘까
과학동아
l
200911
다시 우주와 지표면으로 토해낸다. 이 때문에 지표면은 더 더워지는 것이다. 반면에 상
층
대기는 오히려 열을 더 빼앗기고 만다. 이산화탄소는 중간권에서‘냉실가스’인 셈이다.그런데 야광운은 왜 따뜻한 여름철에 생겨나는 걸까. 지표면이 더 더워지는 여름에 중간권은 가장 추운 겨울을 맞기 ... ...
열 나는 반도체, DNA로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11
층
을 추가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용적률’을 높여 같은 넓이의 땅 위에
층
이 높은 건물을 짓는 상황을 연상하면 된다. 거주하는 사람 수를 늘려 주택난을 해결하듯 정보처리를 할 수 있는 공간을 늘려 엄청난 성능의 반도체를 만드는 것이다.“내 연구는 하이브리드”황 ... ...
달에 돌진한 LCROSS, 물 발견했나
과학동아
l
200911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NASA는 밝혔다. 이전까지는 표면에서 40~50m 아래 지점의
층
이 가스 방출의 진원지로 추측됐다. 과학계에선 당시 실험에는 지구로 돌진하는 혜성을 막을 방법을 찾으려는 목적도 있었다고 분석한다. 템펠1 혜성에 부딪친 충돌체는 혜성의 궤도를 바꾸기에는 턱없이 ... ...
파이프오르간에서 피아노까지 건반악기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11
타고 도착한 곳은 H 신학대다. 그곳에 한창 예배당을 짓고 있는데, 예배당 한쪽에서는 3
층
천장까지 닿을 만큼 벽 전체를 가득 채우는 악기를 들여놓고 있다. 바로 파이프오르간이다. 오래된 성당에서도 볼 수 있는 파이프오르간은 건반악기의 시초라고 한다. 마침 올해는 건반악기의 막내 격인 ... ...
도전! 나도 애니메이션 감독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1
보인다.애니메이션, 어떻게 만들까?우리는 직접 3D입체 애니메이션을 보기 위해 2
층
에 마련된 상영관으로 향했어. 진짜 공룡과 로봇으로 만든 공룡이 싸우는 내용인 ‘외계로봇과 쥬라기 전사 제나’를 보았는데, 정말로 공룡이 나를 향해 달려오는 것처럼 보여서 나도 모르게 바닥을 구르고 손을 ... ...
리우데자네이루에서 다윈의 흔적을 찾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1
국립역사박물관을 찾았다. 역사박물관이지만 현관에는 커다란 운석이 있고 2
층
에는 공룡화석이 있어서 마치 자연사박물관을 방불케 했다.다윈이 방문했을 때는 박물관이 아니라 성크리스토프 왕궁이었고, 1889년까지 왕실의 저택으로 쓰였다. 다윈은 이 왕궁이 “멀리서 보기만 해도 외관이 굉장히 ... ...
무한한 바닷물로 한반도 가뭄 해결!
과학동아
l
200910
하고 있다.“역삼투막을 두루마리처럼 돌돌 말린 형태로 만들어서 한
층
엔 담수, 한
층
엔 해수를 번갈아 넣은 뒤 해수 쪽에 60~80기압의 높은 압력을 가합니다. 역삼투 원리로 걸러진 담수는 두루마리 가운데로 모여 저장고로 흘러들어 가죠.”김 교수가 해수를 담수로 바꾸는 시설을 실제로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